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1]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31]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0 개 2,626 KoreaTimes
프랭클린 루즈벨트의 부인 ‘엘리너 루즈벨트’는 오늘을 사는 코리언뉴질랜더들에게 참으로 필요한 명언을 선물로 남겨 주었다.

엘리너는 “ Yesterday is history, tomorrow is mystery, today is a gift.(어제는 역사요, 내일은 미궁이요, 오늘은 선물이다)”라고 말했다. <어제는 지나간 과거이기 때문에 집착할 필요가 없으며 내일 일은 아무도 알 수 없고 오늘이야말로 신이 주신 선물 같은 것이므로 현재에 최선을 다해 살아 가야한다>는 뜻이겠는데 그 말이 후세에 끼친 영향은 컸다.

이렇듯 리더가 하는 말들은 힘이 대단하다. “국민의, 국민을 위한, 국민의 정부는 이 지구상에서 영원히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라고한 링컨의 게티스버그 연설이나 미국의 대공황을 이겨내게한 루즈벨트가 “우리가 진정 두려워해야 할 오직 한가지는 우리 앞을 가로막는 두려움뿐이다.”고 강조한 것이나 쳐칠, 케네디, 간디 등의 명언들을 우리는 잘 기억하고 있다. 우리 지도자들중에도 이승만 대통령의 “뭉치면 살고 헤어지면 죽는다”라든가 박정희 대통령의 “하면 된다”라는 구호는 쓰러진 나라를 다시 세우거나, 가난에 찌든 나라에 근대화의 물결을 일으킨 나름대로의 힘이 있었다. 하지만 <왜 나만 갖고 그래/ 나 보통사람입니다/ 우리가 남이가/ 맞습니다. 맞고요>등 근래들어 우리지도자들의 연설중 알맹이 보다는 사족이나 말투만 기억되는 경우가 많은 것은 그 안에 비젼이 없기 때문인 것 같아 안타깝다.

화면으로만 평가하면 천국은 뉴질랜드가 아니라 오히려 한국이다. 요즘 몸이 불편하여 집에서 쉬면서 한국드라마 몇편을 빌려다 보았다. 그런데 드라마나 인터넷으로만 보면 한국이 뉴질랜드보다 더 멋진 전원주택들이고, 모든 것이 훨씬 더 화려하고 풍부해 보인다. 음식문화는 말 그대로 대장금의 현대판이다. 어디 그뿐이랴. 젊은 여성들은 모두 연예인 아니면 골프선수고 남자들은 대부분 재테크의 귀재들이다. 또한 기업, 기업인의 왕국에 걸맞게 매스컴이나 대학강단에서나 최고의 화두는 ‘부자학개론’또는 ‘성공신화’이고 신년벽두의 인사도 “부자되세요”가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보다 인기 덕담이 된 것도 사실이다. 초등학생들에게조차 신형 모발폰이 최고 필수품이 된지 오래이고 청소년들의 인터넷 탐색과 문자메일 발수신, 그리고 섹시모드는 가히 세계 챔피언급이 되었다. 어느 외신기자의 “코리아엔 골프선수와 가수 두가지 직종 밖에는 없어 보인다”는 극단적 표현도 음미해 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런 일련의 변화가 걱정스러워 한국에 전화해 보면 “괜찮아요” “밖에서 보는 것하고는 달라요”하면서 태연하니 누가 착각하는지 모를 일이다. 어쨌거나 스스로 위대한 민족이라 대견해하지만 한발 멀리서 보면 불안하기 그지 없는 위태한 민족인 것이다.

교민사회도 돌아볼 요소들이 꽤 있다. 교민지에 등장하는 꿈나무와 성공특집의 주역들도 한결같이 골프선수이거나 최우수졸업자들이니 대다수의 평범하고 성실한 청소년들은 이민 초기의 상황과 너무 다른 현실에 혼란과 스트레스를 느낄만하다.  여기서 엘리너여사의 말을 교민사회에 대입해 보자. 우리의 과거는 가난하고 불행했기에 잊어버리는 게 좋을 듯 싶다.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모르는 내일은 불안해하거나 걱정할 필요도 없어 보인다. 그리고 오늘은 분명 선물이다. 그런데 남진의 “저 푸른 초원 위에 그림 같은 집을 짓고~”는 ‘뉴질랜드이민송’처럼 들리지만 그림 같은 집을 짓는 동안 영어라는 못에 찔리기도하고, 문화차이라는 기둥에 머리를 받힐 때도 있다. 더군다나 요즘처럼 교민경제 최악상황이고 보면 내일을 외면한 오늘은 선물이라기보다 고통일 수도 있는 것이다.

<어느 해 여름, 엘리너여사는 하이드파크에 가깝게 지내던 사람들을 초대했다. 오후에 수영장이 문을 열자 아이, 어른 할 것 없이 물속으로 뛰어들었다. 그러나 아무도 다이빙대를 이용하지는 않는 것이었다. 그때 누군가 다이빙대에 올라섰고 아주 서툰 모습으로 물 속으로 첨벙 뛰어들자 아이들도 우르르 다이빙대로 몰려들었다. 잠시 후 처음 뛰어내린 사람이 물속에서 나왔는데 그는 뜻밖에도 일흔 살이 넘은 엘리너 루즈벨트였던 것이다. 물을 털고 있는 그녀에게 어떤 사람이 다가와 “무척 용감하십니다. 평소 다이빙을 즐기시나 봅니다.” 하고 묻자 부인은 질린 표정으로 말했다. “아니에요. 난 다이빙은 정말 무서워요. 하지만 누군가 먼저 해야 아이들이 용기를 가질 것 같아서요.”>      이제 우리는 엘리너의 명언에서 약간 수정해야할 필요성을 느낀다. 내일은 ‘미궁(Mystery)’이라는 말 대신에 ‘희망’으로 바꾸자는 것이다. 희망은 곧 기대와 용기, 가능성과 행복의 원천이기 때문이다.

엘리너는 또 이렇게 말한다. “Nothing in life has meaning except the meaning you give it.
(세상의 어떤 것도 누군가가 의미를 부여하기 전까지는 아무런 의미도 가질 수 없다.)”고-

가볼만한 식당 - 화로

댓글 0 | 조회 6,869 | 2010.11.02
크린커뮤니티를 만듭시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itsTV] ‘앱 창작터‘ 14곳 추가 선정

댓글 0 | 조회 1,905 | 2011.01.18
크린커뮤니티를 만듭시다. 중소기업청은 최근 확대되고 있는 모바일 콘텐츠 시장과 교육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14개 ‘앱 창작터’를 추가로 선정하기로 했습니다. 지정대… 더보기

변비(Constipation)

댓글 0 | 조회 3,860 | 2011.05.25
수면시간과 마찬가지로 사람마다 변을 보는 횟수도 다르다. 하루에 한 번 변을 보는 것이 가장 흔한 양상이지만 그렇게 규칙적으로 변을 보는 사람은 50% 정도에 불… 더보기

불면증

댓글 0 | 조회 2,888 | 2011.05.10
사람에 따라 필요한 수면시간은 다르다. 어떤 사람은 4시간의 수면으로도 충분하고 어떤 사람은 10시간을 꼭 자야만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다. 따라서 6-8시간의 … 더보기

인플루엔자예방 주사

댓글 0 | 조회 3,151 | 2011.04.28
겨울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반갑지 않은 손님 인플루엔자(독감).매우 전염성이 강한 질병으로 매해 5명 중 한 명이 인플루엔자에 걸린다. 흔한 질병으로 쉽게 생각하… 더보기

감기 (Common Cold)

댓글 0 | 조회 2,716 | 2011.04.13
상부 호흡기 특히 코와 목의 바이러스성 감염을 의미한다. 보통 독감(인플루엔자 혹은 flu)이라고 하는 좀 더 강한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과는 다르다.증세는?보통 … 더보기

좌골 신경통 (Sciatica)

댓글 0 | 조회 3,662 | 2011.03.23
좌골 신경통은 말 그대로 좌골 신경에 의한 통증이다. 좌골신경은 우리 몸에서 가장 긴 신경으로 어른의 손가락 크기로 다리와 발의 감각과 기능에 관여한다. 이것은 … 더보기

다리에 쥐가 나요!!!

댓글 0 | 조회 4,339 | 2011.03.09
영어로는 cramp이라고 하며 주로 종아리 근육에 강직이 일어나는 것을 이야기하는데 간혹 발에도 생긴다. 강직된 근육이 딱딱해지고 아프며 어떻게 할 수가 없다.누… 더보기

척추증(Spondylosis)이란?

댓글 0 | 조회 15,040 | 2011.02.23
▶ 척추에 오는 퇴행성 관절염많은 한국분이 병원에서 진단을 받지만, 영어 소견서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에 이번 호부터 한국 질병명 옆에 영어 질병… 더보기

알레르기성 비염

댓글 0 | 조회 3,582 | 2011.02.09
코는 계속해서 간질거리고, 물처럼 줄줄 흐르는 콧물, 연달아 나오는 재채기 산처럼 쌓이는 휴지, 아주 티슈 박스를 끼고 산다.심한 경우 재채기를 하다가 차 사고를… 더보기

알레르기가 있으셔요?

댓글 2 | 조회 4,558 | 2011.01.27
알레르기질환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적 요인이 있는 사람에게서 여러 가지 환경인자가 작용하여 생긴다. 그러나 이런 질환이 최근 긴급히 증가하는 이유는 유전적인 … 더보기

[전망대] 뉴질랜드, 심해유전으로 대박이 터질 것인가

댓글 0 | 조회 8,883 | 2011.04.29
엑손모빌은 들어봤지만 페트로브라스는 별로일 게다. 브라질 석유기업인데 매출과 순익으로 본다면 세계 2위다. BP, 쉘 등보다 덩치가 크다. 페트로브라스는 브라질 … 더보기

[전망대] 우유 가격을 놓고 왜 말이 많은가?

댓글 0 | 조회 2,724 | 2011.04.13
우유는 소의 젖이다. 뉴질랜드는 대표적인 낙농국가다. 젖소가 2010년 기준으로 6백만 마리에 달한다. 이들이 생산하는 젖은 연간 160억 리터다. 전에는 양을 … 더보기

[전망대] 이젠 럭비 월드컵 이야기를 해보자

댓글 0 | 조회 5,750 | 2011.03.23
지진과 쓰나미의 충격이 한 달째 계속되고 있다. 언론은 물론이고 만나는 사람마다 꺼내는 화제는 단연 뉴질랜드 지진과 일본의 쓰나미다. 핵 공포까지 증폭되면서 더욱… 더보기

[전망대] 웰링턴 시민들은 불안에 떨 필요가 없다

댓글 0 | 조회 6,496 | 2011.03.11
지난달 6일 새벽, 와이탕이 조약을 기념하는 새벽 의식이 있었다. 와이탕이 조약을 기념하는 새벽의식은 해마다 열린다. 헬렌 클락 전 총리는 새벽 잠이 많아서 와이… 더보기

[전망대] 마타마타 할머니의 장수비결

댓글 0 | 조회 3,520 | 2011.03.09
해밀턴에서 동쪽으로 가다보면 마타마타라는 타운이 나온다. 타운센터를 중심으로 6천여명이 거주하는 평범한 마을이다. 마타마타가 유명해진 것은 ‘반지의 제왕’ 덕분이… 더보기

RBNZ과 국민당 정부 경제성적표

댓글 0 | 조회 5,217 | 2011.03.23
3월 10일 RBNZ (Reserve Bank of New Zealand) Governor Alan Bollard는 뉴질랜드 중앙은행 기준금리를 50bp (0.5… 더보기

[381] 행복한 남쪽나라

댓글 0 | 조회 3,958 | 2008.05.27
우리는 그렇게 '행복한 삶'을 꿈꾸며 '따뜻한 남쪽나라'를 찾아 왔다. 그런데 막상 와 보니 모든 것이 생각처럼 쉽지 않았다. 제대로 된 잡(job)을 못 구해서… 더보기

[380] 지혜만이 살길이다

댓글 0 | 조회 2,902 | 2008.05.13
한국은 AI 확산과 광우병 논란으로 전국이 뒤숭숭하다. 페스트 이후 바이러스를 통해 감염 되는, 가장 심각한 3대 재앙으로 에이즈와 AI(조류인플루엔자) 그리고 … 더보기

[379] 꿀비가 내렸어요

댓글 0 | 조회 3,501 | 2008.04.22
오랜 가뭄 끝에 단비가 내리고 있다. 단비라 칭하기엔 뭔가 2% 부족한 것 같아 아예 꿀비라 부르고 싶다. 그렇게나 목 마르게 기다리던 비인데, 몇 일을 계속해서… 더보기

[378] 쟌다르크의 후예와 007 할아버지

댓글 0 | 조회 3,766 | 2008.04.08
'문화의 차이' - 외국에 나와 사는 사람들에게 정말 무시할 수 없는 명제이다. '민주주의'(Democracy)라는 말은 희랍어 '민중'(Demos)과 '권력'(… 더보기

[377] 터널 속으로

댓글 0 | 조회 3,640 | 2008.03.26
이젠 자전거 타고 다녀야 할 판이다. 14년 전 막 이민 왔을 때 자동차 연습을 위해 한 밤중에 '퀸 스트리트'에 나가곤 했었다. 모든 것이 생소한 데다, '라운… 더보기

[376] 상대적 불행

댓글 0 | 조회 3,871 | 2008.03.11
고속도로에서 심한 정체 속에 차가 기어 가고 있을 때 옆 차선보다 조금 빨리 빠지는 선에 있으면 왜 그렇게 행복한지. 그래 봐야 1-2분 차이일 텐데도 옆 차 보… 더보기

[375] 선택(選擇)

댓글 0 | 조회 3,021 | 2008.02.26
하나님은 인간에게 선택권 즉 ‘자유의지(自由意志)’를 주셨다. 지금 세상은 온통 선택의 갈림길이다. 미국은 대통령 선거를 놓고 흑인 출신의 ‘버락 오바마’와 영부… 더보기

[374] 고양이가 남긴 것

댓글 0 | 조회 2,998 | 2008.02.12
'다롱이'가 사라졌다. 한국 사람들은 보통 고양이는 싫어하고, 개를 좋아한다. 교민들의 성향도 비슷하다. 유독 고양이를 좋아하는 이들도 있지만 대부분 개를 더 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