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 알았더라면...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미리 알았더라면...

0 개 1,675 이동온
고객의 의뢰를 받아 첫 상담을 할 때면 간혹, 아 조금만 더 일찍 알았더라면… 혹은 며칠만 더 일찍 조언을 구했다면 하고 아쉬워할 때가 있다.  교민들이 비교적 자주 접하시게 되는 부동산매매와 임대차 관련하여 몇 가지 예를 들어볼까 한다.
 
먼저 분양 계약을 살펴보자.  부동산법에 ‘분양’ 또는 ‘분양 계약’은 정의되어있지 않다.  택지를 분할 또는 개발할 때 새로운 타이틀이 발급 되어야 하지만 계약시점에서는 타이틀이 존재하지 않는 부동산의 계약을 분양 계약이라 보시면 될 듯 하다.  보통 개발업자가 도면을 보여주고 파는 부동산 거래의 대부분이 분양 계약일 것이다.  현재 부동산 시장을 볼 때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게 되니 집이 완공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분양 계약의 형식으로 부동산 매매가 빈번히 이루어 지고 있다.
 
부동산을 분양을 받게 되면, 계약시점에는 실제 눈으로 확인 할 수 있는 집이 존재하지 않기에, 조감도나 도면의 형태로만 상상할 수밖에 없는데, 부동산 중개인 또는 개발업자의 말을 듣고 솔깃해서 계약서에 서명은 했으나, 자고 일어나보니 마음이 바뀔 수도 있을 것이다.  마음이 바뀌었건, 아니면 하루 사이에 재정 상황이 바뀌었건, 어떤 이유에서건 계약을 해약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자원관리법(Resource Management Act 1991)는 정부의 승인을 받은 측량 도면이 존재하지 않아 타이틀이 발급되지 않은 부동산의 매매계약, 즉 분양 계약에는 의무적으로 14일간의 유예기간을 두어 구매자가 이 기간 동안 계약을 해약할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두었다.  따라서 자원관리법에 의거하여 계약시점으로부터 14일간 안에 계약을 합법적으로 취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면, 분양 계약이 아니라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  집이 이미 존재하고 타이틀 역시 존재하고 있는 집을 무조건부로 구매하기로 했는데, 계약서에 서명한 후에 마음이 바뀌었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  이 때는 계약서에 자그마한 글씨로 적혀있는 타이틀 요구 조항을 잘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타이틀에 집주인으로서의 권리를 제약하는 지역권이 있거나 또는 시청에서 설정해놓은 빗물 배관 등의 제제가 설정되어 있다면, 이를 근거로 하여 매매계약을 해약할 수 있는 방법이 생길 수도 있다.  허나 이 또한 구매자가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기간의 제약이 있으니, 신속히 법률자문을 구해야 할 것이다.

임대차 역시 시기를 맞추지 못하여 상대방의 요구사항을 무조건 받아들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임대차는 그 기간을 한 번의 긴 시간보다, 보다 짧은 기간으로 임차를 시작하되 연장 권한을 가지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즉, 총 12년의 임대차 기간이라면, 세입자의 입장에서는 처음 임차를 계약할 때 12년을 한 번에 계약하는 것보다, 첫 6년 후 다시 6년을 연장하거나, 첫 3년 후 다시 3년씩 세 번 더 연장할 수 있는 형태의 계약이 더 유리할 것이다.  연장권한이 있는 임대차계약에서는 세입자가 일정기간 안에 연장권한을 행사하여야 한다.  즉 예를 들어, 해당 임차기간이 끝나기 삼 개월 전에 건물주에게 임차기간을 연장을 한다고 서면으로 통보해야 하는 식이다.  만약 세입자가 이 시기를 놓쳐서 연장권한을 행사하지 못하였다면, 건물주가 해당 임차기간 종료시 세입자를 퇴거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 시기를 실수로 놓치더라도 연장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방법이 부동산법(Property Law Act 2007)에 존재하긴 하지만, 불확실성과 비용을 고려하면, 연장권한의 행사기간을 놓치는 것은 치명적인 실수가 될 수 있다.

비슷한 예로, 대부분의 상업용 임대차에는 렌트비 조정 조항이 있기 마련이다.  몇 해마다 적정 렌트비를 다시 산정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경우에는 건물주가 세입자에게 새 렌트비를 통보하는 방법으로 렌트비가 조정된다.  세입자가 새로운 렌트비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건물주가 새 렌트비를 통보한 시점부터 일정기간 안에 이의를 제기하여야 하는데, 이 기간 안에 적절한 절차를 따라 이의제기를 하지 않는다면 건물주가 통보한 렌트비를 울며 겨자 먹기로 그대로 내어야 할 것이다.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변호사 보기가 부담스러워서 또는 비용이 걱정돼서 등의 이유로 법률조언을 받지 않거나, 변호사의 조언을 받을 수 있는 시기를 놓치시는 듯 하다.  계약법에서 시기, 즉 타이밍은 상당히 중요하고, 이 시기를 놓치게 되면 적절한 대처방법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적절한 시점에서 법률조언을 받는 것이 권장된다.
 

[362] 라키우라 트랙(Ⅳ)

댓글 0 | 조회 971 | 2007.08.14
- 신선한 해산물로 한결 재미있는 조용한 3박4일 일정 - 젖은 옷과 배낭을 걸고, 진흙을 턴 등산화를 난로 옆에 놓은 후 오늘 저녁을 위해 산장 바로 앞에 있는… 더보기

[361] 라키우라 트랙(Ⅲ)

댓글 0 | 조회 976 | 2007.07.24
신선한 해산물로 한결 재미있는 조용한 3박4일 일정 멀리 오래된 부두가 보이더니 그 뒤로 포트 윌리엄 산장이 고개를 내밀었다. 산장은 3개의 독립된 방과 부엌이 … 더보기

[360] 라키우라 트랙(Ⅱ)

댓글 0 | 조회 942 | 2007.07.10
신선한 해산물로 한결 재미있는 조용한 3박4일 일정 제2일 오반~포트 윌리엄 헛 <16km-5~6시간 소요> 이번 트래킹을 위한 배낭에는 다른 때와는 … 더보기

[359] 라키우라 트랙(Ⅰ)

댓글 0 | 조회 997 | 2007.06.27
- 신선한 해산물로 한결 재미있는 조용한 3박4일 일정 - 뉴질랜드는 세계적인 관점에서 볼 때 외딴 지역에 있는 작은 섬이다. 그런 뉴질랜드에서도 더 외딴 곳이 … 더보기

[357] 루트번 트랙(Ⅴ)

댓글 0 | 조회 1,072 | 2007.05.23
- 호수와 폭포와 눈의 서사시 - 제3일 루트번플랫 산장~루트번 대피소 <6.5 km-2~3시간> 침대가 있는 방이 비교적 어두워 늦잠을 잤다. 칫솔을… 더보기

[356] 루트번 트랙(Ⅳ)

댓글 0 | 조회 977 | 2007.05.09
- 호수와 폭포와 눈의 서사시 - 계속된 오르막을 올라오느라 생긴 갈증을 깨끗한 시냇물로 씻는다. 길옆에 있는 야생화들이 편안한 휴식에 즐거움을 더해준다. 오늘 … 더보기

[355] 루트번 트랙(Ⅲ)

댓글 0 | 조회 903 | 2007.04.24
호수와 폭포와 눈의 서사시 농장(The Orchard)'이라는 흥미로운 장소가 나오는데, 마치 과수원처럼 작은 풀들 사이에 복숭아나무 같은 작은 나무들이 서 있다… 더보기

[354] 루트번 트랙(Ⅱ)

댓글 0 | 조회 949 | 2007.04.12
호수와 폭포와 눈의 서사시 ◆ 제1일 디바이드~매켄지 산장 <12 km/5시간> 아침 7시30분 숙소에서 출발한 승합차가 트랙의 시작점인 94번 도로의… 더보기

[353] 루트번 트랙(Ⅰ)

댓글 0 | 조회 1,399 | 2007.03.28
- 호수와 폭포와 눈의 서사시 - '반지의 제왕'의 가장 화려한 부분을 장식하는 곳 중의 하나가 바로 뉴질랜드 남섬의 퀸스타운과 함께 있는 와카티푸 호수의 끝에 … 더보기

[352] 볼쉘터 산장 트랙(Ⅳ)

댓글 0 | 조회 1,078 | 2007.03.12
배고픔을 달래기 위해 모두 눈 표면의 더러운 것을 긁어내고 눈을 파 담기 시작했다. 고된 산행으로 배고픔을 느낀 뒤 먹는 음식만큼 소중한 경험은 없다. 아이들은 … 더보기

[351] 볼쉘터 산장 트랙(Ⅲ)

댓글 0 | 조회 987 | 2007.02.26
제 본격적으로 오르막이 시작되는데 주위의 모습은 갈수록 더 황량하다. 아주 오랜 기간동안 끊임없이 떨어진 낙석이 쌓이고 또 쌓여 수만 평은 될 듯한 넓이에 퍼져 … 더보기

[350] 볼쉘터 산장 트랙(Ⅱ) - 대빙하의 살벌함과 역동성

댓글 0 | 조회 947 | 2007.02.13
볼쉘터 산장 루트는 완만한 경사로 끊임없이 이어지는 트랙이다. 중간까지는 길 상태가 좋고, 이후부터는 루트(route)로 되어 있어 약간 주의해서 찾아가야 한다.… 더보기

[349] 볼쉘터 산장 트랙(Ⅰ)- 대빙하의 살벌함과 역동성

댓글 0 | 조회 1,029 | 2007.01.30
**** 산사태로 길 막혀 산장 직전에서 되돌아서 **** 마운트 쿡으로 들어가는 길에서 만나는 교통체증은 기분좋은 체증이다. 한 떼의 양이 지저분한 털을 잔뜩 … 더보기

[348] 엔더비 아일랜드(Ⅳ)- 바다사자, 펭귄, 도둑갈매기 그리고…

댓글 0 | 조회 1,169 | 2007.01.15
시야가 넓어지며 바다가 나오는데 내가 나온 라타 숲은 센 바람을 이기기 위해 키가 2m가 넘지 않으며, 작은 가지와 잎이 서로 엉키고 뒤틀려 있다. 이 숲이 작은… 더보기

[347] 엔더비 아일랜드(Ⅲ) - 바다사자, 펭귄, 도둑갈매기 그리고…

댓글 0 | 조회 1,208 | 2006.12.22
작은 관목숲이라도 있어야 살아가기 때문에 영하의 극한온도에서 사는 다른 펭귄과는 아주 다른 생활을 한다. 크기는 76cm 정도로 황제펭귄과 킹펭귄을 제외한 세 번… 더보기

[346] 엔더비 아일랜드(Ⅱ) - 바다사자, 펭귄, 도둑갈매기 그리고…

댓글 0 | 조회 1,078 | 2006.12.11
숲 오른쪽에서 작은 소리가 나서 보니 뭔가 작은 생물체가 눈에 띈다. 몸에 비해 부리가 비정상적으로 긴 작은 새인데 나를 보더니 뛰기 시작한다. 뛰는 모습을 보니… 더보기

[345] 엔더비 아일랜드(I) 바다사자, 펭귄, 도둑갈매기 그리고…

댓글 0 | 조회 1,200 | 2006.11.27
오늘은 엔더비섬(Enderby Island)을 일주하는 날이다. 엔더비섬은 뉴질랜드에서 자연생태의 보고인 곳이다. 하나의 커다란 생태 박물관을 방불케하는 이 커다… 더보기

[344] 헉슬리 포크 헛 트랙(V) 모뉴먼트 산장 - 구름다리

댓글 0 | 조회 981 | 2006.11.13
슬슬 숲길이 시작되서 물길을 건너려고 했다. 물 깊이는 약 허벅지까지이고 물살이 제법 빠르고 물은 없는 것처럼 맑다. 창선 형님은 신발과 양말 바지를 벗고 건너려… 더보기

[343] 헉슬리 포크 헛 트랙(IV) 모뉴먼트 산장 - 구름다리

댓글 0 | 조회 1,074 | 2006.10.24
우리는 세 번째 방법을 택하기로 했다. 지형적으로 강 옆에 있는 트랙을 산의 높은 곳에 만들어 놓을 이유가 없기 때문에 쉽게 찾을 수 있으리라는 생각에서였다. 신… 더보기

[342] 헉슬리 포크 헛 트랙(III) 모뉴먼트 산장 - 구름다리

댓글 0 | 조회 1,202 | 2006.10.09
*****모뉴먼트 산장 - 구름다리***** 모뉴먼트 산장에서는 가까운 레드 산장(45분)으로 가는 길과 헉슬리 포크 산장으로 가는 두 갈래 길로 나뉜다. 레드 … 더보기

[341] 헉슬리 포크 헛 트랙(II) - ‘바람의 터’ 오하우 호수

댓글 0 | 조회 951 | 2006.10.09
*****트와이절-레이크 오하우-램힐(Ram hill)***** 트와이절에서 퀸스타운으로 가는 국도를 타자 곧 우측으로 ‘LAKE OHAU'라고 써 있는 간판이 … 더보기

[340] 헉슬리 포크 헛 트랙(Ⅰ) - ‘바람의 터’ 오하우 호수

댓글 0 | 조회 1,294 | 2006.09.11
뉴질랜드는 여행자의 천국이다. 특히 산을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더욱 더 그럴 수 밖에 없다. 오스트레일리아 판과 태평양 판이 맞부딪혀 남섬의 서부를 가로 지르는 서… 더보기

[339] 험프리지 트랙(Ⅳ) - 자연과 생명과 산과 바다를 엮은 신비의 길

댓글 0 | 조회 1,200 | 2006.08.21
험프리지 트랙의 산 정상에서 보는 일출은 '환상'이다. ■제3일 포트 크레그 빌리지 산장 ~ 불루 클리프 해변 주차장 <18kmㆍ8시간> 어제의 좋은 … 더보기

[338] 험프리지 트랙(Ⅲ) - 자연과 생명과 산과 바다를 엮은 신비의 길

댓글 0 | 조회 1,100 | 2006.08.09
■ 제2일 오카카 산장~포트 크레그 빌리지 산장 <18kmㆍ7~8시간> 새벽 4시경 건물에서 조금 떨어진 화장실을 가다가 하늘을 올려다본다. 어제에 비… 더보기

[337] 험프리지 트랙(Ⅱ) - 자연과 생명과 산과 바다를 엮은 신비의 길

댓글 0 | 조회 1,030 | 2006.07.24
■ 제1일 블루클리프 해안 주차장 ~ 오카카 산장 <18kmㆍ7~9시간> 약 30분 후 트랙 시작점에 도착했는데, 함께 도착한 할머니 6명은 험프리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