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열]가정폭력, 죽음의 그림자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김동열]가정폭력, 죽음의 그림자

0 개 3,236 김동열
지난주 미국 오클랜드 장로교회에서 메조 소프라노 홍진숙 박사의 ‘음악의 밤’이 열렸다.

이스트베이 한인봉사회 쉼터에서 주최한 행사로 단순한 음악 행사가 아닌 이민가정의 현실을 담은 처절한 고백이었다.
그 고백은 외부에 발설하기도 힘든 가정폭력의 희생자의 절규였던 것이다.

가정폭력은 침묵을 강요 받고 더 나아가서 대항할 힘마저 잃게 하는 소리 없는 죽음의 그림자로 불리고 있다.
가정폭력은 언제나 언어폭력으로 시작하여 일정기간 반복되다 손찌검을 하면서 가정폭력으로 변모하여 상습폭행으로 가정을 파괴하고, 심한 경우에는 인격상실에 따른 자살 또는 살인이라는 극한 상황으로 치달아 신문에 보도 되기도 한다.

쉼터의 이정렬관장은 “스와인 독감보다 더 무서운 가정폭력을 한인사회에서 추방하기 위해선 커뮤니티 전체가 그 위험성에 경각심을 갖고 있어야 하고, 가정폭력의 피해자를 구제하기 위한 단체에 대한 관심과 지원에도 힘을 모아 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가정폭력을 막는 방법은.
가정폭력의 이유를 획일적으로 설명하기는 힘들지만 우선 꼽을 수 있는 것 중에 의처증 또는 열등감, 알코올중독, 도박을 말하고 있다.

이 네가지 모두 정신질환으로 구분되지만 초기 증세까지는 병으로 판단하기가 매우 힘들다.
그래서 남자의 언어폭력이 정도를 넘을 경우 가정폭력의 초기 단계로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여성의 입장에서 쉽게 외부와 의론하거나 도움을 요청하기 힘든 시기이다.
왜냐하면 발설자체가 스스로를 더욱 불행으로 몰고 올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한인사회 경우 가정문제가 발생하면 성직자들과 상담하는 경우가 많다.
좋은 결과를 기대하지만 이야기가 잘못 외부로 알려질 경우 문제의 해결은 고사하고 가정불화로 비화돼 걷잡을 수 없는 가정파괴로 끝나는 비극적인 경우도 있다.
그래서 가정폭력은 초기 대처가 대단히 중요하다.

가정폭력의 가해자는 대부분 남편이고, 피해자는 부인 또는 자녀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물리적으로 힘이 강한 남성이 방어할 힘이 없는 여성을 일방적으로 구타하거나 그 이상의 행위로 가해 하는 것이 가정폭력이다.

여성은 남성의 물리적 폭력을 홀로 감당하기 어렵다.
그래서 외부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데 경찰에 신고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그 이유는 가정폭력은 반복성이 강하기 때문에 어떤 방법으로 든지 대화나 치료 이전에 더 이상 폭력을 휘 둘지 못하게 해야 한다.

경찰에 신고함으로써 반복성이 강한 남편의 폭력을 우선 물리적으로 막아야 한다.
또한 친정 집에 아버지나 오빠가 있을 경우에 주저하지 말고 알려서 남편의 폭력성에 대한 확고한 재발 방지 약속을 공개적으로 받아야 한다.
한국에선 오빠들이 몰려 가서 죽도록 두들겨 패는 내용이 드라마에 나오기도 한다.

주위의 관심과 사랑이 절대 필요
가정폭력은 대부분 매우 은밀히 또는 계획적으로 일어난다.
무의식 중에 일어 나는 경우는 드물다.

가정폭력은 학력과 경제력에 관계없이 매우 광범위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홍진숙박사의 경우처럼 남편이 성직자인 경우도 있어 거의 직업에 관계없이 일어나고 있다.
가정폭력을 통계상으로 보면 거의 4가정 중 1가정을 지목할 정도로 상상보다 많다.
자기 주위에 그런 가정은 하나도 없어 보이는데 이런 통계에 접하면 매우 충격적이다.
일부에선 가정폭력이 부풀려져 문제의 심각성을 극대화 하지 않느냐는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그러나 가정문제 전문가들은 이런 통계보다 더 많을 것으로 보고 있다.
왜냐하면 피해자가 웬만한 용기 없이 자신의 가장 수치스러운 모습을 보이려 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주장이다.
결국 통계보다 더 많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수긍이 간다.

가정폭력에 대한 대처 방법도 더욱 연구 개발 되어야 하지만 피할 수 없이 일어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피해자를 돕는 방법과 치유에 대한 방법이 매우 중요하다.

피해자를 돕기 위해선 우선 피해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고 자존심을 건드리지 않도록 매우 조심해야 한다.
특히 남편이 가해자인 경우에도 공개적으로 비난하고 무시해서는 절대 안 된다.
그 이유는 부부마다 그들만의 특별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가장 예민한 부분이다.
피해자를 위한 진정한 사랑과 관심이 장기적으로 필요하다.
피해자가 가장 필요로 하는 경제적인 도움도 동정하는 그런 인상을 주면 더 역효과만 낼 수도 있다.
피해자를 돕기가 가정폭력을 막기보다 더 힘들다는 후담도 새겨들어야 할 것이다.

가정폭력을 이긴 홍진숙 박사
홍진숙 박사는 자신의 불행을 믿음으로 이겨냈다고 말했다.

남편의 상습적인 가정폭력으로 자신이 스스로 지렁이에 비유될 만큼 철저히 자학했던 그런 어두운 과거를 하나님께 더욱 의지하면서 뒤늦게 공부를 다시 시작해 음악박사 학위를 받는 재활의 길을 찾은 인간 승리 드라마를 연출한 것이다.
이제 그녀는 분노의 침묵을 깨고 자신처럼 고통 받는 여성들을 위해 대중 앞에 나서 가정폭력 추방을 강력하게 외치고 있다.

그녀는 “자신의 이야기와 노래를 듣고 단 한 사람이라도 가정폭력의 피해자가 스스로 폭력에 대항하는 힘과 용기를 얻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녀의 노래는 인간의 영혼까지도 말살하는 가정폭력이라는 거대한 괴물에 대한 절규이자 항쟁인 것이다.
절체절명에 있는 공포 속에 있던 자신을 다시 찾은 환희와 감동의 노래이기도 했다.
자신의 수치를 덮으려 하지 않고 같은 여성을 돕기 위해 나선 그녀의 용기는 지금 어려움 속에서 고통 받는 여성에게 큰 힘이 될 것으로 믿는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눈물의 난민수용소,,,

댓글 0 | 조회 2,283 | 2005.09.28
(지금부터 올리는 글들은 지난 시간 써두었던 글들이며.현재 저는 해밀턴에 아직까지 거주하고 있답니다.^^앞으로 이곳에. 최근까지의 뉴질랜드 해밀턴 살아가기글들을,… 더보기

해밀턴의 캐빈엄마로 살아가기...첫번째...

댓글 0 | 조회 2,537 | 2005.09.28
나이 마흔에 개나리 봇짐도 아니고,그저 베낭하나 짊어지고, 이곳 뉴질랜드를 무작정 왔을때,, 제 짐속에 들어있던 것들은,라면도 고추장도 아닌 지도 몇장과 인터넷 … 더보기

[349] Credit Contracts and Consumer Finance A…

댓글 0 | 조회 3,707 | 2007.01.30
Credit contract 이란 credit 을 제공하고 제공받는 계약서를 일컫는다. 여기서 credit 이란: - 빚의 지불을 연기하거나 - 빚을 초래하고 거… 더보기

[348] Overseas Investment Act 2005 – 외국…

댓글 0 | 조회 2,998 | 2007.01.15
외국인이 뉴질랜드의 “sensitive land” 나 “significant business assets” 에 투자를 할 때에는 그에 관한 허가를 받아야 한다. … 더보기

[347] 담보권에 대하여 – Personal Property Secu…

댓글 0 | 조회 4,167 | 2006.12.22
개인이나 회사의 물건에 담보권을 가지고 있는 채권자는 그 담보권을 보호하기 위해 Personal Property Securities Register (PPSR) … 더보기

[346] BULLYING AT WORK PLACE (직장에서의 괴롭힘)

댓글 0 | 조회 2,951 | 2006.12.11
모든 고용주는 고용인에게 육체적으로 그리고 정신적으로 안전한 근무환경을 제공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 또한 고용주는 고용주와 고용인의 신뢰를 깨는 행동을 해서는 안… 더보기

[345] NO CAVEAT 조항

댓글 0 | 조회 3,095 | 2006.11.27
Caveat 이란? ************ 토지 양도법령에 의하면 (The Land Transfer Act) 땅에 특정한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토지 주인… 더보기

[344] PARTNERSHIP (동업) 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2,967 | 2006.11.13
비즈니스를 시작할 때는 먼저 어떤 형태로 비즈니스를 운영할 것인지 결정을 내려야 한다. 주요 형태로는 개인 명의로 하는 사업 (sole trade), Partne… 더보기

[343] PRIVACY ACT (개인 정보 보호법) 에 관하여

댓글 0 | 조회 3,382 | 2006.10.24
이 법령은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사용하고 보관, 공개하는 것에 대한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 이 법령에서는 12가지의 개인정보 보호원칙이 나타나 있는데 그것들은 다음… 더보기

[342] LIQUIDATION - 회사 청산

댓글 0 | 조회 4,624 | 2006.10.09
“회사 청산” (liquidation) 이란 회사의 기존의 법률관계를 마무리하고 잔여재산을 처분하는 절차이다. 회사 주주나 법정에 의해서 청산인 (liquidat… 더보기

[341] 신탁 (Trust) 설립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3,575 | 2006.09.25
신탁이란 재산의 주인인 신탁설정자 (Settlor) 가 재산 명의를 신탁인 (Trustee) 에게 넘기고 신탁 수혜자 (Beneficiary) 를 위해 쓰이게 하… 더보기

[340] 프랜차이즈 가맹점

댓글 0 | 조회 2,649 | 2006.09.11
뉴질랜드의 프랜차이즈 가맹점 사업이 제대로 되지 않아 가맹점주들이 체인본사의 이사를 상대로 진행한 소송이 올해 4월에 뉴질랜드에서 제일 높은 Supreme Cou… 더보기

[339] 동거 커플과 재산 분리 합의서

댓글 0 | 조회 3,296 | 2006.08.21
Property (Relationships) Act 1976에 의하면 결혼한 커플이나 동거 커플, 동성 civil union 커플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축적한 재산… 더보기

[338] AGREEMENT FOR SALE AND PURCHASE –…

댓글 0 | 조회 2,543 | 2006.08.07
다음은 땅 매매 계약을 맺은 후 매수인이나 매도인이 계약을 취소하거나 파기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몇가지 고려해 봐야 할 사항들이다. Deposit ******* … 더보기

[337] ENDURING POWER OF ATTORNEY

댓글 0 | 조회 2,585 | 2006.07.25
만약 당신이 갑자기 정신 이상이 되어서 재산 관리를 할 수 없고 가족이나 또는 자신의 일조차도 돌볼 수 없게 된다면 당신이 믿는 누군가가 당신을 위해 재산 관리를… 더보기

[336] 임대계약서 – 늦은 렌트비 조정

댓글 0 | 조회 3,171 | 2006.07.11
임대 계약서에는 보통 렌트비 조정 날짜와 그 조정 과정이 명시되어 있다. 만약 임대인이 이 날짜를 넘기면 어떻게 될까? 임대인이 몇 달 후 혹은 몇 년 후 렌트 … 더보기

[334] Selling or Buying a Farm

댓글 0 | 조회 2,444 | 2006.06.12
많은 사람들이 농장을 사고 팔 때 변호사와 먼저 상담하지 않고 계약서 서명을 하여 먼저 변호사 와 상담을 했었더라면 피할 수 있었을 문제에 부딪히는 경우가 있다.… 더보기

[333] How to contest a Will – 유언장에 이의를 …

댓글 0 | 조회 2,941 | 2006.05.22
만약 고인의 유언장에 당신이 받아야 하는 충분한 유산이 제공되지 못하였고 다음과 같은 경우에 당신이 해당된다고 생각한다면 가정법원이나 고등법원에 고인의 유언장에 … 더보기

[332] Employment Law

댓글 0 | 조회 2,639 | 2006.05.09
2004년 12월부터 시행된 새 고용법은 모든 고용계약서에 고용인 보호 조항을 넣도록 되어있다. 이 보호 조항에 관련하여 새 고용법은 보통 고용인과 취약성고용인 … 더보기

[331] HOW TO OBTAIN RESOURCE CONSENT

댓글 0 | 조회 3,149 | 2006.04.24
자원활용 승인 (resource consent) 를 받기 위해서는 지역 카운슬에 서면으로 신청하여야 한다. 그럼 언제 이 resource consent가 필요한가… 더보기

[330] THE CONSUMER GUARANTEES ACT & THE SALE …

댓글 0 | 조회 2,557 | 2006.04.10
이번호에서는 다음과 같은 물건을 산 경우 당신이 갖는 권리와 배상에 관해 살펴본다. · 비즈니스용으로 산 상업적 물건 (공장 기계등); · 개인이나 가정용으로 산… 더보기

[329] Motor Vehicle Disputes Tribunal

댓글 0 | 조회 2,564 | 2006.03.28
당신이 자동차 딜러에게서 차를 샀는데 그 산 차에 문제가 있다거나 딜러가 차에 대해 설명한 내용과 다를 경우가 있다. 이때 직접 딜러와 문제 해결이 가능하지 않을… 더보기

[328] UNIT TITLE

댓글 0 | 조회 2,350 | 2006.03.14
아파트나 오피스 건물의 경우 Unit Title 이라는 구조로 소유권이 주어진다. 이때 아파트나 오피스는 두개 이상의 principal unit (주 유니트) 이… 더보기

[327] 중재 재판 (ARBITRATION)

댓글 0 | 조회 2,290 | 2006.02.27
많은 계약서에는 만약 계약 당사자들간에 분쟁이 일어날 경우 법정으로 가기 보다는 중재 재판소에 가서 해결하도록 하는 조항이 있다.이때에는 중재 재판 법령 The … 더보기

[326] TERMS OF TRADE

댓글 0 | 조회 2,098 | 2006.02.14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즈니스를 하는 많은 분들이 보통 구두상으로 계약을 하기 때문에 만약 계약 조건들을 명시해 놓은 “terms of trade”가 있었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