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라즈(Shiraz)와 이순신 병법(兵法)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쉬라즈(Shiraz)와 이순신 병법(兵法)

0 개 1,602 피터 황

36b5d34e875d6cbed3bf1b602d3be771_1565658405_5645.jpg
 

임진년(1592년)이후 7년간의 해전을 통해 보여준 전승무패의 역사는 한국인의 가슴에 신화가 되었다. 승리의 원리는 불리한 상황에서는 질(質)적인 전투력으로 일본수군을 압도하고 열세의 적과 싸울 때는 병력을 집중하여 양(量)적으로 우세한 상황을 만들어 놓고 싸웠기 때문이다. 이순신이 위대한 것은 언제나 불리한 상황에서 우세한 적을 만나 싸워 이겼기 때문이 아니라 병법적으로 우세한 상황을 만들어 오합지졸로 분산된 적과 싸워 이겼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호주와 뉴질랜드는 매우 가까운 거리에 있지만 와인에 있어서는 상당히 다르다. 특히 쉬라즈는 프랑스의 고유 품종이지만 개성과 맛이 전혀 다른데 그 이유는 두 나라의 와인 재배 역사와 스타일의 차이 때문이다. 특히 호주는 맛이 분명하고 시장의 기호를 선도할 수 있는 가성비 좋은  제품이 많다. 불과 10달러짜리 수퍼마켓 와인에서 프랑스 고급 와인처럼 깊은 타닌, 오크 향, 조화로움 같은 덕목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은 대형 와이너리의 기술력이 아니면 불가능한 일이다.  

 

호주 와인은 4개의 거대 기업군 와인이 생산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국제적인 명성도 이런 거대 회사에서 비롯한다. 펜폴즈(Penfolds), 울프 블라스(Wolf Blass), 린드만(Lindeman’s), 제이콥스 크릭(Jacob’s Creek), 윈담 에스테이트(Wyndham Estate), 솔트람 에스테이트(Saltram Estate) 같은 유명 와인 브랜드들이 모두 이런 회사에 속한다. 미국 등 해외 자본도 양적으로 집중되어 있다. 반면에 뉴질랜드는 소규모 와인어리들이 각자의 개성을 무기로 빈틈시장에 파고드는 질적인 마케팅스타일이다. 주력품종도 소비뇽 블랑, 피노 누아같이 양적으로 승부하기엔 대중성이 약한 것들이다. 한마디로 말하면 호주가 보르도(Bordeaux)라면, 뉴질랜드는 부르고뉴(Bourgogne)다. 

 

1980년대 중반 까지만 하더라도 쉬라즈(Shiraz)는 관심밖의 품종이었다. 심지어 호주 정부는 쉬라즈를 뽑고 세계적인 흐름에 맞춰 샤르도네나 카베르네 소비뇽의 재배를 권유했다. 프랑스에서도 에르미타주를 제외하고는 쉬라(Syrah)의 수확량이 줄어들었다. 꺼져가던 호주의 쉬라즈가 회생할 수 있었던 것은 대기업이 적극적으로 와인 사업에 뛰어들면서부터다. 

 

흔히 우리는 호주 와인을 비교적 대중적인 가격의 무난한 와인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20년 이상 숙성시켜 마실 수 있는 고가의 와인들이 즐비하다. 또한 유니크한 개성을 가진 블렌딩 와인들로 명성이 높다. 보르도의 경우 카베르네 소비뇽과 메를로, 프랑스 남부 지역에서는 그르나슈(Grenache)와 쉬라의 조합이 널리 잘 알려져 있다. 그런데 호주는 전혀 독특한 배합을 시도했다. 레드와인의 경우 쉬라즈와 메를로 그리고 쉬라즈와 카베르네 소비뇽의 블렌딩이며 화이트와인은 세미용(Semillon)과 샤르도네의 블렌딩이 그것이다.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블렌딩(Blending)이 호주 와인의 도전적인 개성을 명쾌하게 보여준다. 여러분이 고급 식당에서 시키는 호주 와인의 상당수가 전혀 다른 개성의 품종인 쉬라즈와 카베르네 소비뇽의 조합이다. 원래 쉬라즈 품종은 프랑스 남부 산이고 카베르네 소비뇽은 보르도 산이다. 서로 섞일 일도 없고, 두 품종의 개성이 너무 강해서 섞는다는 것조차 생각하지 못했다. 쉬라즈의 투박하면서도 진한 풍미가 카베르네 소비뇽의 힘찬 특성과 서로 잘 조화되리라고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 일이었던 것이다. 

 

호주에서 쉬라즈를 재배하기 시작한 것은 1832년부터이다. 대부분의 포도원들이 GSM(Grenache Shiraz Mataro) 블렌딩을 만들기는 하지만, 호주의 국민 품종이 된 쉬라즈(Shiraz)는 프랑스의 론(Rhone) 스타일을 추구하는 와인들과 호주 자체의 캐릭터를 보여주려는 와인들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론 취향의 쉬라즈는 훨씬 여성적이고 관조적인 모습을 선사한다. 이와 대비되는 전통스타일은 뭔가 뜨거우면서도 거칠 것이라고 예상하기 쉽지만 최근의 쉬라즈들은 대단히 높은 절제감과 균형감이 있어서 어린 빈티지의 경우에도 풍만하면서도 견고한 지지력을 보여주고 부드러움 또한 잃지 않는다. 쉬라즈의 진한 과일향과 스파이시하고 후추향 풍부한 특성은 진한 양념, 매운맛과 조화를 이뤄 서로의 장점을 적절히 부각해주기 때문에 한국음식과 무척 잘 어울린다.

 

남호주의 쉬라즈는 진한 과일 풍미와 따뜻하고 부드러운 타닌, 감미로움, 후추 등 자극적인 향신료의 맛이 특징이다. 특히 바로사 밸리(Barossa Valley)는 고품질의 쉬라즈 와인을 생산하는 곳으로 유명하다. 이곳의 정상급 와이너리에서 만드는 와인들은 아로마가 다채롭고 농밀하며 우아하다. 맥라렌 베일(McLaren Vale)과 기후가 서늘한 빅토리아(Victoria)의 쉬라즈는 론 지역 와인에 가까운 스타일로, 착착 감기는 맛보다는 단정한 맛이 난다.

 

뉴사우스웨일즈의 와인은 원산지마다 특징이 다른데, 헌터 밸리(Hunter Valley)의 경우 부드럽고 마시기 편한 와인을 생산하며 머지(Mudgee)지역의 경우 힘 있는 와인이 생산된다. 론 스타일의 와인을 생산하는 오렌지(Orange)지역의 경우 호주의 차세대 와인 생산지로 떠오르고 있다.

 

국가 간의 부조리와 인간 존엄성의 실종, 역사적 책임전가의 참혹한 분노속에서 이순신은 영웅이 되어 우리에게 되살아온다. ‘조선 수군을 만나면 도망쳐라’. 한산도와 부산포 해전에서 충무공에게 참패한 후에 임진왜란을 일으켰던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부하장수에게 뱉었던 말이다. 산자들에게 죽음은 두렵다. 그러나 이순신은 오히려 두려움을 무기로 먼저 수백의 적함선을 향해 뛰어든다. 충(忠)의 근원에 백성이 있음을 잊지 않고 솔선수범했던 그의 장검(長劍)은 등돌리고 살아가던 나에게 번개처럼 내리치는 회초리다. 

 

시인

댓글 0 | 조회 211 | 2024.04.10
시인 :파블로 네루다전에 나는 고통스러운 사랑에 붙잡혀인생을 살았고, 어린 잎 모양의 석영 조각을소중히 보살폈으며눈을 삶에 고정시켰다.너그러움을 사러 나갔고, 탐… 더보기

축기의 비결

댓글 0 | 조회 221 | 2024.04.10
* 제가 단전호흡을 할 때, 계속 비운다고 생각하면 편안한데요. 단전에 축기를 한다고 생각하면 굉장히 답답해지거든요. 더 안 되는 것 같고요. 그래서 이렇게 했다… 더보기

마이너스 인생 살아가기

댓글 0 | 조회 1,006 | 2024.04.09
개념적으로 마이너스 인생이라고 하면 경제적으로 적자만 기록한 인생, 빚진 인생, 목표한 바를 이루지 못하고 헛되이 보낸 인생 등으로 이해하기 쉽다. 그러나 여기서… 더보기

기억에서 지우고 싶은 아픈 기억에 마주했을 때

댓글 0 | 조회 476 | 2024.04.09
우리가 일상을 살아가다보면 예기치 않게 충격적인 사건을 마주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엄청난 사건을 현장에서 경험했거나 목격했다면 사람들은 공포와 고통을 느끼고 우… 더보기

현대인의 심리 불안, 대추차가 좋아요

댓글 0 | 조회 244 | 2024.04.09
최근 한방의 질병 예방 및 치료 효과가 부각되면서 주위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한약재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남용이나 오용의 위험이 상대적… 더보기

장내 미생물총과 유전

댓글 0 | 조회 232 | 2024.04.09
장내 미생물, 사람의 체내 세포수보다 더 많은 생명체들, 사람의 유전자 정보보다 더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 존재. 제2의 뇌라 불리우는 곳에 사는 제2의 나, … 더보기

유년의 부활절

댓글 0 | 조회 139 | 2024.04.09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부활절 아침에어머니가 흰 봉투에 넣어준부활절 헌금은 십원짜리지폐 한 장이었습니다교회선생님이 출석부 이름을 부르면나는 자랑스럽게 선생님께 드렸… 더보기

잇몸의 날

댓글 0 | 조회 356 | 2024.04.06
‘잇몸병’은 우리나라 국민 3명 중 1명이 앓고 있을 정도로 흔한 ‘국민병’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우리나라엔 감기 환자(약 1200만명)보다 잇몸병 … 더보기

독감 및 최근 COVID-19 개량 백신 접종

댓글 0 | 조회 1,068 | 2024.04.05
4월 1일부터 독감 접종 시작합니다여러분과 사랑하는 이들을 독감으로부터 보호하세요.독감(인플루엔자)은 일반적인 감기와는 다릅니다. 독감 증상은 갑자기 나타나며, … 더보기

2024학년도 한국대학 입시 분석 결과 리뷰

댓글 0 | 조회 718 | 2024.03.28
2024학번 수험생들은 2020년부터 약 3년 여간 전세계를 강타한 코로나 판데믹을 거치며 고등학교 3년 대부분을 보냈던 코로나 마지막 세대이기도 하다. 극단적으… 더보기

액티브 인베스터 플러스 비자

댓글 0 | 조회 636 | 2024.03.27
뉴질랜드의 투자 기회를 높이는 액티브 인베스터 플러스 (Active Investor Plus Visa) 비자 소개중요한 발전으로, 액티브 인베스터 플러스 비자가 … 더보기

매일 아침 10분 모닝 요가

댓글 0 | 조회 415 | 2024.03.27
아침마다 침대에서 나오기 힘드신 분들, 특히 눈은 떠져도 몸이 말을 듣질 않아 한참을 이불 안에서 뭉그적거리게 되는 분들을 위한 영상입니다. 굳이 매트를 찾아 깔… 더보기

장 건강의 중요성

댓글 0 | 조회 590 | 2024.03.27
저는 한의사도 아니고 기능의학자도 아니며 자연치료사도 아니다. 다만 자연치료사 과정을 준비하고 있는 사람이다. 저는 그들이 지향하는 치료 방향에 공감을 하며 그들… 더보기

가을논에서

댓글 0 | 조회 297 | 2024.03.27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한적한 양구 벼 베낸 논에공 하나 들고 들어가논물 막았던 돌멩이로 골대 만들고혼자 이리저리 차며 논다지나던 논 주인일까뭐하슈어릴 적 생각이 … 더보기

참으로 좋은 삶, 늦복에 있네

댓글 0 | 조회 396 | 2024.03.26
처음 영정사진을 찍었을 때가 육십대 후반 칠순을 목전에 두었을 즈음이다.친구들이 앞다투어 몰려가는데 나는 사실 가고싶지 않았다. 마음은 아직도 새파란 청춘인데 영… 더보기

우화루에 꽃비 내리는 날

댓글 0 | 조회 151 | 2024.03.26
완주 화암사와 파주 보광사의 목어“이곳에도 부처님이 오실까요?” 가까스로 길을 물어 절에 다다랐을 때 누구에게랄 것 없이 무심코 새어나온 물음. 완주 불명산 시루… 더보기

왕초보를 위한 워크비자 입문서

댓글 0 | 조회 794 | 2024.03.26
뉴질랜드에서 합법적인 노동을 하기 위한 최적의 비자는 단연코 워크비자(work visa)입니다. 워크비자가 아니더라도 세금(PAYE)을 납부하면서 당당하게 근무하… 더보기

그리운 이에게 편지를 쓴다

댓글 0 | 조회 252 | 2024.03.26
시인 이 해인먼 하늘노을지는 그 위에다가그간 안녕이라는 말보다보고 싶다는 말을 먼저 하자그대와 같은 하늘 아래 숨쉬고아련한 노을 함께 보기에 고맙다바람보다, 구름… 더보기

호흡이 안 되는 이유

댓글 0 | 조회 474 | 2024.03.26
호흡이 안 되는 것은 대개 불안해서입니다. 초조하고 근심걱정이 많으면 가슴 부위에 기운이 뭉칩니다. 잡념이 많으면 호흡이 위로 올라가는 것이지요. 숨 쉴 때만이라… 더보기

직원의 번아웃

댓글 0 | 조회 895 | 2024.03.26
번아웃이란 과도한 업무량, 충분하지 않은 보상, 붕괴된 일과 사생활의 균형, 스트레스 등으로 발생하는 육체와 정신의 붕괴 현상을 말합니다. 피고용인이 번아웃에 빠… 더보기

체질이 궁금하세요?

댓글 0 | 조회 355 | 2024.03.26
서양의학의 발전에 가려서 제자리를 찾지 못하던 한의학이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새롭게 조명을 받고 있다. 이것은 서양의학이 환자 자신이 느끼는 증세보… 더보기

뉴욕의 말똥 걱정, 그리고 파괴적 혁신기술

댓글 0 | 조회 324 | 2024.03.26
아내가 암으로 수술을 받고 회복중일 때에 누가 자기 혈액의 백혈구(NK세포)를 추출해 증식시켜 도로 주입하면 치유와 회복이 빠를 것이라고 해서 그걸 해 보았다. … 더보기

품위 있는 죽음(Well-dying)

댓글 0 | 조회 1,024 | 2024.03.22
지난주 아내와 함께 상암동 월드컵경기장 1층 소재 메가박스에서 영화 <소풍>(러닝타임 114분)을 관람했다. 지난 2월 7일 개봉한 <소풍>… 더보기

리커넥트 “Care to Self-care?” 정신건강 프로젝트

댓글 0 | 조회 394 | 2024.03.13
리커넥트는 다가오는 4월을 시작으로, 정신건강이라는 주제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웰빙을 향상하는 목표로 Henderson High School에서 “Care to… 더보기

건양하면 다경하다고?

댓글 0 | 조회 296 | 2024.03.13
1년을 24개로 나누어 절기(節氣)를 두니 한 절기는 반 달(15일) 만에 돌아온다. 절기의 시작은 입춘(立春)이고 올해는 2월 4일이다. 입춘이 지나고 15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