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5] 청계천을 가보고 싶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25] 청계천을 가보고 싶다

0 개 2,518 코리아타임즈
  해가 바뀌고 나니까 마음도 바뀌나? 그럭저럭 잘 견디던 향수병이 갑자기 도지나보다. 고국이 그립다. 나 없는 사이 많이도 달라진 서울, 청계천이 다시 살아났단다. 그 조용히 흐르는 맑은 물줄기를 따라 마냥 걸어보고 싶다는 욕구며 마치 또다른 제 삼의 나라에 간 듯한 느낌으로 닥아서고 싶은 서울. 세계 사람들이 서울을 경험하고 느낀 이야기처럼 나도 이젠 이방인이 되어 그들을 공감하는 처지가 되었다.

  낮이면 하늘을 누렇게 휘덮으며 밤이면 별빛을 흐리게 하고 동틀 무렵이나 해질녘이면 고층빌딩에서 마치 죽은갈색의 바다처럼 보이는 오염 된 안개로 싸여있는 서울. 그 오염물질들은 여름이면 뜨거운 열기와 만나 피부를 따끔거리게 하는 짙은 스모그로 바뀐다. 그러나 이 도시의 아름다움을 더욱 강렬하게 느끼도록 하는 것이 이 약점들이라면? 한바탕 소나기가 퍼붓고 난 후의 선명하고 생동감있는 풍경들과 사계절이 있어 바뀌는 모습이 아름다워 권태기가 올 법한 칠 년을 잘 넘기고 영원히 살 수 있을 것이라는 영국인.

  옛날 서울보다는 홍콩에 더 가까운 모습으로 변해버린 서울이지만 따끈한 온돌방에 지친 몸을 뉘이며 본질적인 모습은 변하지 않았다는 감각의 기쁨을 말한 미국인. 평범한 경험은 쉬 잊혀지지만 특이한 경험은 영원하다 라고.

  나를 네게 묶어두는 것은 무얼까? 그것은 사랑 아니면 다른 접착제일까? 무얼까? 기다려 가지마 하루만 좀 기다려 하고 말하게 하는 것은. 서울을 돌아보고 올림픽 공원에 도착했을 때 그러한 시상이 떠올랐다는 인도의 유학생, 아시아의 황금기에 등불을 든 자가 서울에 있으니 그 등불은 동방의 빛으로 다시 한 번 밝혀질 것으로 기다리고 있네. 이 은밀한 에덴. 이 푸른 멜로디 느낄 수 있는가? 세대를 걸쳐 볼 수 있게 자연이 만들어 놓은 것을….

  거리와 골목의 끝없는 미로속에서 색색의 야간 네온불빛이 깜박이고 윙윙대며 눈부신 복잡한 거리, 음식냄새가 흘러 넘치는 축제의 밤, 그러나 20년동안 한국은 경제대국으로 성공에 굶주린 호랑이를 등장했다고 쓴 캐나다인.

  한국 여성과 결혼해 세계 10대 문명도시인 서울에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며 체험하는 이웃사랑 이야기의 중국인.

  지하철 2호선 개통도 되기 전에 압도적인 교통수단이었던 버스로 시내 곳곳을 누비며 관광을 했다는 일본인. 한약냄새가 풍기는 경동시장까지….

  그리고 신혼부부 기념사진 촬영장으로 바뀐 경복궁 덕수궁 비원의 새로운 모습을 보는 재미며 일요일 산책을 위해 아이스피켈까지 북극 탐험가의 복장으로 완전무장을 한 남녀를 보고 놀라웠다는 프랑스인.

  남산 타워에 가서 서울의 옛모습 사진을 보고 눈 깜짝할 사이에 꼭대기까지 올라가 진짜 오늘의 서울 모습을 보며 놀랍다는 호주인. 서울의 그 아름다운 궁들이 왜 세계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는지 안타깝단다.

  근대 서울을 보는 세계인들의 느낌은 그렇겠지만 반세기 저편의 서울모습은 서정시같은 정서가 아름답게 깔려 있었다. 미션베이에서 수영하는 사람들처럼 우리도 뚝섬 유원지에서 수영을 했다. 돛단배 유유히 넘나드는 한강,그 강가에서 고무신 벗어 들고 송사리도 건지고 계절따라 들어오는 싱싱한 고깃배를 반가움으로 맞던 나 어릴적 시절의 옛 서울, 내 추억은 그 때의 서울이 더욱 생생하다. 오직 한가지 지금까지 변하지 않은 것은 서강쪽으로 물드는 황혼만이 여전할 뿐…, 시간은 흐르고 시대는 바뀌어 이제 또한번 탈바꿈을 한 서울의 모습, 시내 한복판 고층빌딩 사이를 누비고 젖줄같은 맑은물이 흐르고 있을 아름다운 청계천, 미라보 다리같이 진짜 수표교도 있을테지. 요즈음 외국인들은 어떤 시각으로 서울을 이야기할까?

  언제인가 촌티 물씬 풍기는 코질랜더로 그곳을 두리번거릴 바로 내 모습이 지금부터 웃습기만 하다.

Screwed up - by St George Institute of Learni…

댓글 0 | 조회 2,122 | 2007.02.01
Tanya: I met the broker yesterday. Joyce: Did you? How did it go? Tanya: We didn’t get it.… 더보기

Holiday - by St George Institute of Learning

댓글 0 | 조회 2,065 | 2007.01.10
That’s my dream vacation! 그게 바로 내가 원하던 휴가야! M: Well, summer is in full swing. Do you have … 더보기

Christmas -by St George Institute of Learning

댓글 0 | 조회 2,158 | 2006.12.08
Christmas 크리스마스 M: Have you seen the Santa statue on the Whitcoulls building? It’s out ear… 더보기

Climate and Weather 오클랜드 날씨-St George Institu…

댓글 0 | 조회 2,667 | 2006.10.27
Climate and Weather Jack: I hate spring in Auckland.The weather is so unpredictable. 나는 오클… 더보기

Personality 성격 -by St George Institute of Lea…

댓글 0 | 조회 2,141 | 2006.09.12
Personality Joyce: What’s the deal with Jim? Why is he so moody all the time? 짐한테 무슨 일 있어?… 더보기

Veggie shop 야채가게 풍경 -by St George Institute o…

댓글 0 | 조회 2,116 | 2006.09.07
Veggie Shop 야채가게 This is a quick introduction to what an Auckland fruit and veggie shop is… 더보기

Arguing 말다툼 -by St George Institute of Learni…

댓글 0 | 조회 1,994 | 2006.08.15
A: It seems that you are in a bad mood. Has something happened? B: I crashed into another … 더보기

Over the top (과도한)-by St George Institute of …

댓글 0 | 조회 1,961 | 2006.07.17
Garth: We’re very careful with our money now, as we have quite a few debts to repay. Kim: … 더보기

Losing a job (실직)- by St George Institute of …

댓글 0 | 조회 1,820 | 2006.07.04
Losing a job! Jimmy:I was let go last week. Theresa: What? Why did they lay you off? You w… 더보기

Test 시험 - by St George Institute of Learning

댓글 0 | 조회 2,116 | 2006.06.21
James: How did you do in your final? Soraya:I aced the test! James: Wow, you’re an Einstei… 더보기

역사의 순환 - 미국달러의 운명

댓글 0 | 조회 4,668 | 2009.07.08
금주에 있을 G8정상회담은 미국달러의 운명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일정입니다. 또한 새롭게 태어날 미FRB도 그런 달러의 새 운명을 주도하기 위해 이제 역사… 더보기

[환율이야기]치열한 백마고지 전투 – 화폐전쟁 6월지

댓글 0 | 조회 4,966 | 2009.07.08
 지난 5월 중순이후 미국달러는 여타 통화대비 확연히 약세를 보여 예상외로 많은 고지를 내어주었습니다. 2008년 고지(고점) 대비하여 유로화, 영국파운드, 호주… 더보기

<환율이야기>부반장 Kiwi Dollar! 반장 Aussie Dollar!

댓글 0 | 조회 3,701 | 2009.05.08
지난 주(4/30)는 키위달러(Kiwi Dollar), 이번주(5/4)는 어지달러(Aussie Dollar)의 OCR발표가 있었습니다. 종전에는 반장인 호주의 일… 더보기

[환율이야기]FX투자!

댓글 0 | 조회 3,202 | 2009.04.28
- 열심히 배워서 때에 맞춰 써 먹는 즐거움 - 김용옥선생이 최근 낸 책에서 논어의 제1주제인 “學而時習之 不易悅呼”를 재 해석한 것입니다. 기존에 ‘때때로 익힌… 더보기

[환율이야기]죽어가던 독수리(미국달러)의 재활

댓글 0 | 조회 3,513 | 2009.04.16
미국의 상징인 독수리는 나이가 들면서 약해지면 가장 높은 곳으로 올라가 모든 깃털을 뽑아버리며 새로운 부리와 발톱을 얻어 가지고 돌아온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 더보기

[환율이야기]‘반만 남은 컵’이냐 ‘반이나 남은 컵’이냐?

댓글 0 | 조회 3,518 | 2009.03.18
키위달러는 3월 첫 주 중국발 훈풍으로 미국 증시가 약발을 받은 후 위험자산 선호쪽으로 바뀌며 강세로 돌아서더니 지난 주 중앙은행의 OCR 0.5%인하로 인해 단… 더보기

키위달러 US달러대비 절반이하로

댓글 1 | 조회 4,802 | 2009.03.02
사냥총이 없다면 날고 있는 새를 잡기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한국의 시골에서 자란 분들은 꿩을 먹이로 유인하여 땅에 내려 오면 소쿠리 같은 것으로 덮어 잡아 본 … 더보기

환율이야기-역사에서 배우지 않는 민족은 미래가 없다

댓글 1 | 조회 3,021 | 2008.11.28
이제 이번 주 지나면 마지막 남은 잎새처럼 12월 한 장의 달력이 남습니다. 그간 몇 달이었지만 변화로 보면 몇 십년을 보낸 것과 맞먹는 분량의 시간이었습니다. … 더보기

이번 주에 베이스캠프가 있을 듯

댓글 1 | 조회 2,735 | 2008.11.24
지난 금요일 미국시장 다우장세는 가이스너가 차기재무장관에 내정되었다는 소식 단 하나에 막판에 6.54% 494포인트나 상승하였고 NDF역외환율도 1,475원으로 … 더보기

이제 야구 2회말 수비는 또 어떻게?

댓글 0 | 조회 2,439 | 2008.11.06
어제 치러진 미국대선은 정말로 세계사엔 남을 역사적인 선거가 될 것입니다. 그렇면서도 작금 우리의 신경이 다른 곳으로 쏠려서 정작 우리에게 닥친 중요한 것들을 소… 더보기

어쩌면 다시 못 볼 기회일지도?

댓글 0 | 조회 4,287 | 2008.10.25
지금 주식이나 펀드, 부동산, 외환, 원자재 할 것 없이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이 고통이 어디서 끝날지 어디가 진정한 바닥인지 궁금해 합니다. 배가 가라앉지 않기 … 더보기

원화 어디까지 가나?

댓글 1 | 조회 5,103 | 2008.10.13
첫회에서는 원화, 미국달러, 키위달러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 삼각관계는 양키에 대해 한국원의 가치가 떨어질수록(900원에서 1200원으로 가는 방향)… 더보기

롤러코스터 타고 있는 환율

댓글 0 | 조회 4,043 | 2008.09.25
지금 우리는 1929년 대공황이후 역사에 또 하나의 고유명사로 남겨질 시기를 보내고 있습니다. 수백년된 고목이 쓰러지듯 100여년이 넘는 (투자)은행들이 하루 아… 더보기

[KoWiTV] 전래동요와 놀이

댓글 0 | 조회 2,977 | 2012.10.11
전래동요와 놀이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지난 10월 5,6일 양일간 있었던 오세아니아 한글학교 교사 연수에서 한계숙 선생님(한국 아동국악협회 교사교육팀장)이 강의… 더보기

[KoWiTV] 오클랜드 한인회 방문한 김정수 재외동포재단 기획이사

댓글 1 | 조회 2,290 | 2012.10.08
재외동포재단은 외교통상부 소속 기관으로 재외동포재단법에 의거, 재외동포들이 민족적 유대감을 유지하면서 거주국 안에서 그 사회의 모범적인 구성원으로 정착할 수 있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