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소, 물 건너가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염소, 물 건너가다

0 개 3,695 코리아포스트
추석 전 날 어머니를 모시고 강 사장 집에 송편을 만들러 갔다. 강 사장 집은 차례를 지내기 때문에 여러 가지 음식을 많이 만드는데 형제들이 다 모여 음식 준비를 한다. 어머니는 여러 사람들과 같이 송편을 만드시니 명절 분위기가 난다고 좋아 하셨다.

"그나저나 염소는 언제 잡는 거야?"

내가 강 사장에게 묻자 강 사장은 맥주 김빠지는 소리를 하였다.

"염소, 물 건너 갔슈~~~~"

"뭐, 염소가 냇물 건너로 도망갔어?"

강 사장 집에는 염소가 2마리가 있었는데 1마리는 올 초엔가 잡아먹고 나머지 한 마리는 이번 추석에 잡아먹기로 했었다. 집에 묶어 놓았던 염소가 줄은 엉키고 돌볼 사람은 없고 해서 얼마 전 목재공장으로 옮겨 통나무에다 묶어 놨는데 밤에 개가 물었는지 다리에 상처가 났다고 한다. 그런데 원목 통나무를 싣고 온 트럭기사가 염소를 보더니 바로 핸드폰으로 동물 보호소에다 신고를 했다고 한다.

"형님, 동물보호소 직원 2명이 금방 출동하더군요. 아이고, 제가 동물을 학대한 죄가 3가지나 된답니다. 염소 집이 없어 안락한 생활을 하지 못하게 한 죄, 묶어 놓은 줄이 너무 짧아 스트레스를 받게 한 죄, 상처를 치료 해 주지 않아 고통스럽게 한 죄, 감방 갈 뻔 했슈~~"

"그래서 어떻게 됐어, 구류 살다 왔어?"

염소를 계속 키울 거냐? 포기 할 거냐? 하고 물어서 얼른 포기 한다고 대답했더니 그 사람들이 염소를 모시고 갔다고 한다.

정말 염소 물 건너갔군. 추석날 염소 영양탕을 먹고 힘을 내야 하는데...

원래 염소의 주인은 워커웍스에 사는 송 사장이었다. 시원스레 바다가 보이는 언덕 위에 멋진 집을 짓고 사는 송 사장은 한 가지 고민거리가 있었다. 비탈진 언덕의 풀을 어떻게 처리하느냐는 것이었다. 너무 경사가 심해서 잔디를 깎을 수도 없고 울타리를 만들어 소를 키울 만한 크기도 되지 않기 때문이다. 비탈진 언덕에 이름 모를 잡초들이 사람 키만큼이나 무럭무럭 자라났을 때 송 사장에게 굿 아이디어가 떠올랐다. 비탈진 곳에 말뚝을 박아 염소를 묶어 놓으면 잡초를 모조리 뜯어먹을 것이라는...

송 사장은 염소를 사러 이곳 저곳 분주하게 돌아다닌 결과 점박이 흰 염소 한 쌍을 사다가 언덕에 묶어 놓을 수 있었다. 이제 언덕도 깨끗해지고 할일 다 했다 싶었는데 어느 날 동물보호소 직원이 신고를 받았다며 집으로 찾아왔다고 한다. 직원들은 염소집이 없다고 당장 집을 지어 주라고 하여 송 사장은 며칠에 걸쳐 염소 집을 만들어 주었다.

그리고 한동안 잠잠하더니 동물보호소 직원이 신고를 받았다며 또 찾아왔다. 염소 줄이 엉키고 너무 짧아 염소가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좀 편안하게 살 수 있도록 잘 보살피라고 하였다고 한다.

언덕위에 있는 송 사장 집은 차도에서 너무 잘 보이기 때문에 염소가 줄이 엉키거나 조금만 이상하면 지나가는 사람들이 금방 신고를 한다고 한다. 송 사장은 염소의 줄이 엉켜도 자주 가서 줄을 풀어 주기가 힘들다고 한다. 조금만 방심하고 등을 보이면 어느새 염소가 달려와 엉덩이를 들이 받는다고 한다.

엉덩이가 성할 날이 없는 송 사장은 잡초고 뭐고 스트레스만 쌓여 고민하던 중 또 굿 아이디어가 떠올랐다고 한다. 염소를 루아카카에 사는 강 사장 집에 주자, 그 집은 차도에서 잘 보이지 않으니 신고하는 사람도 없을 테고...

그리하여 염소 2마리는 루아카카로 이사 와서 살다가 한 마리는 우리들 입 속으로 들어갔고 또 한 마리도 우리들 입 속으로 들어가기 직전 트럭기사의 신고로 출동한 동물 보호소 직원들이 모시고 가 버렸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컴퓨터 관리법

댓글 0 | 조회 1,873 | 2008.09.12
컴퓨터를 사용할수록, 속도가 점점 느려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물론 컴퓨터도 기계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수명이 무한한 것은 아니나, 지속적인 관리를 해 줄 … 더보기

운영체제

댓글 0 | 조회 1,651 | 2008.09.10
소프트웨어에 대해 지난 호에서 간단하게 알아 보았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제일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운영체제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겠다. 운영체제는 컴퓨터에서 사용… 더보기

소프트 웨어

댓글 0 | 조회 1,711 | 2008.08.27
지난 호까지 계속해서 설명하였던 하드웨어(Hard ware)가 눈에 보이는 뼈대 역할을 하였다면, 소프트웨어(Software)는 눈에 보이지 않는 지적인 내용, … 더보기

업그레이드란?

댓글 0 | 조회 2,089 | 2008.08.01
하드웨어의 성능을 기존 제품보다 뛰어난 것으로 바꾸는 작업을 말한다. 지난 호에서도 여러 번 설명 했다시피, 컴퓨터는 여러 부품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 더보기

컴퓨터 구입(Ⅱ)

댓글 0 | 조회 1,690 | 2008.08.01
이 번호도 저 번호에 이어 구입에 대해서 알아보자. 메이커 컴퓨터의 경우, 사용자가 선택 할 수 있는 부분이 거의 없기 때문에, 여기서는 조립 컴퓨터를 중심으로 … 더보기

컴퓨터 구입(Ⅰ)

댓글 0 | 조회 1,789 | 2008.08.01
이제는 우리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기기 중 하나가 바로 컴퓨터다. 컴퓨터를 이용해서 노래도 듣고, 영화도 감상하며, 특히나 한국 소식이 궁금할 때면 한국 웹사이… 더보기

기타 장치들

댓글 0 | 조회 1,718 | 2008.08.01
1. 하드 드라이브 (Hard drive)하드드라이브는 우리 몸의 뇌 역할을 하는 곳으로써, CPU가 계산을 전담했다면, Hard drive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 더보기

인터넷 연결

댓글 0 | 조회 2,404 | 2008.08.01
뉴질랜드에는 인터넷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대표적인 3가지 방법이 있는데 거기에는 전화접속 (Dial-Up), ADSL 그리고 무선 인터넷 접속이 있다. 그럼 … 더보기

인터넷 공유

댓글 0 | 조회 1,947 | 2008.08.01
컴퓨터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한집에 한대 이상의 컴퓨터를 가지고 있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다. 이로 인해서, 자료 공유나 인터넷 동시 사용 등이 필요한데, 크게 몇 … 더보기

하드웨어(Ⅱ)

댓글 0 | 조회 1,385 | 2008.08.01
2. 램 (RAM, Random Access Memory)램은 일종의 임시 저장기능을 하는 곳이다. 데이터의 모든 내용은 하드드라 이브(Hard Drive)에 저… 더보기

CPU 성능

댓글 0 | 조회 1,664 | 2008.08.01
하드웨어란 컴퓨터를 구성하는 전자부품과 기계부 품을 말하는 것으로, 즉 우리 눈에 보이는 것이다. 우리가 컴퓨터를 구입한다고 하면 주로 이 하드웨어를 말하며, 그… 더보기

컴퓨터 역사

댓글 0 | 조회 1,554 | 2008.08.01
1. 최초의 컴퓨터 에니악 사실 에니악이 최초의 컴퓨터라 는 것에 대해서 논란이 많이 있다. 지금까지는 에니악을 최초로 알고 있었지만, 이보다 먼저 영국에서 세계… 더보기

소비자로서의 권리

댓글 0 | 조회 3,530 | 2008.09.24
견적 및 추정요금 (QUOTES & ESTIMATES)판매자는 당신의 동의 없이는 당신이 받아들인 견적 이상으로 요금을 부과할 수 없습니다. 증거를 위해 … 더보기

학교에서의 당신의 권리

댓글 0 | 조회 2,723 | 2008.09.24
당신은 5세에서 19세(특별 교육인 경우 21세)까지 무상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당신은 안전한 학교 환경을 누릴 권리가 있습니다.(ss 3 & 9 E… 더보기

경찰과의 대면 시 당신의 권리

댓글 0 | 조회 2,615 | 2008.09.24
경찰의 질문과 관련 (POLICE QUESTIONING)당신은 기본적으로 묵비권을 행사 할 수 있습니다만, 정확한 이름과 주소는 반드시 말해야 합니다. 경우에 따… 더보기

종이컵 속에 마련된 생일 잔치

댓글 0 | 조회 2,530 | 2010.09.29
수단에서 현지인을 대상으로 선교활동을 하고 계시는 여자 선교사님으로부터 전화가 왔다. 한국에서 대학생 해외봉사단이 온다는 것이다. 선교사님이 운영하는 카튬시내의 … 더보기

수단껏 살아야하는 수단(Ⅱ)

댓글 0 | 조회 2,549 | 2010.08.25
그래서, 그 한가지로 언제 부턴가 내가 살고 있는 아파트내에 주차장을 뛰고있다. 사방이 보도 블록으로 테두리를 하고 있다. 한바퀴의 총보도 블럭수는 400여개, … 더보기

수단껏 살아야하는 수단(Ⅰ)

댓글 0 | 조회 2,445 | 2010.08.11
“Chief, Chief !”“It’s snowing outside”우리부서 행정업무를 담당하는 현지 여직원이 농담삼아 손짓하면서 밖에 지금 눈이 온다는 것이다.… 더보기

자연의 질서가 깨어진 카튬의 오후

댓글 0 | 조회 2,444 | 2010.07.28
수단의 카튬 기후는 그야말로 도시 전체가 건식 사우나탕을 방불케한다. 47-8도를 오르내리게하는 강열한 태양열은 금방이라도 성냥불만 갖다 되면 온 도시가 타버릴 … 더보기

신이 내린 축복의 강 나일(The Nile)- Ⅲ

댓글 0 | 조회 2,665 | 2010.07.13
수단 카튬에서 만나는 백나일과 청나일은 황량한 모래 사막위에 인구 8백만명이 농사짓고 살아갈수있는 생명수를 제공하고 있고 하류로 내려갈수록 비옥한 충적토를 제공하… 더보기

신이 내린 축복의 강 나일(The Nile)- Ⅱ

댓글 0 | 조회 2,350 | 2010.06.22
더 이상 샤워를 할 수 없었다. 얼른 몸을 닦고나니 수건은 곧바로 누른색으로 염색되어 버렸다. 입에는 치약이 벌써 말라 붙었다. 아니, 이빨을 닦을 생수도 없는 … 더보기

신이 내린 축복의 강 나일(The Nile)- Ⅰ

댓글 0 | 조회 2,402 | 2010.06.09
수단의 땅덩어리는 서유럽 국가들을 합친 면적과 비슷하다.유엔 미션의 본부가 수도 카튬에 있지만 전지역을 통제 · 관리 한다는 것은 불가항력이다. 그래서 남부 지역… 더보기

강대국이 갈라놓은 수단의 역사

댓글 0 | 조회 4,244 | 2010.05.26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나라인 수단은 한반도 면적의 약 11배나 되며 3,600백만 정도의 인구는 사막 지역인 북서부 지역을 제외하고 골고루 흩어져 살고 있다. 수단… 더보기

주먹밥을 나르는 엄마 대통령

댓글 0 | 조회 2,506 | 2010.05.11
2005년 가을, 라이베리아 선거관리위원회는 유럽 프로 축구구단에서 유명한 선수로 맹활약을 했던 청소년들의 우상, 조지 웨어(George Weah)와의 두 번에 … 더보기

라이베리아 대학 강단에 서다 (Ⅱ)

댓글 0 | 조회 2,312 | 2010.04.27
모든 시설이 파괴되어 호프집, 레스토랑, 카페, 디스코장, 볼링장, 당구장, 영화관, 공원 등등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여가를 가질 수 있는 시설은 전무하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