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 Dos and Don’ts in Writing a Good Essay(I)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22] Dos and Don’ts in Writing a Good Essay(I)

0 개 2,761 코리아타임즈
  이번 호와 다음호에서는 좋은 에세이 쓰기를 위한 마지막 점검을 해보겠다.  Dos and Don’ts, 즉 에세이를 작성할 때 반드시 해야 할 일들과 해서는 안될 일들을 짚어 보면서 ‘좋은 에세이 쓰기’를 마무리해 보자.
  
  Dos (반드시 해야할 일들)
  ***********************
1. Separate the Paragraphs(각각의 단락들을 분리해라.)
Introduction, Body Paragraphs, Conclusion은 반드시 각각의 독립된 paragraph으로 써주어야 하며, 각 paragraph의 첫 문장은 두 칸을 띄고 시작해야 한다.

2. Stick to the Topic.(주제에서 벗어나지 말아라.)
  주어진 topic에서 벗어난 글을 쓰면 크게 감점을 받게 되므로 topic과 assignment를 꼼꼼히 읽고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분명하게 파악한 후에 outlining을 해야만 topic에서 벗어난 글을 쓰는 실수를 하지 않게 된다.

3. Be sure to adopt a position or point of view on the issue.(주어진 논제에 대해 자신의 입장을 분명히 정해라.)
  반드시 자신의 입장을 정해야한다. 즉 주어진 topic에 대해 찬성하는지 반대하는지를 확실히 해야한다.  그리고 자신이 Introduction에서 정해놓은 입장에서 벗어나서는 안된다.

4. At least two sound reasons and two relevant examples (반드시 적어도 두개의 확실한 이유와 두 개의 적절한 예들을 들어라.)
  자신의 의견을 지지해줄 이유들과 예들이 없으면 설득력있는 글이 될 수 없다는 점에 유의해서 반드시 남들이 납득할 만한 이유와 예들을 제시해야한다.

5. Your essay must be neat and readable.(여러분의 에세이는 반드시 깔끔하고 읽기 쉬어야 한다.)
  에세이를 쓸 때는 글씨는 또박또박, 깔끔하게 써야한다.  채점자(grader)는 글이 지저분하고 알아보기 힘들면 내용과 상관없이 그 글이 좋지 않은 글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6. Write formally.(격식에 맞추어 써라.)
  격식에 맞는 words, sentences를 사용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일상생활에 많이 쓰는 말들, 예를 들면 you know, say등은 쓰지 말아야한다.

7. Connect the paragraphs with conjunctions.(문단과 문단을 적절한 접속사를 사용하여 자연스럽게 연결시켜라.)
  적절한 접속사를 사용하지 않고 글을 쓰면 문단과 문단이 서로 다른 글로 분리되어 버리므로, 글을 자연스럽게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접속사를 사용해서 연결시켜 주어야한다.

8. Open and end strongly.(강하게 시작하고 강하게 끝맺음을 해라.)
에세이의 시작과 끝, 즉 Introduction과 Conclusion을 강하게 시작하고 강하게 끝내야만 자신의 의견을 강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9. Find out how much you can write in 25 or 30 minutes. (Keep careful track of your time.)  
  (25분 혹은 30분안에 얼마만큼의 양을 쓸 수 있는지 알아야한다.- 시간 배정을 잘해야한다.)
  주어진 시간안에 얼마만큼의 양을 써내려갈 수 있는지 잘 계획해서 써내려 가야한다.   에세이를 작성하면서도 시간에 주의해야한다.  많은 학생들이 시간이 모자라서 Conclusion을 제대로 작성하지 못하는데, 그렇게 되면 Conclusion에서 자신의 의견을 강하게 표현해줄 수 없게 되어서 글이 약해 보이게 된다.

10. Use simple words, use simple sentences, and use a simple argument.  You can express sophisticated thoughts with simple prose. (단순한 단어들을 사용하고, 간결한 문장을 사용하고, 명쾌한 논법을 사용해라.  여러분은 간결한 산문으로 복잡 미묘한 생각들을 표현할 수 있다.)
    어떤 학생들은 자신이 정확히 알지 못하는 고급스러워 보이는 단어들과 3,4개의 문장들이 결합된 복문(complex sentences)들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려고 애쓰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에세이는 전문 잡지에 나오는 난해한 글처럼 되어서는 안될 뿐만 아니라, 자신이 분명히 알지 못하는 단어들과 명쾌하지 못한 문장들로 써놓은 에세이는 읽는 사람에게도 그 내용이 분명하게 전달 될 수 없다.

11. An effective essay is concise, forceful, correct, and polished.(효과적인 에세이는, 간결하고 힘이 있고, 정확하며, 잘 다듬어져 있다.)
  자신의 의견을 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문장은 간결하지만 품위있으면서도 적확한 문장으로 표현해야만 한다.

12. Do proofread your essays for obvious errors. (분명한 오류들을 골라내기 위해서 여러분의 에세이의 마지막 교정을 보아야만 한다.)
   정해진 시간 안에 에세이를 쓰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틀린 단어를 쓰거나 잘못된 문장을 써 놓는 경우가 생긴다.  그러므로 에세이를 써놓고 반드시 다시 한번 읽어서 오류들을 교정해야만 한다.

[375] 선택(選擇)

댓글 0 | 조회 3,024 | 2008.02.26
하나님은 인간에게 선택권 즉 ‘자유의지(自由意志)’를 주셨다. 지금 세상은 온통 선택의 갈림길이다. 미국은 대통령 선거를 놓고 흑인 출신의 ‘버락 오바마’와 영부… 더보기

[374] 고양이가 남긴 것

댓글 0 | 조회 3,004 | 2008.02.12
'다롱이'가 사라졌다. 한국 사람들은 보통 고양이는 싫어하고, 개를 좋아한다. 교민들의 성향도 비슷하다. 유독 고양이를 좋아하는 이들도 있지만 대부분 개를 더 선… 더보기

[373] 승리(勝利)의 길

댓글 0 | 조회 3,568 | 2008.01.30
인생에는 영원한 승자(勝者)도 패자(敗者)도 없다. 승리의 화신(化身)이었던 '카이자르'는 한 순간의 방심으로 인생의 막을 내렸다. 한편 조선 제22대 임금 이산… 더보기

[372] 산뜻한 출발

댓글 0 | 조회 3,362 | 2008.01.15
1월을 뜻하는 'January'는 'Janus' (야누스)에서 유래 되었다고 한다. 로마신화에 나오는 'Janus'(영어식 발음:제이너스)는 두 얼굴을 가진, 문… 더보기

[371] 초록마을에서 희망을 본다

댓글 0 | 조회 3,743 | 2007.12.20
희망은 거창한 것이 아니다. 평범한 곳에서 찾는 소박한 소망일 뿐이다. 지난 11월 9일 아침 TV3에서는 '빌 클린턴' 전 미국대통령이 'Rachaelray'라… 더보기

[370] 그린 크리스마스(Green Christmas)

댓글 0 | 조회 3,312 | 2007.12.11
이민 와서 제일 속상한 것 중의 하나가 '화이트 크리스마스'를 보지 못한다는 사실이다. 화이트 크리스마스는 커녕 한 여름에 맞는 크리스마스는 이질감을 더해 주거나… 더보기

[369] 그림이 좋아야 한다

댓글 0 | 조회 3,173 | 2007.11.27
멋진 광경이나 사랑하는 연인들의 모습을 보면 흔히 "그림이 좋다"고들 말한다. <주한미국인들이 모여 사는 동네에 몇 차례 초대 받아 간 적이 있었다. 한 번… 더보기

[368] 바람난 물개들

댓글 0 | 조회 3,810 | 2007.11.12
바람난 물개들은 수영에는 관심이 없다. 한국 사람들은 어디서나 모임을 잘 만든다. 출신지나 출신학교에 따라, 동호인끼리 등. 나 역시 여러 모임에 속해 있었고 특… 더보기

[367] 왜 우리는 튀어야만 하는가

댓글 0 | 조회 3,287 | 2007.10.24
튀기 위해 뛰는 사람들-이는 여지 없이 한국인들이다. 지난 주 교민지들은 '노스쇼어타임즈 여론광장'에 한국인에 대한 온갖 비하성 발언이 계속 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더보기

[366] 아버지와 만년필

댓글 0 | 조회 3,603 | 2007.10.09
'있을 때 잘 해'라는 드라마도 나오고 노래도 나왔다. 미국계 회사원인 큰 애는 여유가 있는데 E회사에 다니는 둘째는 "싫컷 잠 좀 자 봤으면-"이 소원일 정도란… 더보기

[365] 민중의 지팡이

댓글 0 | 조회 3,254 | 2007.09.25
경찰이 '민중의 지팡이' 노릇을 못하면 '민중의 곰팡이'가 되기 쉽다. <다운타운의 '웨스트필드 쇼핑센터'에는 공식 출입문이 여섯개 있다. 그중 서쪽으로 나… 더보기

[364] 병천순대

댓글 0 | 조회 3,752 | 2007.09.11
WHO(세계보건기구)가 2007년 5월 18일 발표한 '세계보건통계 2007'에서 한국인의 평균수명은 78.5세(남75세, 여82세)로 나타나 세계 194개국 가… 더보기

[363] 여자와 뉴질랜드

댓글 0 | 조회 3,747 | 2007.08.27
여자는 그 이름만으로도 아름답다. 누군가 "여자의 마음은 갈대와 같다"고 설파했다. 또 누군가는 말했다. "참으로 알 수 없는 것은 개구리 뛰는 방향과 여자의 마… 더보기

[362] 아픔은 슬픔을 낳고

댓글 0 | 조회 3,446 | 2007.08.14
- 큐미오의 미스터리 - 이민와서 제일 만나지 말아야 할 상대는 질병이다. <작년 3월 어깨와 팔이 아파오기 시작했다. 큐미오의 F라는 중국인이 침을 잘 놓… 더보기

[361] 현지화는 괴로워

댓글 0 | 조회 3,136 | 2007.07.24
모두들 현지화를 부르짖지만 말처럼 쉽지가 않다. 1620년 영국과 네덜란드를 떠난 102 명의 Puritan(청교도)들은 Mayflower호를 타고 66일간의 긴… 더보기

[360] 적성(適性)과 적응(適應) 그리고 조화(調和)

댓글 0 | 조회 2,905 | 2007.07.09
IQ가 사람마다 다르듯 적성(適性:Aptitude) 또한 천차만별이다. 그렇게 사뭇 다른 사람들이 모여 집단을 이루고 사회를 만든다. 나는 살아 오면서 비교적 재… 더보기

[359] 조용한 아침의 나라

댓글 0 | 조회 3,136 | 2007.06.25
학창 시절 "우리나라는 '동방예의지국'이요, '조용한 아침의 나라'였다"고 배웠다. 그런데 지금 보면 예의지국은 모르겠으나 조용한 나라는 결코 아니었던 것 같다.… 더보기

[358] 돈이 많다고 다 부자는 아니다

댓글 0 | 조회 3,010 | 2007.06.12
돈이 너무 없어도 불쌍하지만, 돈이 있는데도 쓸 줄 모르는 사람 또한 불쌍하다. < 20대 초반에 논산에서 단 돈 5천원으로 상경한 P라는 친구가 있었다. … 더보기

[357] 정(情)과 의리(義理)

댓글 0 | 조회 3,257 | 2007.05.23
한국인의 특장점은 '정(情)과 의리(義理)' 였다. 현지화에 방해 되고 알량한 영어나마 퇴보할까봐 한국 TV를 전혀 보지 않았었는데 최근에는 한국인의 정서와 정체… 더보기

[356] ‘키다리 아저씨’의 긴 다리

댓글 0 | 조회 2,824 | 2007.05.08
긴다리는 저력이었다. '진 웹스터(Jean Webster)’ 의 ‘키다리 아저씨Daddy-Long-Legs)’ 는 1912년 작품이다. 그녀가 30대 중반에 쓴 … 더보기

[355] 이런 분 어디 계세요?

댓글 0 | 조회 2,476 | 2007.04.24
한인회장을 처음 맡은 것은 2002년 9월이었다. 당시 한인회는 혼미를 거듭했고 한인회장 또한 개인사정으로 일선에서 떠난 ‘보궐상태’ 였다. 어려운 시절 아무도 … 더보기

[354] '오클랜드에 살으리랏다'

댓글 0 | 조회 2,697 | 2007.04.11
배위에서 보는 오클랜드의 야경은 진정 아름다웠다. 지난 3월 모 법률회사가 주관하는 선상 파티에 초대 받아 간 적이 있다. 서울에서는 잠실 선착장에서 멀지 않은 … 더보기

[353] 지와 사랑

댓글 0 | 조회 2,812 | 2007.03.27
요즈음은 ‘지와 사랑’이 아쉽다. ‘헤르만 헤세(Herman Hesse)의 대표작이라할 ‘지와 사랑’을 한글로 만 써 놓으면 인터넷 세대들은 ‘G씨와의 사랑’으로… 더보기

[352] 신 뢰

댓글 0 | 조회 2,947 | 2007.03.12
민주사회에서 신의와 신뢰는 중요하고 꼭 필요한 덕목이다. 이재철 목사는 “왜 많은 집에 KAL 담요가 있습니까? 이는 절도행위입니다.”하고 탄식했다. 언제부턴가 … 더보기

[351] 비교는 상처를 부른다

댓글 0 | 조회 2,844 | 2007.02.26
21세기는 희망의 시대가 될 것이라 했다. 많은 사람들이 ‘지금까지의 미개척 분야, 불확실성의 문제들이 새천년초에는 해결 되거나 업그레이드 되리라 예측하고 기대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