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 Planning the essay(Outlining)(I)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16] Planning the essay(Outlining)(I)

0 개 2,865 코리아타임즈
이번에는 Essay를 직접 쓰기 직전에 해야 할 Plan 짜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주어진 Topic 을 갖고 Essay를 시작할 때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Topic Statement와 Assignment를 주의 깊게 읽 어 보고 Plan을 짜는 일이다. Homework으로 주어진 Essay를 쓰는 경우에는 충분한 시간을 갖고 Plan을 짤 수가 있으므로 특별한 어려움이 없지만 시험장에 나가서 한정된 시간에 Essay를 써야 하는 경우에는 시간적 제 약에 쫒겨 가면서 글을 써야 하기 때문에 대부분‘Plan을 짜느라고 아까운 시간을 낭비할 필요가 있을까?' 하는 질문을 하게 될 것이다. 이 질문에 대한 필자의 대답은 ‘반드시 Plan을 짜야 한다.'이다.  

  Essay를 쓰기 전 Outlining을(Plan을 짜야)하는 첫 번째 이유는, 특히 주어진 시간 안에 Essay를 써야 할 때, 미리 어떤 내용을 어떻게 전개 시켜 나갈지 계획하지 않고 글을 쓰면 대부분 사람들이 주어진 시간 안에 Ess ay를 써내지 못한다는 사실이다. 두 번째로는 계획없이 쓴 글은 글의 중심 축이 흔들리기 쉽다는 점이다. 즉, 자 신의 견해(Point of view)를 논리적으로 전개시켜 나가 기가 힘들다. Introduction에서는 주어진 Topic에 찬성 하는 입장을 취했는데 본문(Body paragraphs)에서는 반대하는 내용을 써놓게 된다든가, 찬성과 반대 입장을 왔다 갔다 하다가 제대로 된 결론도 내지 못하고 글을 마 치게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Plan을 짜는 일(Outlining)은 주어진 질문에 정확히 대답하고 여러분 이 의도한 결론에 도달하도록 보장해 주는 최선의 방법 이다. (It is the best way to ensure that you both answer the question and reach the conclusion you intend.) Outlining은 작성할 Essay의 지도(안내 도)라고도 할 수 있다. (The outline is a map of the essay.) 그러나 주의해야 할 점은 이 outline이 research paper들을 작성할 때 준비하는 것들과 같이 아주 자세 한 것들일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그렇게 한다면 너무 많 은 시간을 여기에 써야 하기 때문에 실제 Essay를 쓸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줄어들게 된다. 그러므로 각각의 Paragraph에 대해 단지 몇 단어들만 적어 나가도 된다.  여러 분들이 이러한 방법으로 실제로 많은 Essay를 써 보면서 연습을 한다면  Plan 짜는 시간은 줄어들게 될 것이며, 때로는 요점 정리만 간단히 적어 놓아도(jotting down) 머리 속에 Essay의 틀이 그려질 수도 있게 될 것이다.

  그러면 실제 Outlining(Plan짜기)을 시작하기 전에 Plan을 짤 때 여러분들이 사용하면 많은 도움이 될 Brain Storming에 대해서 한 번 알아보기로 하겠다. Brain storming은 여러분들이 주어진 Topic에 대해 찬성하는 입장을 취할 것인지 아니면 반대하는 입장을 취할 것인 지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Body paragra phs를 써내려 가기 위한 가장 적합한 Main points(Re asons for supporting your position)를 찾아내는데도 많은 도움이 되는 방법이다.

  Brainstorming is a prewriting technique that is very helpful in generating ideas on a specific topic.(브레인스토밍은 특정한 주제에 대한 아이디어를 떠오르게 하는데 매우 도움이 되는, 미리 써보기 기법이 다.) When you are assigned a topic for an essay, write down anything and everything that the topic brings to mind.(당신이 한 편의 에세이를 위한 주제를 받았을 때, 그 주제가 생각나게 해주는 것은 어떤 것이 든지 모두 다 적어라.)  Don't stop to correct your grammar and spelling- you are trying to get as many ideas down as quickly as possible.(문법이나 철자를 교정하려고 멈추지 마라. 당신은 가능한 한 빠르 게 많은 생각들을 적으려고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

  Brainstorming is based on the psychological principle of free association.(브레인스토밍은 자유 연 상의 심리학적 원리에 의거한다.) Words and images trigger other words and images, and your mind is often led to surprising destinations.(단어들과 이미지 들은 또 다른 단어들과 이미지들을 떠오르게 한다.) As you brainstorm, your paper will be filled with a list of ideas connected with your topic.(당신이 브레인스토밍을 할 때, 당신의 종이는 주제와 관련된 아 이디어들의 목록들로 가득차게 될 것이다.) Many of those ideas won't be usable, of course, but many will fit your needs.(물론 그 아이디어들 중 많은 것들 은 쓸모없을 것이다. 그러나 많은 것들은 당신의 필요에 맞아 떨어질 것이다.)

  Essay 작성에 있어서 Brainstorming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해줄 수 있다. 그러면 다음 번에는 Brainstorming 방법을 이용해서 실제로 Plan을 짜는 연습을 해보겠다.  

[372] 산뜻한 출발

댓글 0 | 조회 3,356 | 2008.01.15
1월을 뜻하는 'January'는 'Janus' (야누스)에서 유래 되었다고 한다. 로마신화에 나오는 'Janus'(영어식 발음:제이너스)는 두 얼굴을 가진, 문… 더보기

[371] 초록마을에서 희망을 본다

댓글 0 | 조회 3,737 | 2007.12.20
희망은 거창한 것이 아니다. 평범한 곳에서 찾는 소박한 소망일 뿐이다. 지난 11월 9일 아침 TV3에서는 '빌 클린턴' 전 미국대통령이 'Rachaelray'라… 더보기

[370] 그린 크리스마스(Green Christmas)

댓글 0 | 조회 3,302 | 2007.12.11
이민 와서 제일 속상한 것 중의 하나가 '화이트 크리스마스'를 보지 못한다는 사실이다. 화이트 크리스마스는 커녕 한 여름에 맞는 크리스마스는 이질감을 더해 주거나… 더보기

[369] 그림이 좋아야 한다

댓글 0 | 조회 3,165 | 2007.11.27
멋진 광경이나 사랑하는 연인들의 모습을 보면 흔히 "그림이 좋다"고들 말한다. <주한미국인들이 모여 사는 동네에 몇 차례 초대 받아 간 적이 있었다. 한 번… 더보기

[368] 바람난 물개들

댓글 0 | 조회 3,799 | 2007.11.12
바람난 물개들은 수영에는 관심이 없다. 한국 사람들은 어디서나 모임을 잘 만든다. 출신지나 출신학교에 따라, 동호인끼리 등. 나 역시 여러 모임에 속해 있었고 특… 더보기

[367] 왜 우리는 튀어야만 하는가

댓글 0 | 조회 3,283 | 2007.10.24
튀기 위해 뛰는 사람들-이는 여지 없이 한국인들이다. 지난 주 교민지들은 '노스쇼어타임즈 여론광장'에 한국인에 대한 온갖 비하성 발언이 계속 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더보기

[366] 아버지와 만년필

댓글 0 | 조회 3,599 | 2007.10.09
'있을 때 잘 해'라는 드라마도 나오고 노래도 나왔다. 미국계 회사원인 큰 애는 여유가 있는데 E회사에 다니는 둘째는 "싫컷 잠 좀 자 봤으면-"이 소원일 정도란… 더보기

[365] 민중의 지팡이

댓글 0 | 조회 3,246 | 2007.09.25
경찰이 '민중의 지팡이' 노릇을 못하면 '민중의 곰팡이'가 되기 쉽다. <다운타운의 '웨스트필드 쇼핑센터'에는 공식 출입문이 여섯개 있다. 그중 서쪽으로 나… 더보기

[364] 병천순대

댓글 0 | 조회 3,744 | 2007.09.11
WHO(세계보건기구)가 2007년 5월 18일 발표한 '세계보건통계 2007'에서 한국인의 평균수명은 78.5세(남75세, 여82세)로 나타나 세계 194개국 가… 더보기

[363] 여자와 뉴질랜드

댓글 0 | 조회 3,743 | 2007.08.27
여자는 그 이름만으로도 아름답다. 누군가 "여자의 마음은 갈대와 같다"고 설파했다. 또 누군가는 말했다. "참으로 알 수 없는 것은 개구리 뛰는 방향과 여자의 마… 더보기

[362] 아픔은 슬픔을 낳고

댓글 0 | 조회 3,442 | 2007.08.14
- 큐미오의 미스터리 - 이민와서 제일 만나지 말아야 할 상대는 질병이다. <작년 3월 어깨와 팔이 아파오기 시작했다. 큐미오의 F라는 중국인이 침을 잘 놓… 더보기

[361] 현지화는 괴로워

댓글 0 | 조회 3,131 | 2007.07.24
모두들 현지화를 부르짖지만 말처럼 쉽지가 않다. 1620년 영국과 네덜란드를 떠난 102 명의 Puritan(청교도)들은 Mayflower호를 타고 66일간의 긴… 더보기

[360] 적성(適性)과 적응(適應) 그리고 조화(調和)

댓글 0 | 조회 2,900 | 2007.07.09
IQ가 사람마다 다르듯 적성(適性:Aptitude) 또한 천차만별이다. 그렇게 사뭇 다른 사람들이 모여 집단을 이루고 사회를 만든다. 나는 살아 오면서 비교적 재… 더보기

[359] 조용한 아침의 나라

댓글 0 | 조회 3,124 | 2007.06.25
학창 시절 "우리나라는 '동방예의지국'이요, '조용한 아침의 나라'였다"고 배웠다. 그런데 지금 보면 예의지국은 모르겠으나 조용한 나라는 결코 아니었던 것 같다.… 더보기

[358] 돈이 많다고 다 부자는 아니다

댓글 0 | 조회 3,006 | 2007.06.12
돈이 너무 없어도 불쌍하지만, 돈이 있는데도 쓸 줄 모르는 사람 또한 불쌍하다. < 20대 초반에 논산에서 단 돈 5천원으로 상경한 P라는 친구가 있었다. … 더보기

[357] 정(情)과 의리(義理)

댓글 0 | 조회 3,252 | 2007.05.23
한국인의 특장점은 '정(情)과 의리(義理)' 였다. 현지화에 방해 되고 알량한 영어나마 퇴보할까봐 한국 TV를 전혀 보지 않았었는데 최근에는 한국인의 정서와 정체… 더보기

[356] ‘키다리 아저씨’의 긴 다리

댓글 0 | 조회 2,822 | 2007.05.08
긴다리는 저력이었다. '진 웹스터(Jean Webster)’ 의 ‘키다리 아저씨Daddy-Long-Legs)’ 는 1912년 작품이다. 그녀가 30대 중반에 쓴 … 더보기

[355] 이런 분 어디 계세요?

댓글 0 | 조회 2,472 | 2007.04.24
한인회장을 처음 맡은 것은 2002년 9월이었다. 당시 한인회는 혼미를 거듭했고 한인회장 또한 개인사정으로 일선에서 떠난 ‘보궐상태’ 였다. 어려운 시절 아무도 … 더보기

[354] '오클랜드에 살으리랏다'

댓글 0 | 조회 2,693 | 2007.04.11
배위에서 보는 오클랜드의 야경은 진정 아름다웠다. 지난 3월 모 법률회사가 주관하는 선상 파티에 초대 받아 간 적이 있다. 서울에서는 잠실 선착장에서 멀지 않은 … 더보기

[353] 지와 사랑

댓글 0 | 조회 2,810 | 2007.03.27
요즈음은 ‘지와 사랑’이 아쉽다. ‘헤르만 헤세(Herman Hesse)의 대표작이라할 ‘지와 사랑’을 한글로 만 써 놓으면 인터넷 세대들은 ‘G씨와의 사랑’으로… 더보기

[352] 신 뢰

댓글 0 | 조회 2,942 | 2007.03.12
민주사회에서 신의와 신뢰는 중요하고 꼭 필요한 덕목이다. 이재철 목사는 “왜 많은 집에 KAL 담요가 있습니까? 이는 절도행위입니다.”하고 탄식했다. 언제부턴가 … 더보기

[351] 비교는 상처를 부른다

댓글 0 | 조회 2,842 | 2007.02.26
21세기는 희망의 시대가 될 것이라 했다. 많은 사람들이 ‘지금까지의 미개척 분야, 불확실성의 문제들이 새천년초에는 해결 되거나 업그레이드 되리라 예측하고 기대했… 더보기

[350] 드라마와 현실은 다르다

댓글 0 | 조회 2,988 | 2007.02.13
사람 사는 곳은 어디나 다 마찬가지이다. 선진국이라해서 행복만 가득찬 것도, 못 사는 나라라고 해서 불행하기만 한 것도 아니다. 세계 최강이요, 선진국 중의 선두… 더보기

[349] 조개 줍는 아이들

댓글 0 | 조회 9,159 | 2007.01.30
‘조개 줍는 아이들’- 내가 가장 아끼는 책 중의 하나이다. 책은 때때로 친구이자 스승이자 독자의 분신이 되기도 한다. 사람마다 취미가 있고 독서라는 항목은 많은… 더보기

[348] 모란꽃 피는 언덕

댓글 0 | 조회 2,858 | 2007.01.15
모란은 소담스럽고 귀티가 나지만 안타깝게도 향기가 없다. 2007년 새해가 되었다. 교민지들이나 한국 메스컴에서 ‘황금돼지해’라고 떠들썩하다. 으례 연초가 되면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