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6] ‘Scarlett O’Hara’와 ‘Port-Wine-Magnolia’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26] ‘Scarlett O’Hara’와 ‘Port-Wine-Magnolia’

0 개 2,267 koreatimes
  장미가 ‘김태희’라면 ‘스칼렛 오하라’는 차라리 ‘이효리’나 ‘이태란’이다.

  뉴질랜드는 가히 꽃과 나무의 천국이다. 풍부한 햇볕과 충분한 비 그리고 적당히 온화한 기후가 기가 막히게 맞아 떨어져서 사계절 푸른 초장이고 전국이 커다란 국제식물원인 셈이다.

  앵글로 색슨족들은 선천적으로 꽃과 나무를 좋아하고 ‘잉글리쉬 가든’이란 말이 보통명사화 한지 오래이다. 그러니 뉴질랜더들의 80%가 영국계이고 식물의 성장 조건이 최적인 이 나라가 꽃과 나무로 뒤덮히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일 것이다.  ‘삶의 질을 찾아서’라는 이민 동기와도 어울리게 나는 한 때 옆집 영국할머니의 영향을 받으며 오클랜드 전역의 가든 센터와 꽃, 나무시장을 섭렵하고 다녔다. 타카니니의 ‘홀세일 트리마켓’을 비롯 단네모라의 ‘빅트리’, 큐미오, 알바니등 수십개의 가든센터, 마뉴레와의 장미농원까지 찾아다니면서 심고, 가꾸고 즐겼다. 뉴질랜드는 동백, 목련, 장미외에도 Dahlia, Lavender, Geranium, Hyacinth, Lily, Daffodil등 갖가지 화초들과  Cercis, Jacaranda, Liquidamber처럼 화려한 나무들 그리고 온갖 과일나무까지 어울어 진- 참으로 꽃과 나무의 천국이라 할 수 있다.

  내가 좋아하는 꽃 중에 ‘스칼렛 오하라’와 ‘포트-와인-마그놀리아’가 있다. 뉴질랜드에는Bougainvillea가 3-4종 있는데 꽃이 작고 번식이 쉬운 ‘Magnifica’, 브라질 원산으로 흰색이나 자주색 꽃이 피는 Glabra-‘Alba’, 황적 또는 홍적색의 마름모형 꽃이 피는 ‘Mrs. Butt’와 오늘의 주인공 ‘스칼렛 오하라’등이다. 일명 ‘Hawaiian Scarlett’으로도 불리는 원산지 불명의 ‘스칼렛’은 많은 가시와 함께 짙은 적색의 꽃이 피고 전성기는 10월부터 12월 사이이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미국영화사상 가장 오래 상영되고 수차례 리바이벌 된 영화인데 그 여주인공으로 뭇 남성들을 꿈속에서까지 매혹 시켰던 ‘비비안 리’가 열연한 것이 바로 요염하면서도 야성적인 ‘스칼렛 오하라’역이다. ‘스칼렛 오하라’꽃의 인상이 바로 ‘비비안 리’의 스칼렛과 어쩌면 그렇게 딱 어울리는지 서양사람들도 보통 감각은 아닌 것  같은데 장미가 김태희처럼 그윽하고 여성적이라면 스칼렛 오하라는 야성적이고 섹시미 깃든 이효리인 것이다. 때때로 까페입구나 미술관의 담벼락을 뒤덮은 채 환상적인 데코레이션을 연출하면서 이국의 젊은 연인들의 분위기를 한껏 북돋아 주는 역할을 톡톡이 하기도 한다.

  우리집 현관 양옆으로 영국 황실 근위병처럼 ‘포트-와인-마그놀리아’가 서 있었다.

  Magnolia(목련)종류는 뉴질랜드에 엄청나게 많은데 언젠가 꽃시장에서 본 백목련이 너무나 소담스러워 한 그루 사다 심었다가 어느날 새벽에 나와보고는 기절할 뻔 했다. 1m도 채 안 된 새끼 나무에 직경 15cm나 되는 백목련 한송이가 횅하게 달려 있었던 것이다. 마치 5살짜리 꼬마가 철모를 쓰고 있는 격이라고나 할까!  그런데 왜 이렇게 손톱만한 꽃이 피는 ‘포트-와인-마그놀리아’에 Magnolia(목련)이란 이름이 붙어 있는 것일까? 가든 센터의 스태프들조차 아는 사람을 보지 못했다. 그런데 이 ‘포트~’는 자주색꽃이 보잘 것  없는데 비해 기막힌 향기가 있어 특별한 날에 꽃잎을 따 조그만 접시에 담아 이방 저방 놓아 두면 실로 온 집안이 멋진 향기로 가득차게 된다. 그래서 그 묘목을 구하려고 거의 1년을 돌아 다녀서야 겨우 타카니니의 꽃시장 한 쪽에서 발견하게 되었다. 아프리카에 가서 무궁화를 찾은 기분이 그랬을까? 여하튼 두 화분을 사왔는데 학명은 알 수 없지만 그놈의 이름이 ‘포트-와인-마그놀리아’라는 것을 그때 처음 알았다. 그후로 한때 이 ‘포트~‘라는 놈을 오클랜드 전역에 퍼뜨리겠다는 야무진(?) 꿈을 갖고 꺾꽂이를 시도한적이 있었다. 이 달콤한 향기목으로 오클랜드를 ‘향기의 도시’로 명명하게 될 날을 기다리며-- 그리고 그 향기의 도시 오클랜드 뒤에는 ‘강~’라는 숨은 노력가가 있었다고 알려질 것도 기대하면서. 그런데 귀한 값을 하느라고 그런지 꺾꽂이를 계속 실패하다가 끈질기게 백번도 더 시도한 끝에야 드디어 십여주가 뿌리를 내리는 쾌거를 이루고 이놈들을 애지 중지 길러 친구들에게 분양해 주었다. 오클랜드를 다 뒤 덮으려면 100년은 족히 걸릴 것 같아 포기해 버린지 오래이지만 지금도 어디선가 그윽한 향기를 뽐내고 있을 나의 분신들을 생각하면 잠시 행복에 잠기게 된다.

  어느 남정네가 열 여자 싫다 하겠는가? 김태희도 좋고 이효리도 좋은 것처럼 스칼렛도 좋고 ‘포트~’도 좋다. 다만 성격과 모양이 다르니 한 놈은 담장 위로 보내고 한 놈은 현관입구나 정원 한켠에 무리지어 심어 놓으면 이 아니 좋겠는가.  열심히 일하고 주말에 골프를 즐긴 뒤 집에 돌아와 담장을 휘드러지게 덮은 섹시미의 스칼렛오하라 옆에 둘러 앉아 포트와인 마그놀리아의 그윽한 향에 취한 채 친구와 함께 인생을 논할 수 있다면 그게 바로 뉴질랜드판 이태백의 성공한 이민 모습이 아닐런지!

[373] 승리(勝利)의 길

댓글 0 | 조회 3,565 | 2008.01.30
인생에는 영원한 승자(勝者)도 패자(敗者)도 없다. 승리의 화신(化身)이었던 '카이자르'는 한 순간의 방심으로 인생의 막을 내렸다. 한편 조선 제22대 임금 이산… 더보기

[372] 산뜻한 출발

댓글 0 | 조회 3,360 | 2008.01.15
1월을 뜻하는 'January'는 'Janus' (야누스)에서 유래 되었다고 한다. 로마신화에 나오는 'Janus'(영어식 발음:제이너스)는 두 얼굴을 가진, 문… 더보기

[371] 초록마을에서 희망을 본다

댓글 0 | 조회 3,741 | 2007.12.20
희망은 거창한 것이 아니다. 평범한 곳에서 찾는 소박한 소망일 뿐이다. 지난 11월 9일 아침 TV3에서는 '빌 클린턴' 전 미국대통령이 'Rachaelray'라… 더보기

[370] 그린 크리스마스(Green Christmas)

댓글 0 | 조회 3,309 | 2007.12.11
이민 와서 제일 속상한 것 중의 하나가 '화이트 크리스마스'를 보지 못한다는 사실이다. 화이트 크리스마스는 커녕 한 여름에 맞는 크리스마스는 이질감을 더해 주거나… 더보기

[369] 그림이 좋아야 한다

댓글 0 | 조회 3,172 | 2007.11.27
멋진 광경이나 사랑하는 연인들의 모습을 보면 흔히 "그림이 좋다"고들 말한다. <주한미국인들이 모여 사는 동네에 몇 차례 초대 받아 간 적이 있었다. 한 번… 더보기

[368] 바람난 물개들

댓글 0 | 조회 3,807 | 2007.11.12
바람난 물개들은 수영에는 관심이 없다. 한국 사람들은 어디서나 모임을 잘 만든다. 출신지나 출신학교에 따라, 동호인끼리 등. 나 역시 여러 모임에 속해 있었고 특… 더보기

[367] 왜 우리는 튀어야만 하는가

댓글 0 | 조회 3,284 | 2007.10.24
튀기 위해 뛰는 사람들-이는 여지 없이 한국인들이다. 지난 주 교민지들은 '노스쇼어타임즈 여론광장'에 한국인에 대한 온갖 비하성 발언이 계속 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더보기

[366] 아버지와 만년필

댓글 0 | 조회 3,601 | 2007.10.09
'있을 때 잘 해'라는 드라마도 나오고 노래도 나왔다. 미국계 회사원인 큰 애는 여유가 있는데 E회사에 다니는 둘째는 "싫컷 잠 좀 자 봤으면-"이 소원일 정도란… 더보기

[365] 민중의 지팡이

댓글 0 | 조회 3,249 | 2007.09.25
경찰이 '민중의 지팡이' 노릇을 못하면 '민중의 곰팡이'가 되기 쉽다. <다운타운의 '웨스트필드 쇼핑센터'에는 공식 출입문이 여섯개 있다. 그중 서쪽으로 나… 더보기

[364] 병천순대

댓글 0 | 조회 3,750 | 2007.09.11
WHO(세계보건기구)가 2007년 5월 18일 발표한 '세계보건통계 2007'에서 한국인의 평균수명은 78.5세(남75세, 여82세)로 나타나 세계 194개국 가… 더보기

[363] 여자와 뉴질랜드

댓글 0 | 조회 3,744 | 2007.08.27
여자는 그 이름만으로도 아름답다. 누군가 "여자의 마음은 갈대와 같다"고 설파했다. 또 누군가는 말했다. "참으로 알 수 없는 것은 개구리 뛰는 방향과 여자의 마… 더보기

[362] 아픔은 슬픔을 낳고

댓글 0 | 조회 3,443 | 2007.08.14
- 큐미오의 미스터리 - 이민와서 제일 만나지 말아야 할 상대는 질병이다. <작년 3월 어깨와 팔이 아파오기 시작했다. 큐미오의 F라는 중국인이 침을 잘 놓… 더보기

[361] 현지화는 괴로워

댓글 0 | 조회 3,133 | 2007.07.24
모두들 현지화를 부르짖지만 말처럼 쉽지가 않다. 1620년 영국과 네덜란드를 떠난 102 명의 Puritan(청교도)들은 Mayflower호를 타고 66일간의 긴… 더보기

[360] 적성(適性)과 적응(適應) 그리고 조화(調和)

댓글 0 | 조회 2,903 | 2007.07.09
IQ가 사람마다 다르듯 적성(適性:Aptitude) 또한 천차만별이다. 그렇게 사뭇 다른 사람들이 모여 집단을 이루고 사회를 만든다. 나는 살아 오면서 비교적 재… 더보기

[359] 조용한 아침의 나라

댓글 0 | 조회 3,131 | 2007.06.25
학창 시절 "우리나라는 '동방예의지국'이요, '조용한 아침의 나라'였다"고 배웠다. 그런데 지금 보면 예의지국은 모르겠으나 조용한 나라는 결코 아니었던 것 같다.… 더보기

[358] 돈이 많다고 다 부자는 아니다

댓글 0 | 조회 3,006 | 2007.06.12
돈이 너무 없어도 불쌍하지만, 돈이 있는데도 쓸 줄 모르는 사람 또한 불쌍하다. < 20대 초반에 논산에서 단 돈 5천원으로 상경한 P라는 친구가 있었다. … 더보기

[357] 정(情)과 의리(義理)

댓글 0 | 조회 3,254 | 2007.05.23
한국인의 특장점은 '정(情)과 의리(義理)' 였다. 현지화에 방해 되고 알량한 영어나마 퇴보할까봐 한국 TV를 전혀 보지 않았었는데 최근에는 한국인의 정서와 정체… 더보기

[356] ‘키다리 아저씨’의 긴 다리

댓글 0 | 조회 2,822 | 2007.05.08
긴다리는 저력이었다. '진 웹스터(Jean Webster)’ 의 ‘키다리 아저씨Daddy-Long-Legs)’ 는 1912년 작품이다. 그녀가 30대 중반에 쓴 … 더보기

[355] 이런 분 어디 계세요?

댓글 0 | 조회 2,474 | 2007.04.24
한인회장을 처음 맡은 것은 2002년 9월이었다. 당시 한인회는 혼미를 거듭했고 한인회장 또한 개인사정으로 일선에서 떠난 ‘보궐상태’ 였다. 어려운 시절 아무도 … 더보기

[354] '오클랜드에 살으리랏다'

댓글 0 | 조회 2,695 | 2007.04.11
배위에서 보는 오클랜드의 야경은 진정 아름다웠다. 지난 3월 모 법률회사가 주관하는 선상 파티에 초대 받아 간 적이 있다. 서울에서는 잠실 선착장에서 멀지 않은 … 더보기

[353] 지와 사랑

댓글 0 | 조회 2,811 | 2007.03.27
요즈음은 ‘지와 사랑’이 아쉽다. ‘헤르만 헤세(Herman Hesse)의 대표작이라할 ‘지와 사랑’을 한글로 만 써 놓으면 인터넷 세대들은 ‘G씨와의 사랑’으로… 더보기

[352] 신 뢰

댓글 0 | 조회 2,946 | 2007.03.12
민주사회에서 신의와 신뢰는 중요하고 꼭 필요한 덕목이다. 이재철 목사는 “왜 많은 집에 KAL 담요가 있습니까? 이는 절도행위입니다.”하고 탄식했다. 언제부턴가 … 더보기

[351] 비교는 상처를 부른다

댓글 0 | 조회 2,843 | 2007.02.26
21세기는 희망의 시대가 될 것이라 했다. 많은 사람들이 ‘지금까지의 미개척 분야, 불확실성의 문제들이 새천년초에는 해결 되거나 업그레이드 되리라 예측하고 기대했… 더보기

[350] 드라마와 현실은 다르다

댓글 0 | 조회 2,991 | 2007.02.13
사람 사는 곳은 어디나 다 마찬가지이다. 선진국이라해서 행복만 가득찬 것도, 못 사는 나라라고 해서 불행하기만 한 것도 아니다. 세계 최강이요, 선진국 중의 선두… 더보기

[349] 조개 줍는 아이들

댓글 0 | 조회 9,160 | 2007.01.30
‘조개 줍는 아이들’- 내가 가장 아끼는 책 중의 하나이다. 책은 때때로 친구이자 스승이자 독자의 분신이 되기도 한다. 사람마다 취미가 있고 독서라는 항목은 많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