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4] '오클랜드에 살으리랏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54] '오클랜드에 살으리랏다'

0 개 2,697 KoreaTimes
  배위에서 보는 오클랜드의 야경은 진정 아름다웠다.

  지난 3월 모 법률회사가 주관하는 선상 파티에 초대 받아 간 적이 있다. 서울에서는 잠실 선착장에서 멀지 않은 곳에 살았었고, 비교적 외국인들을 안내할 기회가 많아 자주 한강 유람선을 탈 수 있었다. 하지만 이민 생활 13년에 촌놈이 다 됐고 유람선을 탈 일도 거의 없었기에 소풍 가는 초등학생처럼 흥분했었다. 파티가 무르익을 때쯤 와인 한잔을 들고 갑판위로 올라가 보니 이미 여러 사람이 바다 야경을 즐기고 있었는데 해외 여행을 많이 한 H 사장이“외국에 많이 나가 본 사람만이 오클랜드가 아름답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하고 얘기해서 나 자신도 공감했다. 주위를 둘러보니 바다와 산과 고층빌딩과 하버브릿지와 스카이타워가 조화를 이루며 랑기토토를 바라보는 오클랜드의 밤 풍경은 일대 장관이었다.

  어떤 이들은 시드니를 부러워하고, 어떤 이들은 LA를 동경한다. 그러다가 여러 사람이 시드니로 떠났고, 더러는 LA로 향하기도 했다. 하지만 시드니보다 더 기회가 많으며, LA 보다 더 한국사람과만 어울리고, 한국말만 쓰고 살 수 있는 곳이 한국이요 서울이다. 그렇기에 오클랜드에 살면서 시드니와 LA를 부러워할 거면 애당초 한국을 떠나올 필요가 없었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오클랜드는 칼라부터가 다르다. 수많은 문화유산과 동서양의 전통이 도처에 베어있고 산업화된 항구도시와 초원 위의 그림같은 집들이 적당히 조화를 이루는 그야말로 쾌적하고 평화스런 꿈의 도시인 것이다.

  오클랜드 시장 선거를 1년여 앞두고 벌써부터 출마예상자들이 꿈틀거리고 있다. 그 가운데서 뚜렷이 입장이 뒤바뀐 두 사람은 현 시장 '딕 하버드' 와 전 시장인 '죤 뱅크스' 이다.
  아직 뚜렷하게 의사를 밝히지는 않았지만 하버드 시장이 재출마를 공식화 한다면 ‘죤 뱅크스’와의 복수혈전(?)이 전개될 공산이 크다. “경영자 출신이 시장을 하면 오클랜드시의 경영이 보다 조직화 되고, 도시가 획기적으로 변모 될 것이라”던 하버드에게 “도대체 달라진 게 뭐 있느냐? 시간만 낭비하지 않았는가!”고 ‘죤 뱅크스’는 맹공을 퍼 붓는다. 어쨌거나 인구. 예산 등으로 볼 때 어쩔 수 없는 일이라지만 ‘제2 하버브릿지’ 나 ‘제2산업도로’ 하나 건설하지 못하는 현실이 그저 답답하기만 하다. 마냥 하버브릿지 하나를 가지고 뭉기적 거리는 가하면 ‘1번 모터웨이’  하나만 닳도록 이용하다 보니 늘어나는 차량을 감당할 수 없어 상처투성이이고 밤 10시쯤 지나면 으레 1~2 곳은 도로가 통제되거나 심하면 아예 통행 금지가 되곤 한다.  

  특히 <노스코트-오네와 로드 구간>과 <마운트 웰링턴-오타후후 구간>은 걸핏하면 막아놓아 ‘왕 짜증’ 을 만들어 낸다. 제대로 된 도로가 하나 밖에 없는데 그마저 통제하면 도대체 날아가기라도 하란 말인가! ‘빨리빨리 주의’의 폐단이 성수대교 붕괴 등으로 나타난 것은 안타깝지만 불과 3~40년 사이에 십 수개의 한강다리가 건설되는 기적의 현장을 목격하며 살았던 우리 눈에는 오클랜드 개발상이 그저 장난스러울 따름이다.

  며칠 전 한 중국교민 지도자로부터 가칭 CFA(Care For Auckland: 오클랜드를 사랑하는 모임)를 결성코자 하니 협조해 달라는 연락을 받았다. 정확한 목적과 방향은 파악하지 못했지만 “오클랜드에 터를 잡은 역동적인 아시안 이민자들이 이제는 좀 더 적극적으로 오클랜드를 사랑하고 발전 시키는 대열에 동참해야 하지 않겠는가?”라는 취지에는 공감이 간다.  이민 역사가 최소한 우리보다 100년은 더 길고, 교민 수도 우리보다 10만 명이 훨씬 더 되는 그들의 여유와, 아직도 먹고 살기 급급한 우리의 처지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지만.--
  그런데 최근 세계적 컨설팅 그룹인 ‘머서 휴먼 리소시스’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에 뉴질랜드의 오클랜드가 107.3 점으로 공동 5위에 랭크 되었다. ‘머서’ 가 해마다 전 세계 도시들을 대상으로 ‘삶의 질이 가장 좋은 곳은 어디인가?’ 라는 주제로 사회, 경제적 조건, 치안 상태, 도시환경 등 39개 항목에 걸쳐 철저히 조사, 분석해서 선정하는 이벤트인데 금년에는 215개 도시 가운데 가장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곳으로 스위스의 취리히와 제네바, 오스트리아의 비엔나, 캐나다의 밴쿠버에 이어 5위를 차지한 것이다.

  항상 불안 요소가 내재해 있으면서도 한 없이 역동적이고 생동감 넘치는 한국땅에서 우리는 태어나고 성장하였다. 그리고 지금 우리는 뉴질랜드라는 아름답고 쾌적한 새로운 기회의 땅에 접목된 것이다. 이제 우리의 삶은 오클랜드라는 새로운 토양 위에서 다시 활짝 피어나야 한다.

  나는 내일도 청산에 살으리랐다. 키위랑 체리랑 먹고 오클랜드에 살으리랐다.

녹색의학 메디컬허브 이야기 - 에키네시아

댓글 0 | 조회 4,927 | 2010.01.22
제목: 독감과 싸우는 Flu Fighter, 에키네시아약리작용작은 해바라기처럼 생긴 에키네시아 (Echinacea)는 다년생으로 식물학적 분류로서는 Asterac… 더보기

[녹색의학 메디컬허브 이야기] -녹색 용병, 타임

댓글 0 | 조회 3,256 | 2010.01.07
제목 : 녹색 용병, 타임(Thyme)약리작용타임(Thyme)의 종류는 다양하나, Common Thyme으로 알려진 공식학명 Thymus vulgaris를 메디컬… 더보기

[녹색의학 메디컬 허브 이야기] 녹색 항염제, 캐모마일

댓글 0 | 조회 3,933 | 2009.12.22
일반허브와 메디컬 허브의 차이일반 할인점이나 소매점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라벤더, 로즈메리, 캐모마일 등의 허브 티와 메디컬 허브는 무엇이 다를까? 일반적인 … 더보기

NZ유학 10문 10답 (2)

댓글 0 | 조회 3,663 | 2010.01.25
ID 해동 님의 질문안녕하세요... 지금 필리핀에서 1년정도 살고 있는데요..4학년 6학년 여자애들이구요...내년 7월학기에 뉴질랜드 초등학교에 입학을 하구요 1… 더보기

금주의 NZ유학 10문 10답

댓글 0 | 조회 3,579 | 2010.01.18
ID 라면 냄비님의 질문뉴질랜드에 1년 어학연수를 하려고 합니다. 준비자금은 2500만원~3000만원정도? 대학부설로 갈 경우 지원금이 보조 되서 대학부설을 알아… 더보기

에릭의 남섬 로드투어 -5

댓글 0 | 조회 3,143 | 2010.04.06
다섯번째 이야기- 밀포드 로드를 따라 퀸스타운으로다우트풀 사운드를 다녀왓지만 그래도 세기의 절경으로 유명한 밀포드를 가보는것이 후회를 할것같지않아서 형에게 졸라서… 더보기

[에릭의 남섬 로드투어]남섬의 남쪽 바다를 따라 가다

댓글 0 | 조회 3,143 | 2010.03.15
세번째 이야기- 남섬의 남쪽 바다를 따라 가다블러프를 찍고 다시 방향을 서쪽으로 돌려 티아나우 쪽으로 갈려고 합니다. 동쪽은 다 훑어 내려왓으니 서쪽으로 넘어가기… 더보기

에릭의 남섬 로드투어

댓글 0 | 조회 2,899 | 2010.03.05
두번째 이야기- 지구의 남쪽 땅끝까지더니든을 뒤로하고 우린 다시 인버카길을 2차 목적지로 정햇습니다.. 첨보는 풍경들이 잠시 발길을 멈추가 합니다  브라이톤 작은… 더보기

[에릭의 남섬 로드 투어] 첫번째 이야기- 남쪽으로 떠나다

댓글 0 | 조회 4,010 | 2010.01.19
첫번째이야기-남쪽으로떠나다한국에서온형과함께오클랜드공항에서출발하여크라이스트처치 공항에도착하엿습니다..젯스타항공사이트를조회하여싼티켓을날짜별로고를수있어저렴하게갈수있었습… 더보기

자만심

댓글 0 | 조회 2,460 | 2011.01.14
어느 한 분야에서 세계 제일(?)이면 자만할 수 있다. 즉 지존인 최고의 실력자를 말한다. 하지만 세계 최고를 얼마나 유지할 수 있을까? 세계 신기록은 지금도 갱… 더보기

골프를 본격적으로 시작 할 가장 좋은 시기!

댓글 0 | 조회 2,961 | 2010.12.08
한국은 이제 본격적인 겨울 준비로 수많은 골퍼들이 들(?)로 산으로 갔다가 기온이 점차 내려가면서 따뜻한 동남아 등으로 골프치러 가는 사람들을 종종 본다.골프는 … 더보기

샤프트 강도의 종류와 그 차이점

댓글 0 | 조회 8,646 | 2010.10.13
샤프트 강도는 골퍼의 스윙 스피드와 아주 밀접하다. 드라이버의 샤프트 강도와 그에 맞는 스윙 스피드 및 평균 비 거리, · 여성용 LADY 60마일 내외 160미… 더보기

다양한 웨지의 선택 방법

댓글 0 | 조회 3,367 | 2010.09.15
샌드 웨지의 특별한 기능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일반적인 아이언 셋트의 구성 중에, 피칭 웨지와 샌드 웨지의 스팩은 (이하 피칭, 샌드, 로브) 제조 회사마다 각양… 더보기

한타를 세이브하기 위한 체력

댓글 0 | 조회 2,458 | 2010.08.11
가끔 프로 대회를 지켜 보면, 우리가 상상을 할 수 없는 경우에 샷을 아주 능숙하게 한다. 가령, 나무 위에서 샷을 한다던가, 물 속에 있는 공을 쳐서 그린에 올… 더보기

퍼팅과 직업

댓글 0 | 조회 3,027 | 2010.07.13
퍼팅을 잘 할수 밖에 없는 직업이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 찾아 보았다. 정확한 통계나 자료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유난히 퍼팅을 잘하는 친구들이 있어 생각해 보니 … 더보기

실수 샷!!

댓글 0 | 조회 2,394 | 2010.06.09
골프를 시작 한 후 누구에게나 일어나는 “사건”이 있다. 프로도 예외일 수 없고 그 프로들 조차도 피할 수 없는 바로 “실수 샷”이다. 어느정도(?) 골프를 친다… 더보기

멘탈의 균형

댓글 0 | 조회 2,930 | 2010.05.11
날계란의 특징이 있다면 손에 쥐고 있을 때 힘 조절을 하지 않으면 바로 부서진다. 그 계란의 무게만큼 손에 쥐고 있어야 계란은 보호 받을 수 있다. 스윙은 계란을… 더보기

골프채를 보면 느낌이 온다

댓글 0 | 조회 3,373 | 2010.04.13
다른 날 보다 꼼꼼한 시각으로 골프채를 관찰해 보면 그 골퍼의 실력과 성격을 알 수 있다.물론, 프로 지망생이나 이미 프로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비슷한 경우를… 더보기

초보자가 선택하는 체형에 맞는 골프채

댓글 0 | 조회 6,488 | 2010.03.10
이제 막 시작한 골퍼들의 최대 관심사는 골프채다. 전쟁터로 향하는데 연장(?) 없으면 싸우지도 못하고 적에게 먹이감 밖에 되질 않으니 튼튼하고 잘생긴 골프채야 말… 더보기

KOTRA의 무역정보-스테인리스제 못, 볼트/너트는 품질이 한국산쯤 돼야 해

댓글 0 | 조회 2,420 | 2010.06.21
- 목조주택용 Fastner 수요, 일반 철제에서 스테인리스제로 급변 –- 현지 전문 딜러, 한국산에 기대 커 –□ 주택의 90% 이상이 목조주택○ 뉴질랜드는 인… 더보기

KOTRA의 무역정보-외국인, 뉴질랜드를 식량자원기지로 활용 움직임

댓글 0 | 조회 2,092 | 2010.06.16
- 중국, 두바이 등 관심 높아, 우리기업도 적극 검토 필요 –□ 천혜의 자연환경, 식량공급 여건 수요 초과○ 뉴질랜드는 전체인구 430만 명에 불과한 인구 소국…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맞이하는 광복 66주년

댓글 0 | 조회 2,871 | 2011.08.08
역사적인 사실을 사실 그대로 기억만 하는 것은 가치가 없다. 사실을 현재의 눈으로 현재의 위치에서 해석을 내려 앞으로의 지침으로 삼아 행동으로 옮겨야 발전할 수 … 더보기

교민 교포라는 말 대신……

댓글 0 | 조회 4,603 | 2011.08.03
언어는 사회 구성원들 사이에서 맺어진 일종의 계약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그리고 언어활동은 다양하고 잡다하여 여러 영역에 걸쳐있다. 언어는 늘 살아 움직이고 그래서… 더보기

건강 108세를 지향하는 다수(茶壽) 캠페인 시리즈 (1)

댓글 0 | 조회 3,376 | 2010.11.01
다수 캠페인을 시작하면서인생은 종착역을 향해 다시 돌아오지 못할 길을 달리는 기차 여행과 같다. 마치 일회용 축음기판이 마지막을 향해 빨리 돌다가 끝나버리는 것처… 더보기

쓰레기로 멍드는 지구

댓글 0 | 조회 2,985 | 2010.10.11
“인간은 지구에 세 들어 사는 존재이지 그 주인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이 세상을 살아가는 100년도 못되는 기간 동안에 온갖 형태로 지구를 더럽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