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6] 여름철 과일과 채소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76] 여름철 과일과 채소

0 개 3,951 KoreaTimes
  여름은 과일과 열매채소의 계절이다. 기온이 높고 낮 시간이 길며 햇빛이 강렬해서 모든 식물들이 왕성하게 자라 풍성한 열매를 맺는다. 이러한 풍요로운 열매들이 있기에 우리는 작열하는 태양 속에서 땀을 흘리고도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름철에 특히 미각을 돋우는 복숭아 자두 살구는 여름철 과일 'Summerfruit'로 통칭되며, 이태리 요리에 많이 들어가는 토마토도 여름철 열매채소다. 언제나 넉넉한 자국 내 생산과 세계적인 교역의 덕택으로 우리가 사시사철 풍성하게 즐기는 이들 과일과 열매채소가 가지는 의미는 무엇인가?

  대부분의 과일과 열매채소는 기온이 높아야 잘 자라며 품질이 좋게 된다. 그래서 생산하기 어려운 다른 계절보다는 제철인 여름에 이러한 과일과 채소를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우리 건강에 유리할 뿐 아니라 환경 친화적인 소비가 된다. 물론 겨울철에도 환경조건만 만들어 주면 이들 여름철 채소를 생산해 낼 수 있지만 품질이 좋다고는 말할 수 없다. 게다가 재배기간에 난방연료의 소요가 많아서 환경에 막대한 부담을 주게 된다. 반면에 저온성 채소인 상추나 무, 배추는 여름철에 생산하기가 몹시 힘이 들어, 고랭지나 특별한 환경 조건을 만들어 주는 데에서만 생산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저온성 채소류는 여름철에는 되도록 멀리 해야 한다.

  그러면 여름철 과일과 채소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 몸 속의 독소 제거에 효과적이라는 복숭아, 씨까지 약제로 사용하는 살구, 신과일의 대명사로 알려 졌지만 요즈음에는 달콤한 품종이 더 많은 자두, 피로 회복에 좋다는 포도, 완벽한 식품으로 알려진 아보카도, 최근 인기가 높은 블루베리 등이 있다. 또한 채소 가운데 고추처럼 열매를 맺어 이들을 즐기게 되는 것을 열매채소라 한다. 세계에서 인류가 가장 많이 소비하는 토마토, 비타민 C의 보고로 우리와 친근한 고추, 된장찌개에 빠질 수 없는 호박, 아랍에서는 이들 요리를 마스터해야만 시집을 갈 수 있다는 가지, 여름철 더위를 잊게 해주는 수박과 참외, 열대지방 사람들이 즐겨 찾는 오이 등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그러면 이들을 모두 다 먹어야 하는가? 그렇다 가능하면 많을수록 좋다는 것이 정설이다. 그런데 이들 여름 과일과 채소도 개인에 따라 좋아하지 않는 것이 있고, 즐겨 찾는 것이 있게 마련이다. 그래서 개인의 기호에 따라 즐기는데, 가능하면 빨강, 노랑, 자주, 초록, 흰색의 다섯 부류의 과일과 채소를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나에게 친숙하지 않는 과일과 채소도 하나 둘 층을 넓혀 나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잘못된 여름철 과일과 채소류의 소비 형태를 살펴보자. 앞에서 지적한 무, 배추는 저온성 채소로 여름철에는 고랭지에서만 재배가 가능하다. 한 여름에도 배추김치를 즐기려는 현대 소비자들로 이들을 무리하게 생산해 대느라 한국의 고랭지가 몸살을 앓고 있으며, 무척 높은 가격을 지불해서 금치 소리를 듣기도 한다. 또한 여름철에 산과 바다에서 삼겹살에 상추를 즐기려는 행락객들도 가장 품질이 좋지 않은 상추를 가장 높은 가격에 구입하게 된다. 그러므로 현명한 소비자가 되려면 여름철에는 이러한 메뉴를 피하는 대신에 제철 농산물로 새로운 메뉴를 개발해서 즐기도록 해야 한다.

  여름에는 제철에 많이 생산되는 과일과 열매채소를 가능한 많이 찾도록 하고, 여름철에 생산하기 어려운 저온성 채소류는 봄 가을로 미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어린이들에 대한 건전한 식생활에 대한 교육과 이들에 대한 접근 기회의 마련이다. 세살 버릇이 여든 간다고 하지 않았던가. 만약 엄마가 들깨 잎을 좋아하지 않게 되면, 애들은 그걸 먹어 볼 기회가 없게 된다. 어렸을 적에 가능한 많은 기회를 마련해 주도록 해야 한다. 한국의 주부는 "파프리카는 애들이 안 먹어"라고 말하는 데, 일본의 주부는 "안돼, 이건 너의 건강에 좋은 거야"라고 애들을 설득한다.  

  반면에 뉴질랜드 학교를 포함한 서양에서는 '5 + A Day' 같은 어린이에게 과일과 채소를 많이 먹자는 캠페인에 열을 올리고 있다. 다행히도 여기 뉴질랜드의 과일과 열매채소는 풍부한 일조량과 충분한 강수량으로 품질이 뛰어나고, 또한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다. 이 여름이 다 가기 전에 여름철 과일과 열매채소의 참 맛에 푹 빠져 보는 것이 어떨 런지?

라이베리아 대학 강단에 서다 (Ⅰ)

댓글 0 | 조회 2,598 | 2010.04.13
본부에서 연락이 왔다. 여자 대통령으로부터 공문이 온 것이다. 라이베리아 대학 재 개교를 위하여 유엔 직원들 중 각 분야에 자격있는 전문가를 지원해 달라는 내용이… 더보기

이 꽃의 이름은 “꽃”입니다

댓글 0 | 조회 2,555 | 2010.03.23
꽃이 피었네이름이 무어냐고이 꽃의 이름은 그냥 “꽃” 이라내 자그만 꽃 가지꽃대 하나에 여러 개의 꽃과 꽃 봉우리체리 빛일까 하얀 빛일까아침 이슬에 젖어촉촉한 입… 더보기

자랑스런 한국의 젊은이들

댓글 0 | 조회 2,636 | 2010.03.09
“머시쉽이 들어왔어요!” “아니, 그게 뭐예요?” 처음 듣는 말이라 몰라서 물었다. “있잖아요, 집도 지어주고 아픈 사람들의 병도 고쳐 주는 병원선요, 병원선. … 더보기

앉은뱅이가 걸어가는 기적이 일어나다!

댓글 1 | 조회 3,446 | 2010.02.23
베베 수모, 나이 14세. 얼핏 보아 이제 겨우 열 한두살 먹은 꼬마 앉은뱅이 여자 아이다.김혜자 선생님을 포함한 우리 일행이 다가가자 황급히 두다리를 땅바닥에 … 더보기

하나님께서 보내주신 배우 김혜자 선생님(Ⅱ)

댓글 0 | 조회 2,793 | 2010.02.09
그로부터 약 2년 후, 지금 이렇게 라이베리라 공항에서 선생님을 다시 기다리고 있다. 이번에는 한국 월드비젼 회장님을 포함한 온누리 교회의 의료봉사단, SBS 방… 더보기

하나님께서 보내주신 배우 김혜자 선생님(Ⅰ)

댓글 0 | 조회 2,851 | 2010.01.26
시골 버스 터미널처럼 어지럽게 많은 사람들로 붐빈다.가나 아크라에서 출발하는 비행기가 연착되는 모양이다.이번에도 전쟁 고아가 많은 이 나라에 고아원을 돕기 위하여… 더보기

로망스를 연주하는 슬픈 여인

댓글 0 | 조회 2,552 | 2010.01.12
시에라레온 퓨리타운에서 바로 이웃나라, 라이베리아로 근무지를 옮겼다. 그 배경에는 특별한 이유가 있었다. 케냐 출신의 당시 라이베리아 유엔 평화유지군 총사령관의 … 더보기

UNMIL의 무장 및 동원 해제와 화해 작전

댓글 0 | 조회 2,655 | 2009.12.22
“빠바박, 빠바박, 척척척. 척척척” 사무실 바로 건너편에 있는 무기 절단기가 아침부터 요란하게 돌아간다. 수거된 무기들은 부서지면서 5센치 간격으로 잘려 나가고… 더보기

유엔과 아프리카 최초 여성 대통령(Ⅱ)

댓글 0 | 조회 2,480 | 2009.12.08
아이보리 코스트가 지원하는 또 다른 반군 세력인 라이베리아 민주운동(MDL)은 남서부 지역을 탈취하여 정부군의 전력을 약하게 만든다.결국 라이베리아를 이웃하는 세… 더보기

유엔과 아프리카 최초 여성 대통령(Ⅰ)

댓글 0 | 조회 2,622 | 2009.11.24
1) 나이지리아군의 수도 몬로비아 교두보 확보 작전"자유가 된 사람들의 땅(Land of the Free), 약속의 땅(Promised Land)"’이라는 의미를… 더보기

국제 무대에 선 자랑스런 한국인(Ⅶ)

댓글 0 | 조회 1,934 | 2009.11.10
이 친구는 요즈음 특별히 자기 단체에서 하고 있는 사업에 대해 자랑스럽게 설명한다. ‘페어 트레이드 굿 (Fair-Trade Goods)’으로 지원국에서 생산자들… 더보기

국제 무대에 선 자랑스런 한국인(Ⅵ)

댓글 0 | 조회 2,094 | 2009.10.27
그런데 이 친구의 목소리와 행동이 어쩐지 좀 느끼해 보였다.말할 때는 나의 손목까지 잡으면서 자꾸 신체적인 접촉을 하려는 것이 갑자기 섬뜩해지면서 느낌이 이상하다… 더보기

국제 무대에 선 자랑스런 한국인(Ⅴ)

댓글 0 | 조회 2,368 | 2009.10.13
이러한 생활 방식이 장기적으로 볼 때는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생각이 들면서 나는 나의 삶의 틀을 바꾸기 위해서 노력했다. 혼자가 아닌 같이, 더불어 살아가는 것으로… 더보기

국제 무대에 선 자랑스런 한국인(Ⅳ)

댓글 0 | 조회 2,057 | 2009.09.22
말로만 듣던 나쁜 벌레 ‘참피온’에게 물린 것이다. 모기장을 치고 자지만 잠이 든 사이 이 벌레가 모기장 사이로 들어온 것이다. 깎아 놓은 연필심 크기만한 이 벌… 더보기

국제 무대에 선 자랑스런 한국인(Ⅲ)

댓글 0 | 조회 1,800 | 2009.09.08
집주인들은 전쟁을 전후로 대부분 영국이나 미국에 이민을 가서 이 나라를 오고 가며 부유한 생활들을 하고 있다. 집을 관리할 대리인을 고용하여 나오는 수익을 원거리… 더보기

국제 무대에 선 자랑스런 한국인(Ⅱ)

댓글 0 | 조회 1,604 | 2009.08.25
문뜩 좋은 생각이 떠올랐다. 한국 지형정보국에 근무할 때 나의 카운터 파트너로 미국의 지형정보국에 근무하고 있는 '샤론' 이면 나의 고민을 해결해 줄 수 있을 것… 더보기

국제 무대에 선 자랑스런 한국인(Ⅰ)

댓글 0 | 조회 1,521 | 2009.08.11
시에라레온 유엔 미션 (UNAMSIL: United Nations Mission in Sierra Leone), 이것이 유엔 평화유지군에게 주어진 공식 명칭이다.… 더보기

피로 얼룩진 사자의 산 시에라레온(Ⅳ)

댓글 0 | 조회 1,804 | 2009.07.29
지난 대통령 선거 당시 국민당 소속의 카바가 일반 국민들의 지지로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그 투표할 때 사용했던 부정한 손을 그냥 둘 수가 없다는 이유로 소년병들… 더보기

피로 얼룩진 사자의 산 시에라레온(Ⅲ)

댓글 0 | 조회 1,892 | 2009.07.15
반군은 정부군의 부대 위치와 반격에 대한 기밀을 알아내고자 잡힌 포로를 심문하면서 정부군이 언제 어느 방향에서 재 공격할지를 물었지만 포로로 잡혀 온 그는 아무것… 더보기

피로 얼룩진 사자의 산 시에라레온(Ⅱ)

댓글 0 | 조회 1,794 | 2009.06.24
비행기가 멈추고 트랩을 내려오는데 활주로에서 올라오는 뜨겁고 습한 열기가 마치 찜질방의 불가마 속으로 들어가는 것처럼 숨을 막히게 한다.'Lungi Interna… 더보기

피로 얼룩진 사자의 산 시에라레온(Ⅰ)

댓글 1 | 조회 2,194 | 2009.06.10
2002년 1월 21일시에라레온 행 항공권을 열어 보니 여러 장의 티켓이 들어 있다.최종 목적지 시에라레온까지 가는데 유럽과 아프리카 대륙을 'S'자로 그리면서 … 더보기

유엔 민간직원으로 선발되다(Ⅰ)

댓글 0 | 조회 2,238 | 2009.05.26
"따르릉, 따르릉" 저녁 10시경 전화벨 소리가 울린다. "여보세요!" 무심결에 전화를 받았다. 유엔본부 평화유지부 (DPKO)에서 전화가 왔다. 서부 아프리카 … 더보기

피의 계곡 카라코람 하이웨이(Ⅲ)

댓글 0 | 조회 1,587 | 2009.05.12
이 지역 주민 대부분은 시아파가 주류이며 오래전부터 길깃-발티스탄주의 독립을 갈망하고 있었으며 자주 분쟁을 일으켜 왔다. 이로인하여 파키스탄 정부는 이지역에 특수… 더보기

피의 계곡 카라코람 하이웨이(Ⅱ)

댓글 0 | 조회 2,249 | 2009.04.29
그래도 이놈의 운전병은 얄밉게도 태평이다. 낭떨어지는 전혀 의식하지 않는 듯하다. 떨어져 죽어도 좋다는 식이다. 그야말로 "인쉘라"라는 것이다. 한동안 달렸을까.… 더보기

피의 계곡 카라코람 하이웨이(Ⅰ)

댓글 0 | 조회 2,024 | 2009.04.16
초가을, 아침 저녁으로 쌀쌀한 기온은 내일이라도 금방 히말라야의 혹독한 추위가 닥칠 것만 같다. 자 ! 오늘은 카라코람 하이웨이상에 위치한 이웃 초소 길깃을 방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