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4] 싸이먼 효과와 코리언 열풍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34] 싸이먼 효과와 코리언 열풍

0 개 2,652 KoreaTimes
2002년 한국에서 월드컵이 열리던 때 우리는 뉴질랜드의 겨울 속에 울고 있었다.

엘림교회의 체육관에 특설된 대형화면을 통해서도 200여명의 교민들이 모여 목이 터져라 응원하고 있었는데 마침내 스페인을 꺾고 8강에 합류하는 순간이었다.

그 숫한 격동의 세월을 살아 오면서도 “사나이는 울지 않는다”는 어른들 말씀에 눈물 한 방울없이 견뎌냈던 우리가 뭔가에 홀린 듯 하염없는 눈물을 흘리고 있었던 것이다. 계면쩍어 주위를 흘끗보니 안사장도, 김선생도, 헬렌 박도 모두 울며, 포옹하며 있었으니 뉴질랜드 마당에 FIFA가 깔아준 멍석 위에서 한국인들이 신나는 마당극을 연출하고 있었던 셈이다.

4천만이 살기엔 분단된 국토가 너무 좁아서 그리고 더 나은 삶의 질을 찾아 영어 쓰는 만만한 시골 국가-뉴질랜드를 향해 우리는 그렇게 고국을 떠났었다. 그러나‘저 푸른 초원 위에 그림 같은 집을 짓고 사랑하는 가족들과 골프나 치면서 살자'는 것은 꿈이었고 ‘영어와 문화의 차이 때문에 죄인이 된 것과 job을 구하지 못해 생활자체가 스트레스가 된 것'은 현실이었다. 그러다가 겨우 적응이 되어 갈 무렵 우리나라는 월드컵 열기로 후끈 달아 있었고 모였다 하면 대-한-민-국을 열창하는 흥분의 도가니- 그야말로 월드컵공화국을 만들어 가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어찌 뜻하였으랴. ‘뉴질랜드헤럴드'가 대문짝보다 조금 작은 1면 톱으로‘개고기를 먹는 한국인'을 부각시키게 될 줄을. 그리고 그것은 현지인과 한국교민들을 모두 흥분시키기에 충분했다. ‘18년 된 눈먼 개를 죽을 때까지 보살피다가 죽으면 개묘지에 안착시키고 헌화까지 할 정도'로 개사랑 세계최고 수준의 뉴질랜드인들에게 “식용개와 애완견은 다르며, 식용개도 먹는 사람은 극히 소수이고, 세상에는 원숭이골과 제비집요리, 달팽이와 모기눈깔 요리도 있다”는 등 아무리 떠들어 봐야 씨도 안 먹힐 판이었다.

이와 반대로 한국인들이 열받은 이유 또한 명백했다. 월드컵이 한창일 때‘코리언 뉴질랜더'들도 Alexandra Park'의 3층홀을 전세내는가 하면 평소에는 영어와 낯선 외모 때문에 잘 들어가지도 못했던 다운타운의 스탠드바들도 붉은 악마를 따라 외쳐대는 코리언들로 꽉 찰 지경이었으니 그동안 남의 동네에서 위축되고 오그라들었던 코리안의 간들이 그날 만은 부을대로 부어 있었다. 항상 “개인은 똑똑하지만 팀 플레이는 약하고 뭉치는 힘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아 온 한국인들, 그러나 한번 발동하면 무섭게 기적을 창조하기도 하는-세상 그 누구도 이해 못하는 우리만의 독특한 끼가 분출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하필 이런 열기가 채 가시기도 전에 찬물을 끼얹듯 ‘개고기 특집'을 낸 의도가 무엇인가?

교민 언론지에서 연일 성토했지만 현지인들이 볼 리 없었고 더군다나 당시에는 한인회가 공전 상태였기에 교민을 대표할만한 대상이 없어 매우 안타까운 일이었다. 급기야는 교민대책모임이 만들어졌고 성금을 걷기 시작했으며 많은 교민들이 여기에 동참하기에 이른다. 그리하여 해당 신문사에 항의 서한을 보내는 등 성토하는 분위기가 확산돼 갔고 드디어 철옹성 같던 헤럴드의 편집국장이 사과성명을 내는가 하면 ‘싸이먼 콜린스’라는 기자를 한국에 파견하게 된다. 그즈음 다시 태어난 한인회는 기회를 놓질세라 싸이먼을 만나 점심까지 사 줘 가면서 한국에서 방문해야할 곳과 만나 볼 사람들을 분야별로 리스트업 해 주었다. 포스코,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등을 비롯 무역협회, KOTRA, 예술의 전당, 63빌딩에 이어 롯데월드와 동대문, 남대문 시장 그리고 자연농원과 충무로 애견센터까지.

그 후 헤럴드는 7회에 걸쳐 코리언 특집기사를 연재했고 한국문화와 산업현장 등 거의 전방위적으로 한국을 소개했다. 때맞추어 한인회에서는 싸이먼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Korean Night’ 행사에 바로 그 싸이먼 기자를 특별연사로 초청했다. 행사에는 가능한 한 주류사회 각 분야의 저명인사들을 초대했고 그들은 빈대떡과 불고기를 먹으면서 현지기자의 생생한 한국방문기를 직접 듣는 극적인 효과가 연출되고 있었다. 입구에 진열한 현대자동차와 삼성핸드폰 그리고 LG 냉장고-이런 것들이 모두 한국산임을 알고 의외인 듯 고개를 갸우뚱하는 모습들을 연신 비디오에 담으면서 우리는 그렇게 회심의 미소를 짓고 있었던 것이다.

다시 뉴질랜드 전역에 월드컵열기가 모락 모락 피어나고 있다. 자칫 위태롭고 혼란스러워 보이다가도 어떤 계기만 주어지면 곧바로 정신을 차리고 기준을 잡아가는 한국, 한국인.

태평양 남단 뉴질랜드에서 오늘도 또다른 한국인들은 고국으로부터 자랑스런 뉴스를 기다리면서 열심히 잔디깍고, 영어배우고, 새로운 개척지를 찾아 나서며 그렇게 살아갈 것이다.

“한국인인 것이 자랑스럽습니다.”는 감격의 소리가 오클랜드에서, 크라이스쳐치에서 그리고 더니든에서 또 다시 터져 나오기를 진정 기대하면서.

[전망대] 뉴질랜드, 심해유전으로 대박이 터질 것인가

댓글 0 | 조회 8,903 | 2011.04.29
엑손모빌은 들어봤지만 페트로브라스는 별로일 게다. 브라질 석유기업인데 매출과 순익으로 본다면 세계 2위다. BP, 쉘 등보다 덩치가 크다. 페트로브라스는 브라질 … 더보기

[전망대] 우유 가격을 놓고 왜 말이 많은가?

댓글 0 | 조회 2,733 | 2011.04.13
우유는 소의 젖이다. 뉴질랜드는 대표적인 낙농국가다. 젖소가 2010년 기준으로 6백만 마리에 달한다. 이들이 생산하는 젖은 연간 160억 리터다. 전에는 양을 … 더보기

[전망대] 이젠 럭비 월드컵 이야기를 해보자

댓글 0 | 조회 5,758 | 2011.03.23
지진과 쓰나미의 충격이 한 달째 계속되고 있다. 언론은 물론이고 만나는 사람마다 꺼내는 화제는 단연 뉴질랜드 지진과 일본의 쓰나미다. 핵 공포까지 증폭되면서 더욱… 더보기

[전망대] 웰링턴 시민들은 불안에 떨 필요가 없다

댓글 0 | 조회 6,502 | 2011.03.11
지난달 6일 새벽, 와이탕이 조약을 기념하는 새벽 의식이 있었다. 와이탕이 조약을 기념하는 새벽의식은 해마다 열린다. 헬렌 클락 전 총리는 새벽 잠이 많아서 와이… 더보기

[전망대] 마타마타 할머니의 장수비결

댓글 0 | 조회 3,531 | 2011.03.09
해밀턴에서 동쪽으로 가다보면 마타마타라는 타운이 나온다. 타운센터를 중심으로 6천여명이 거주하는 평범한 마을이다. 마타마타가 유명해진 것은 ‘반지의 제왕’ 덕분이… 더보기

RBNZ과 국민당 정부 경제성적표

댓글 0 | 조회 5,227 | 2011.03.23
3월 10일 RBNZ (Reserve Bank of New Zealand) Governor Alan Bollard는 뉴질랜드 중앙은행 기준금리를 50bp (0.5… 더보기

[381] 행복한 남쪽나라

댓글 0 | 조회 3,969 | 2008.05.27
우리는 그렇게 '행복한 삶'을 꿈꾸며 '따뜻한 남쪽나라'를 찾아 왔다. 그런데 막상 와 보니 모든 것이 생각처럼 쉽지 않았다. 제대로 된 잡(job)을 못 구해서… 더보기

[380] 지혜만이 살길이다

댓글 0 | 조회 2,914 | 2008.05.13
한국은 AI 확산과 광우병 논란으로 전국이 뒤숭숭하다. 페스트 이후 바이러스를 통해 감염 되는, 가장 심각한 3대 재앙으로 에이즈와 AI(조류인플루엔자) 그리고 … 더보기

[379] 꿀비가 내렸어요

댓글 0 | 조회 3,510 | 2008.04.22
오랜 가뭄 끝에 단비가 내리고 있다. 단비라 칭하기엔 뭔가 2% 부족한 것 같아 아예 꿀비라 부르고 싶다. 그렇게나 목 마르게 기다리던 비인데, 몇 일을 계속해서… 더보기

[378] 쟌다르크의 후예와 007 할아버지

댓글 0 | 조회 3,781 | 2008.04.08
'문화의 차이' - 외국에 나와 사는 사람들에게 정말 무시할 수 없는 명제이다. '민주주의'(Democracy)라는 말은 희랍어 '민중'(Demos)과 '권력'(… 더보기

[377] 터널 속으로

댓글 0 | 조회 3,650 | 2008.03.26
이젠 자전거 타고 다녀야 할 판이다. 14년 전 막 이민 왔을 때 자동차 연습을 위해 한 밤중에 '퀸 스트리트'에 나가곤 했었다. 모든 것이 생소한 데다, '라운… 더보기

[376] 상대적 불행

댓글 0 | 조회 3,887 | 2008.03.11
고속도로에서 심한 정체 속에 차가 기어 가고 있을 때 옆 차선보다 조금 빨리 빠지는 선에 있으면 왜 그렇게 행복한지. 그래 봐야 1-2분 차이일 텐데도 옆 차 보… 더보기

[375] 선택(選擇)

댓글 0 | 조회 3,029 | 2008.02.26
하나님은 인간에게 선택권 즉 ‘자유의지(自由意志)’를 주셨다. 지금 세상은 온통 선택의 갈림길이다. 미국은 대통령 선거를 놓고 흑인 출신의 ‘버락 오바마’와 영부… 더보기

[374] 고양이가 남긴 것

댓글 0 | 조회 3,012 | 2008.02.12
'다롱이'가 사라졌다. 한국 사람들은 보통 고양이는 싫어하고, 개를 좋아한다. 교민들의 성향도 비슷하다. 유독 고양이를 좋아하는 이들도 있지만 대부분 개를 더 선… 더보기

[373] 승리(勝利)의 길

댓글 0 | 조회 3,574 | 2008.01.30
인생에는 영원한 승자(勝者)도 패자(敗者)도 없다. 승리의 화신(化身)이었던 '카이자르'는 한 순간의 방심으로 인생의 막을 내렸다. 한편 조선 제22대 임금 이산… 더보기

[372] 산뜻한 출발

댓글 0 | 조회 3,366 | 2008.01.15
1월을 뜻하는 'January'는 'Janus' (야누스)에서 유래 되었다고 한다. 로마신화에 나오는 'Janus'(영어식 발음:제이너스)는 두 얼굴을 가진, 문… 더보기

[371] 초록마을에서 희망을 본다

댓글 0 | 조회 3,753 | 2007.12.20
희망은 거창한 것이 아니다. 평범한 곳에서 찾는 소박한 소망일 뿐이다. 지난 11월 9일 아침 TV3에서는 '빌 클린턴' 전 미국대통령이 'Rachaelray'라… 더보기

[370] 그린 크리스마스(Green Christmas)

댓글 0 | 조회 3,320 | 2007.12.11
이민 와서 제일 속상한 것 중의 하나가 '화이트 크리스마스'를 보지 못한다는 사실이다. 화이트 크리스마스는 커녕 한 여름에 맞는 크리스마스는 이질감을 더해 주거나… 더보기

[369] 그림이 좋아야 한다

댓글 0 | 조회 3,177 | 2007.11.27
멋진 광경이나 사랑하는 연인들의 모습을 보면 흔히 "그림이 좋다"고들 말한다. <주한미국인들이 모여 사는 동네에 몇 차례 초대 받아 간 적이 있었다. 한 번… 더보기

[368] 바람난 물개들

댓글 0 | 조회 3,815 | 2007.11.12
바람난 물개들은 수영에는 관심이 없다. 한국 사람들은 어디서나 모임을 잘 만든다. 출신지나 출신학교에 따라, 동호인끼리 등. 나 역시 여러 모임에 속해 있었고 특… 더보기

[367] 왜 우리는 튀어야만 하는가

댓글 0 | 조회 3,293 | 2007.10.24
튀기 위해 뛰는 사람들-이는 여지 없이 한국인들이다. 지난 주 교민지들은 '노스쇼어타임즈 여론광장'에 한국인에 대한 온갖 비하성 발언이 계속 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더보기

[366] 아버지와 만년필

댓글 0 | 조회 3,607 | 2007.10.09
'있을 때 잘 해'라는 드라마도 나오고 노래도 나왔다. 미국계 회사원인 큰 애는 여유가 있는데 E회사에 다니는 둘째는 "싫컷 잠 좀 자 봤으면-"이 소원일 정도란… 더보기

[365] 민중의 지팡이

댓글 0 | 조회 3,260 | 2007.09.25
경찰이 '민중의 지팡이' 노릇을 못하면 '민중의 곰팡이'가 되기 쉽다. <다운타운의 '웨스트필드 쇼핑센터'에는 공식 출입문이 여섯개 있다. 그중 서쪽으로 나… 더보기

[364] 병천순대

댓글 0 | 조회 3,758 | 2007.09.11
WHO(세계보건기구)가 2007년 5월 18일 발표한 '세계보건통계 2007'에서 한국인의 평균수명은 78.5세(남75세, 여82세)로 나타나 세계 194개국 가… 더보기

[363] 여자와 뉴질랜드

댓글 0 | 조회 3,757 | 2007.08.27
여자는 그 이름만으로도 아름답다. 누군가 "여자의 마음은 갈대와 같다"고 설파했다. 또 누군가는 말했다. "참으로 알 수 없는 것은 개구리 뛰는 방향과 여자의 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