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2] 산뜻한 출발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72] 산뜻한 출발

0 개 3,359 KoreaTimes
  1월을 뜻하는 'January'는 'Janus' (야누스)에서 유래 되었다고 한다.

  로마신화에 나오는 'Janus'(영어식 발음:제이너스)는 두 얼굴을 가진, 문을 지키는 신이었다.

  로마에는 많은 'Janus'들이 있었다. 이 문들은 독특하고도 독립적인 구조물로 건축되었고, 로마군대의 출정 등 특별한 행진 시에 행운을 가져다 주는 출입구로 인식 되었다.

  로마에서 가장 유명했던 길은 'Roman Forum'(로마 광장) 북편에 있는 야누스의 성소인 'Janus Geminus'였다. 일부 학자들은 야누스를 모든 일의 '시작의 신'으로 여기고 예배 시 제일 먼저 그에 대한 기원을 하곤 했다. 그리고 달력이나, 농경, 치세 등 여러 분야의 새로운 일, 월, 년의 시작 또한 그에게 봉헌 되었고, 새해를 시작하는 1월(January)이란 말도 그의 이름을 따서 붙여지게 된 것이다. 고대 로마인들은 '야누스는 눈이 앞 뒤에 있어 지나 온 것들을 돌아 보고 한편으로는 앞으로 다가올 해를 기대하며 바라본다고 여겼던 것이다. 야누스의 이런 양면성으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서로 상반되는 일, 또한 표리부동(表裏不同)한 현상이나 그렇게 행동하는 사람을 'Janus' Face(야누스의 얼굴)'이라 표현하기도 한다.

  <영국의 'Nelson 제독'이 장군들을 초청하여 전승 축하파티를 열고 있었다. 그는 항복한 적진에서 받은 황금빛 라이터로 담배를 피우면서 승리자의 쾌감을 마음껏 펼치고 있었다. 한참 장미빛 대화들이 무르익을 무렵 다시 그 라이터를 찾았으나 보이질 않았다. 주위를 둘러보며 "누가 장난으로 가져 갔으면 내 놓으라"면서 웃었지만 아무도 내 놓지를 않았다. 그 순간 주위에 갑자기 냉기가 돌았고 그 때 어떤 장군이 나서면서 말했다. "우리가 목숨을 걸고 싸워 얻은 승리를 축하하기 위해 모였는데 그깟 하찮은 라이터 하나로 분위기를 망쳐서 되겠는가! 일이 이렇게 된 이상 결백을 증명하기 위해서라도 한 사람씩 주머니 속의 물건들을 꺼내 놓기로 합시다." 그러자 이구동성으로 그렇게 하자면서 하나씩 주머니의 물건들을 꺼내 놓기 시작했다. 이윽고 어느 노 장군의 차례에 이르렀을 때 주저주저하던 그가 정색을 하며 말했다. "결백을 증명하기 위해 명예를 버릴 수는 없소이다. 주머니 속의 물건을 모두 꺼내 놓으면서까지 결백을 주장하고 싶지 않소. 명예란 신사가 지켜야 할 마지막 보루인 것이오."하고는 끝내 주머니 속을 내 보이지 않은 채 나가 버렸다. 뒤에서 수근 거리는 속에 집으로 향하는 노 장군의 발걸음은 무겁기만 했다. 주머니 속을 차마 공개할 수 없는 피치 못할 다른 이유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노 장군의 주머니 속에는 황금라이터가 아닌 냅킨에 싸인 몇 가지 음식이 들어 있었던 것이다. 은퇴 후 가난하게 살아 오다가 파티 석상에서 잘 차려진 음식들을 보자 집에서 쓸쓸히 기다리고 있을 부인 생각에 음식을 도저히 먹을 수가 없어 몇 가지를 슬쩍 호주머니에 넣어 둔 때문이었다.> 이민 와서 십여 년 살아 가는 동안 우리의 처지가 그 노 장군의 모습과 닮아 가지는 않았는지 참으로 착잡하기만 하다.

  연말연시가 되면 우리는 묵은 해를 돌아 보고 새해에 대한 새로운 기대와 각오를 다짐하게 된다. 그러나 묵은 해에 대한 되돌아 봄보다는 새해에 대한 희망과 설계에 무게 중심을 두게 되는 것이 인지상정(人之常情)이다. 이번 연말연시에도 수첩을 정리하면서 여러가지 상념에 사로 잡히게 되었다. 여느 해처럼 처음 몇 명을 제외하고는 수첩의 주소란에 기록되는 순위가 바뀌게 되었다. 지난 한 해 동안 새롭게 내 인생에 끼어 들어 와 가까워진 인사들이 있는가 하면 뜻하지 않게 멀어져 버린 사람들도 꽤 있다. 그리고 습관처럼 목표를 세운다. 작년 목표 중 70%도 채 달성치 못했으면서 또 희망사항 포함하여 다소 무리한 목표치를 정해 본다. 참으로 '야누스의 얼굴'인 것이다. 그렇지만 아직은 늙고 싶지 않은, 아직은 동시대의 활동무대에서 내려 오고 싶지 않은 안간힘일지도 모른다.

  휴가기간 다녀간 사람들 중 평소 가까이 지내던 젊은 중국인 부부가 있었다. 얘기 중에 부인이 크리스마스 선물이라면서 곱게 포장한 물건을 내밀었다. 예뻤지만 평범한 머그잔이었다. 그런데 그 머그잔에는 결코 평범하지만은 않은 다음과 같은 글이 새겨져 있었다.

  "I count myself as lucky for I could travel far, and never find myself a friend who's as special as you are."(멀리까지 여행할 수 있고, 당신처럼 귀한 친구를 만날 수 있었던 것은 내게는 큰 행운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렇다. 금년에는 특별하고, 거창한 목표는 세우지 말자. 하지만 누구에겐가 꼭 필요하고, 항상 생각나게 하는 그런 사람이 되자.

    올해도 어김없이 '헤밍웨이의 태양'은 또 다시 떠 올랐다. 그리고 야누스의 얼굴처럼 새로운 1월을 맞았다. 그리고 기왕이면 우리 모두 산뜻한 출발이었으면 싶다.

테니스의 동작원리에 대한 미신들(Ⅰ)

댓글 0 | 조회 3,372 | 2010.11.10
테니스를 배우다 보면, 테니스의 기술적 원리들에 관한 어떤 믿음들을 갖게 된다. 그리고 그런 믿음들에 따라 볼 치는 연습을 하고, 습관적인 동작패턴을 만든다. 어… 더보기

상대 전위를 향한 강타-문제인가 아닌가?

댓글 0 | 조회 3,284 | 2010.10.28
* 얼마 전 동호인들과 테니스를 치고 나서, “후위에서 상대방 전위를 향해서 볼을 강타하는 것이 문제가 되느냐”는 문제를 가지고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었다. 그것… 더보기

상대방의 발리실수를 유발하는 스트로크 리턴

댓글 0 | 조회 3,318 | 2010.10.12
* 한국에서 테니스 잘 치는 사람들의 모습을 눈여겨 보고 뭔가 배워 보려고 애쓰던 시절의 기억이 하나 있다. 가끔 내가 일하던 학교 코트에 볼을 잘 치는 동호인들… 더보기

복식게임의 승률을 높이려면(Ⅱ)

댓글 0 | 조회 2,913 | 2010.09.29
* 지난 호에서 나는 복식게임에 있어서 승률을 높이기 위한 첫 번째 열쇠가 강타라던가 기술샷 등의 볼치는 기술(ball-hitting technique)이 아니라… 더보기

복식게임의 승률을 높이려면(Ⅰ)

댓글 0 | 조회 3,252 | 2010.09.14
* 동호인들의 테니스 게임은 대부분 복식이다. 그런데 많은 동호인들은 무엇이 단식과 복식게임에서의 승부를 가르는 핵심요소인지 대하여 잘 모르거나 무관심하다. 그저… 더보기

상대 유형별 단식의 전술

댓글 0 | 조회 2,977 | 2010.08.24
A. 상대방이 올코트 플레이어형일 때에는...이 유형의 선수는 베이스라인에서의 스트로크도 잘 하고, 전위로 들어와서의 발리나 오버헤도도 잘한다. 또한 판단력이 빠… 더보기

복식게임의 전략과 전술(Ⅱ)

댓글 0 | 조회 3,123 | 2010.08.11
* 전위에 있을 때에는a. 상대방 리턴을 적극적으로 포치하거나 포치하려고 위협하라. 후위들간의 스트로크 랠리가 오래가지 않도록 선제 포칭을 하라. b. 발리나 포… 더보기

복식게임의 전략과 전술(Ⅰ)

댓글 0 | 조회 3,376 | 2010.07.28
복식 코트는 단식에 비해 폭이 2미터 정도 더 넓지만 두 명이 한 팀이 되어 진행하는 게임이라서 단식게임보다는 힘이 덜 든다. 플레이어들이 뛰어야 하는 거리도 짧… 더보기

단식은 공간과 시간의 게임

댓글 0 | 조회 2,928 | 2010.07.14
* 동호인들은 흔히 단식게임보다는 복식게임을 즐겨한다. 그러나 체력과 기동성에 자신이 있고 포핸드이건 백핸드이건 스트로크를 안정적으로 잘 하는 이들은 복식게임보다… 더보기

내기 게임과 “다대기” 문화

댓글 0 | 조회 2,912 | 2010.06.23
내겐 거의 매주 골프를 즐기는 친구가 하나 있는데, 어쩌다 만나면 내기 골프를 했던 이야기를 한다. 고스톱처럼 네 명이 점 당 얼마씩 걸고 매 홀마다 판돈 거래를… 더보기

동호인 테니스 규칙 퀴즈

댓글 0 | 조회 3,654 | 2010.06.10
1. 라인판정의 일차적 책임과 권리는 누구에게 있나? a. 양측 모두에게 있다. b. 볼을 친 쪽에 있다. c. 볼을 받은 쪽에 있다. 2. 심판 없이 진행되는 … 더보기

동호인 테니스 에티켓(Ⅲ)

댓글 0 | 조회 3,254 | 2010.05.26
22. 서브할 때의 풋폴트(foot fault)상대방 서버가 서브 중에 베이스라인을 밟거나 넘는 반칙(foot fault)을 범하는 경우 “풋폴트”라고 경고해 주… 더보기

동호인 테니스 에티켓(Ⅱ)

댓글 1 | 조회 3,092 | 2010.05.12
10. 복식 파트너에게 삼가야 할 무례한 언행* 파트너가 실수했을 때 불평하거나 투덜거리는 것* 파트너가 볼을 잘 못친다고 뿌루퉁하고 화난 표정을 짓는 것* 파트… 더보기

동호인 테니스 에티켓(Ⅰ)

댓글 3 | 조회 4,397 | 2010.05.03
* 테니스에는 공식적인 규칙(official rules)이외에, 추가적으로 동호인들을 위한 테니스 규범(The Code of Tennis)이란 것이 있다. 이것은… 더보기

양손 백핸드의 기본요령

댓글 0 | 조회 7,959 | 2010.04.13
▲그립 ▲라켓면을 아래로▲스윙은 통짜로 ▲목을 조르듯* 초보자들은 대부분 백핸드에 약한 편이다. 백핸드는 포핸드에 비해 다소 부자연스러운 동작이라서 처음부터 올바… 더보기

고급서브 : 파워와 확률을 높이려면

댓글 2 | 조회 7,303 | 2010.03.24
▲ 팔 곧게 펴고 토스 ▲ 스윙 직전의 자세 ▲ 타점은 높은 곳에서 ▲ 프로네이션 스냅* 고급서브의 두 가지 요건은 파워와 확률이다. 서브는, 첫 번째이건 두 번… 더보기

'안전 서브'는 위험 서브다

댓글 1 | 조회 3,024 | 2010.03.09
* 동호인들의 서브는 크게 두 가지 범주로 구분된다. 하나는 동호인들에게서만 볼 수 있는 ‘안전 서브’이고, 다른 하나는 선수들과 같은 폼으로 치는 고급 서브이다… 더보기

포핸드를 망치는 주범

댓글 0 | 조회 4,252 | 2010.02.23
※ 테니스 스트로크의 기본은 포핸드이다. 구력이 오래인데도 포핸드의 파워가 약하거나, 볼 콘트롤이 서투르거나, 안정성이 낮은 동호인들을 흔히 본다. 그들에게는 공… 더보기

포핸드의 3대 필수 습관

댓글 0 | 조회 3,008 | 2010.02.09
* 포핸드는 튀어오는 볼을 손바닥으로 쳐 보내는 식의 스트로크 기술이다. 단지 라켓 면이 연장된 손바닥이라는 점이 다를 뿐이다. 포핸드는 가장 쉽게 강하게 칠 수… 더보기

준비가 희망이다

댓글 0 | 조회 2,935 | 2010.01.26
테니스와 골프는 원리적으로 비슷한 점들도 있지만 둘 사이에는 재미있는 차이점도 있다. 그 중에 하나가 준비자세이다. 골프는 땅에 정지된 볼을 치는 운동이라서 치기… 더보기

테니스의 첫 단추 : 그립(Grip)

댓글 0 | 조회 4,593 | 2010.01.20
테니스는 손바닥 대신 라켓 면으로 볼을 치는 스포츠이다. 라켓 면이 연장된 손바닥과 손등의 역할을 하는 셈이다. 라켓을 쥐는 방법(그립)이 다르면, 타법(스윙동작… 더보기

테니스 용품 장만하기

댓글 0 | 조회 3,657 | 2009.12.22
테니스를 시작하려면 라켓, 볼, 그리고 테니스화 등 세 가지가 필수적이다. 품질이 좋고, 자기에게 알맞은 것을 고르고, 가급적 싸게 사는 방법이 어떤 것인지 알아… 더보기

테니스냐 골프냐, 그것이.....

댓글 0 | 조회 2,393 | 2009.12.08
공자의 <논어> 첫 장에, “꾸준히 배우고 익혀 자기를 성장시키는 일과, 멀리서 온 친구를 맞이하는 일보다 더 큰 낙이 있을까”라는 말씀이 나온다. 공… 더보기

녹색의학 메디컬허브 이야기 - 에키네시아

댓글 0 | 조회 4,925 | 2010.01.22
제목: 독감과 싸우는 Flu Fighter, 에키네시아약리작용작은 해바라기처럼 생긴 에키네시아 (Echinacea)는 다년생으로 식물학적 분류로서는 Asterac… 더보기

[녹색의학 메디컬허브 이야기] -녹색 용병, 타임

댓글 0 | 조회 3,253 | 2010.01.07
제목 : 녹색 용병, 타임(Thyme)약리작용타임(Thyme)의 종류는 다양하나, Common Thyme으로 알려진 공식학명 Thymus vulgaris를 메디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