노동당 공약-Capital Gains Tax(CGT)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노동당 공약-Capital Gains Tax(CGT)

1 4,602 NZ코리아포스트
지난 7월 14일 노동당은 오는 11월에 있을 총선을 앞두고 새로운 세제정책을 발표하였다. 주 내용으로는 첫 $5,000에 대한 개인소득을 비과세로하고, 개인소득 $150,000 초과분에 대해서는 소득세율을 33%에서 39%의 인상하며, 뉴질랜드에서는 처음으로 15%의 총체적인 Capital Gains Tax를 도입하겠다는 내용이다. 이번호에는 Capital Gains Tax (이하 CGT)에 대해서 교민입장에 맞추어 소개해보도록 하겠다.

이번 노동당의 CGT에서 제외되는 자산은, 주거주택(1가구 1주택), 개인소장품 (귀금속, 골동품 등), 키위세이버 인출금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55세 이후에 퇴직으로 인해 15년이상 직접 운영한 사업체의 매각시 Capital Gain 중 25만불까지는 CGT가 면제된다.

CGT를 이해하려면, 우선 Capital Gain을 이해해야 하겠다. Capital Gain은 수익활동이 아닌 자산처분에 대한 이익을 말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예를 들자면, 부동산 매매차익을 보기 위해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는 주택이 재고(판매상품)이므로, 이런 업자에게는 소득세법이 적용되어 소득세를 납부하게 된다. 하지만, 임대를 놓기 위해 임대주택을 구입했다면, 이런 임대주택은 고정자산으로 구분되어 매각으로 인해 발생한 매각차익은 Capital Gain이 된다. 사업체 매각시에도 Capital Gain이 나타날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권리금 차익을 말하며, 이 외에도 드물게 설비(고정자산)에 대해서도 Capital Gain이 발생하기도 한다.

현재는 이런 Capital Gain에 대해서는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번 총선 이후에 노동당이 집권하게 된다면, 이런 Capital Gain에 대해 일률적으로 15%의 세금을 부과하겠다는 것이다. 예를들어, 임대주택을 $400,000에 구입해서 임대를 놓다가 $500,000에 매각할 경우, Capital Gain은 $100,000이 되고, 15%인 $15,000이 CGT로 부과된다. 다른 예로, 사업체 인수시 $70,000의 권리금을 지불했고, 매각시 $80,000의 권리금을 받았다면, Capital Gain은 $10,000이 되며, $1,500의 CGT가 부과된다. CGT도입 이전에 구입된 자산에 대한 CGT적용은 ‘Valuation Day’(2013년 4월 1일)를 도입, 자산에 대한 Value를 측정하고 그 후에 발생된 Capital Gain에 대해서만 15% CGT를 부과하겠다고 하고 있다.

임대주택 혹은 상가를 보유하고 있고 납세자는 대부분 이번 CGT도입을 반대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높은 권리금 차익을 기대하는 사업주 역시 이번 CGT를 반대할 것으로 보인다 (예, 권리금차익이 $20,000의 경우 CGT는 $3,000, 권리금차익이 $50,000의 경우 CGT는 $7,500) 하지만, 권리금 차익을 기대하지 않거나 낮은 권리금 차익을 기대하는 사업체인 경우에는, $5,000까지는 소득세가 면세 (연 소득세절감 $525) 된다는 점을 연계하면, 노동당 세제로 인해 크게 불이익을 받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어떤 형식이든 CGT가 존재한다. 최근 국민당 정권 하에서도 Tax Working Group을 통해서 CGT 도입과 관련한 논의가 되었지만, 정부에서는 CGT 운영이 복잡하다는 이유로 반대했었다. 하지만, 고소득자, 재산가, 투자자를 지지층으로 두고 있는 국민당으로써는 이런 정치적인 입지로 인해 CGT도입을 반대 해 왔다는 것이 더욱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 상기의 연재글은 일반적인 내용만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실무에 대해서는 의뢰하는 세무/회계사의 조언을 받아 진행하기를 권장합니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dalsalang
국민당이 정치를 얼마나 잘하는지 아시죠???

국가채무가 늘어가는것도 모르고 펑펑쓰다가 어 늘었네...그럼 팔아 ..집도 팔고 금붙이도 팔고 일단은 돈되는것은 다른 나라에 다 팔아먹자고...그리고나면 나중엔???

나중엔 노동당이 또 비사게 사ㅣ주잔아....일단 팔아먹는거야...쉽잔아!!!!

이렇게 국민들의 피와땀으로 이루어진 국가 재산은 외국 넘들에게 팔아처먹고 있다는 사실, 지금도 팔아처먹으려고 애스고 있다는 사실.

이나라의 미래는 기성세대가 아니라 자라라는 이땅의 후세들이란걸 모르는 걸까???

아니면 알면서도 그런 뻔번한 짓거리를 하는걸가...참 궁굼한게 많아.

딸내미의 눈물.......

댓글 2 | 조회 5,150 | 2009.01.28
일주일동안 일을 마치고 첫 주급을 받아 온 딸내미가 주급 봉투를 열어 보더니 훌쩍 훌쩍 울고 있더군요. "주급 받았니? 근데 너 왜 우냐?" 내가 물었습니다. "… 더보기

밥 먹을 땐 피켓을 들자

댓글 0 | 조회 2,842 | 2009.01.13
비록 신 김치 한가지하고 밥을 주더라도 아이고 ~ 어쩌면 김치가 이렇게 맛있게 셔 터졌어, ~ 좋은 쌀도 아닌데 밥 요리를 어쩌면 이렇게 맛있게 잘했어, ~ 반찬… 더보기

살이 찐 아내.....

댓글 0 | 조회 3,663 | 2008.12.23
주말 저녁에 베리 집으로 커피를 마시러 갔습니다. 노부부가 살고 있는 언덕 위의 작은집이 아름답고 아기자기한 꽃밭과 연못도 보기 좋더군요. 여러 종류의 장미꽃이 … 더보기

정말 공짜야?

댓글 0 | 조회 4,108 | 2008.12.09
얼마 전부터 아침에 담이 많이 나오고 피도 섞여 나오더군요. 주택 리 모델링 공사를 하면서 직접 목수 일을 하다 보니 먼지도 많이 마시고 피곤해서 그런가 보다 했… 더보기

오씨 가족의 참변

댓글 1 | 조회 4,727 | 2008.11.25
최근 들어 오씨 가족들이 나들이를 나갔다가 참변을 당했다는 소식이 간간히 들려 옵니다. 겨우내 움 추리고 집에서만 있던 오씨들이 요즘같이 따뜻한 봄철이 되면 가족… 더보기

이웃집 여인

댓글 1 | 조회 4,292 | 2008.11.11
우리 집 뒤뜰언덕에 사과나무 열 그루가 있는데 그 뒤 울타리 너머의 높은 언덕엔 커다란 숲이 있습니다. 이웃집 여인은 개를 데리고 매일 그 숲속을 산책합니다. 내… 더보기

잔혹한 전원생활

댓글 1 | 조회 3,999 | 2008.10.30
요즘 사료 값이 올라 돈도 많이 들어가는데 오리를 2마리나 가져간다는 사람이 생겼습니다. 공짜로 가져가는 것이 아니라 돈을 주고 사 간다는 것입니다.암, 그래야지… 더보기

불행을 주는 나의 그림?

댓글 0 | 조회 3,161 | 2008.10.14
어느날 젊은 부부가 나를 찾아왔습니다. "저희 부부를 예쁘게 그려 주세요." 참 잘 생기고 행복해 보이는 한 쌍의 부부였습니다. 나는 부부그림은 그리기 힘들다고 … 더보기

첫 키스만 50번째

댓글 0 | 조회 3,155 | 2008.09.23
언젠가 TV에서 방영한 '첫 키스만 50번째'란 영화를 보았습니다. 교통사고로 단기 기억상실증에 걸린 여자 주인공은 사고가 나기 전만 기억하며 그 이후에 일어나는… 더보기

학자금 대출 상환

댓글 0 | 조회 2,369 | 2013.11.26
이번호에는 학자금대출 상환에 대해 학자금대출자 입장에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학자금대출 잔액이 있는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납세자는 연소득이 기준소득을 초과할 경우, … 더보기

4주 연차휴가

댓글 0 | 조회 5,880 | 2013.11.12
고용주는 1년이상 근속 직원에게 연 4주의 유급휴가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이번호에는 연 4주 유급휴가와 관련하여 자주받는 문의에 대해서 노동부 웹사이트의 자료… 더보기

전산 자료에 대한 IRD의 입장 (Ⅱ)

댓글 0 | 조회 1,811 | 2013.10.23
이번호에는 지난호에 이어, IRD의 세무행정 업무를 돕는 인터넷 서버업체와 관련한 규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IRD 입장에서의 관심사는 이런 서버(Clou… 더보기

전산 자료에 대한 IRD의 입장 (Ⅰ)

댓글 0 | 조회 1,812 | 2013.10.08
전통적으로 전산자료라하면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타파일이나 우리가 흔히 쓰고있는 엑셀, 워드로 작성된 문서파일를 뜻한다. 그렇지만 최근 인터넷의 성장과 더불어 서… 더보기

기타 제반 증빙자료

댓글 0 | 조회 1,967 | 2013.09.25
이번호에는 수입과 지출에 대한 직접적인 증빙자료 이외에 사업주가 7년동안 보관해야 할 보조증빙자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아래의 내용 역시 일반적이 내용만을… 더보기

매입/지출 증빙자료 정리

댓글 0 | 조회 2,105 | 2013.09.11
이번호에는 상품구매 및 이외 지출 관련한 증빙자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아래의 내용은 일반적인 내용만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구체적인 내용 및 업무에 대해서는… 더보기

매출 증빙자료 정리 및 보관

댓글 0 | 조회 7,460 | 2013.08.27
매출 증빙자료는 객관적으로 매출을 증빙할수 있는 모든 증빙자료를 말한다. 이는 사업체의 운영인 및 운영방식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발행 … 더보기

증빙자료 정리 및 보관

댓글 0 | 조회 1,987 | 2013.08.14
사업체 운영시 사업주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업무중의 하나는 각종거래에 대한 증빙자료를 정리 보관하는 것이다. (세무증빙자료 7년보관) 어떤 증빙자료들을 준비해야… 더보기

사업체 인수

댓글 0 | 조회 1,821 | 2013.07.23
드물게, 사업체를 소유하고 있는 주식회사의 주식을 인수함으로써 사업체를 인수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교민사업주인 경우 그런 주식회사의 주식을 인수하기 보다는 해당… 더보기

사업체 신규창업

댓글 0 | 조회 1,869 | 2013.07.10
사업체 운영 경험이 있는 교민인 경우 영업장을 직접 셋업해 보고 싶은 욕망이 있게 마련이다. 이번호에는 영업장 셋업의 대해서 가상의 예를 들면서 소개해보도록 하고… 더보기

택스코드(Tax Code)

댓글 0 | 조회 14,689 | 2013.06.25
택스코드(Tax Code)란 고용소득으로부터 공제/납부되는 소득세를 결정짓는 코드를 말한다. 택스코드는 고용인이 고용계약 직후에 ‘Tax Code De… 더보기

해외출국자의 학자금대출 상환

댓글 0 | 조회 2,820 | 2013.06.12
정부 학자금대출 잔액이 남아있는 자가 현재 뉴질랜드에 거주(184일 이상)하고 있다면, 학자금 대출에 대한 이자가 부과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해외로 장기출국을 … 더보기

사업용 차량

댓글 0 | 조회 2,067 | 2013.05.29
이번호에는 사업용 차량에 대해서 간단히 소개하도록 하겠다. 차량과 관련하여 자주 질문을 받는 내용 중의 하나는 회사명의로 차량을 구입할 경우 차량가액에 대한 GS… 더보기

헌금에 대한 소득세환급

댓글 0 | 조회 2,479 | 2013.05.14
매년 4월에는 종교기관 등 자선단체로부터 전 세무년도 (4월1일 ~ 3월31일) 기간의 합계 헌금영수증을 받는다. 이번호에는 이런 자선단체헌금에 대한 소득세환급 … 더보기

카카오톡

댓글 0 | 조회 2,149 | 2013.04.23
최근에 스마트기기(스마트폰, 타블랫)의 급속한 대중화로 보다 편리하고 신속한 의사전달이 가능해 짐으로써, 세무업무 진행에도 상당한 도움이 되고 있다. 이번호에는 … 더보기

세금할부납부신청 및 기타

댓글 0 | 조회 2,363 | 2013.04.10
세금할부납부신청 매해 4~5월에는 이전 세무년도 최종소득세, 당해년도 중간예납 및 GST납부를 납부하게 되어 일부 사업자는 상당한 재무부담을 받는다. 올해에도 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