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school 2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Back to school 2

0 개 2,010 박신영
지금껏 미국에서는 워낙 학교내 총기사고가 많이 났었지만

그래도 주로 고교에서 사고가 많이 났었고(제일 유명(?)한 것이 컬럼바인 고교 총기사건) 대학에서 이렇게 대형사고가 터진 것은 처음인 듯 하다

안그래도 학교내의 안전문제 때문에 많은 학부모들이 home schooling을 택하는 듯한데,

이젠 대학마저도 이모양이니 아예 대학과정조차 집에서 하겠다고 나설지도 모르겠다

얼마전 뉴스에 보니까 와이카토대학에서 졸업식을 했는데 법대졸업생중에 최연소여학생이 있어서 화제가 되었단다

19살이라고 했던가, 그런데 벌써 대학을 마쳤다 이 여학생은 학교라고는 대학전까지 전혀 가보지 않은 home schooling을 했는데, 대학에 오니 다들 나이를 물어보지도 않고 스스로도 굳이 밝히지 않아서 여태 아무도 몰랐다고 한다

엄마얘기로는, 워낙 공부를 잘 따라와서 진도를 빨리빨리 나갔다고 한다

이런 경우는 천재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학업성취도에 맞춘 교육에 의해 좋은 결과를 보았다고 해야하나....

우리 아들의 반친구 하나도 이번 term 2부터 학교에 오지 않는다

그 엄마얘기가 이젠 home schooling을 하겠다고 한다

객관적인 눈으로 보기에도, 그 녀석은 너무 너무 괜찮은 아이인데, 누구 말이,
잘하는 아이들은 다 home schooling을 한단나 뭐라나....

지난 term 1을 마치던 날, 그 엄마가 직접 구워 온 케잌을 반 아이들과 나눠먹고 나름대로 교실에서 송별회를 했다

Term 2가 시작한 첫날, 우리 딸이 다니는 유치원앞에서 그 엄마를 만났다

그 엄마의 딸도 같은 유치원을 다니는지라 종종 만나는데,

오늘부터 학교에 안 다니면, 공부가르치라 바쁘겠다고 인사를 했더니,

안그래도 지금 도서관에 가는 길이란다 책읽기는 그곳에서 할거라고....

하여간 부지런한 엄마인 것 같다, 고만고만한 아이가 셋인데, 큰 아이를 하루종일 가르치려면 얼마나 바쁠지.....

한국에서도 집에서 가르치는 것이 점점 늘어간다지만,
그리고 우리 아들도 이제 학교 안 다니는 그 친구를 부러워하지만(맨날 놀 수 있다고),
나는 개인적으로 학교수업을 선호한다

공부도 공부지만 socializing이 얼마나 중요한데,

학교에서 여러 선생님들, 여러 아이들과 만나고 교제하고 나름대로 부대끼는 기술을 익히는 것이 지식을 배우는 것보다 더욱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세상사는 것은 결국 사람과의 관계에서 끊임없이 소통하는 것이라고 믿는지라.


내가 예전에 미국에서 만난 어느 캐나다 친구도 대학전에는 학교를 가 본 적도 없는 아이였다

맨날 집에서 5명의 남매들끼리 어울리고 엄마,아빠랑만 공부하다가, 큰 규모의 대학에 와서 공부하는데, 공부는 뭐 워낙 학구파여서 잘 따라왔지만, 문제는 사교였다

여태 남자친구 한번 만난적도 없고 친구도 전혀 없었다고 한다

그렇게 대학도 4학년될 때까지 조용히 다니더니 갑자기 남자를 한명 사귀었는데,

나이도 훨씬 많고 게다가 같은 학생도 아닌 미 해군병사(장교도 아니었다)였다

남자는 배타고 이러저리 다니는지 거의 전화로 데이트를 하는데, 내가 옆에서 봐도

참 한심해 보였다 어서 잠에서 깨어나길 기대했지만 만난지 석달도 안돼서 결혼한다고 난리였다(Home schooling출신이라고 다 이렇지는 않겠지만...)


다양한 교육방식이 있는 것은 분명 장점이지만,

단순히 학교가 안전하지 않아서

학교에 못 보내겠다는 학부모가 점점 많아지는 요즘,  

조승희사건이 또 커다란 원인제공이 된 것은 아닌지.....

[350] 담아놓고 누르고, 끄달리며 산다

댓글 0 | 조회 1,435 | 2007.02.13
젖먹이 아기는 담긴 마음이 없어 슬퍼도 슬픈 줄 모르고 그냥 방글방글 웃고 기뻐도 기쁜 줄 모르고 그냥 방글방글 웃는다. 어린이는 담긴 마음이 굳지 않아 엄마한테… 더보기

[349] 감사하는 마음

댓글 0 | 조회 1,711 | 2007.01.30
‘나' 라는 존재의 근원은 창조주이다. 창조주의 섭리로 났고 창조주의 섭리로 살고 있다. 내가 살면서 이루어진 일체(내가 이루었다고 생각하는 것조차)도 창조주의 … 더보기

[348] 새해 복(福) 많이 쌓으십시오

댓글 0 | 조회 1,509 | 2007.01.15
복은 누군가가 주는 것일까? 부유하여 아무런 부족함 없이 사는 사람이나 출세하여 명예를 가진 사람을 보고 세상에서는 복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그리고 어떻게 … 더보기

[347] 잘되고 못되는 것

댓글 0 | 조회 1,544 | 2006.12.22
옛날 중국 북방 변경(邊境)의 요새(要塞) 근처에 한 노인이 살고 있었는데 어느 날 노인의 암말이 오랑캐의 땅으로 달아났다. 마을 사람들이 위로하자 노인은 조금도… 더보기

[346] 흐르는 물

댓글 0 | 조회 1,489 | 2006.12.11
흐르는 물은 머물지 않는다. 흐르는 물은 시작도 끝도 생각하지 않는다. 흐르는 물은 빗방울 하나로 시작되었음 생각하지 않는다. 흐르는 물은 작은 도랑물이었음 생각… 더보기

[345] 큰 마음

댓글 0 | 조회 1,464 | 2006.11.27
큰 마음은 감사할 줄 아는 마음이다. 은혜로운 일이나 덕이 되고 이익이 되는 일에만 감사하는 것이 아니라 궂은 일이나 시련에 대해서 조차도 감사하는, 범사(凡事)… 더보기

[344] 참 행복(幸福)

댓글 0 | 조회 1,537 | 2006.11.13
얻고자 하는 것 얻었다고 행복해 지는 것은 아니다. 얻고 나면 얻고 싶은 것이 또 있어서 불만이고 얻고 나면 또 얻고 싶어지기 때문이다. 아무리 얻어도 다 얻을 … 더보기

[343] 미물(微物)들의 지혜

댓글 0 | 조회 1,551 | 2006.10.24
금년 초 동남아시아에서 지각변동으로 대 재앙이 일어났을 때의 일이다. 태국의 유명한 바닷가 관광지에서 관광객을 태우고 거닐던 코끼리가 갑자기 불안해서 어쩔 줄 모… 더보기

[342] 동양인이 보는 달, 서양인이 보는 달

댓글 0 | 조회 1,722 | 2006.10.09
동양인이 보는 달은 아름답고 신비로우며, 때로는 낭만적이다. 예로부터 수많은 시인들이 달을 노래하였다. 중국 당나라의 이태백은 술이 취하여 강물에 비친 달을 건지… 더보기

순리(順理)의 삶

댓글 0 | 조회 1,593 | 2006.09.11
순리의 삶은 조화(調和)의 삶이다. 원래 만상만물은 조화의 조건으로 났다(창조되었다). 이것이 있어 저것이 있고 저것이 있어 이것이 있다. 산이 있어 산새가 있고… 더보기

[339] 욕심(慾心)

댓글 0 | 조회 1,415 | 2006.08.22
신이 인간을 처음 창조했을 때에 인간은 욕심이 없었습니다. 배고프면 지천으로 열려있는 과일을 따먹고 배부르면 놀면서 쉬었습니다. 장래에 대비하여 먹을 것을 쌓아 … 더보기

[338] 참 행복(幸福)

댓글 0 | 조회 1,321 | 2006.08.22
<본지에서는 이번호부터 문홍순 마음수련회 이사의 「마음으로 읽는 이야기」를 연재한다. 필자는 교민 여러분들의 삶을 되돌아보고 내면적 성찰을 통하여 인간과 삶… 더보기

[15] 우리딸 맞나

댓글 0 | 조회 4,700 | 2007.10.15
2002년 어느날인가 갑자기 아이비는 그 동안 미루어만 오던 우리의 숙제를 깊이 생각하게 되었다. 결혼 9년 일찍 가졌더라면 국민학교 다니는 아이가 있을법한 우리… 더보기

[14.] 사이먼의 첫직장

댓글 0 | 조회 3,551 | 2007.04.13
11년전 처음 이민와서 줄곧 지금까지 사이먼과 친구 S씨 그리고 J씨네 가족은 그 흔한 다툼 한번 없이 친분을 잘 유지해 오고이다.어제는 J씨네 들렀다가 6년전 … 더보기

[13] 웰링토니아(WELLINGTONIA)

댓글 0 | 조회 4,664 | 2006.11.28
웰링턴으로 이사 *************** 그렇게 이런 저런일을 겪었던 Porirua에서의 생활을 뒤로하고 남편과 나는 차로 길어야 25분 정도 걸리는 거리인 … 더보기

[12] 뉴질랜드에서 도둑이라니(2편)

댓글 0 | 조회 4,383 | 2006.07.25
그날 저녁 10시쯤 창 아저씨네서 놀다 돌아와 현관문을 여는데 거실 바닥에 서랍과 옷장 깊숙히 있어야 할 우리의 물건들이 나와 하나하나 떨어져 있었다. 방안 침대… 더보기

[11] 뉴질랜드에서 도둑이라니(1편)

댓글 0 | 조회 3,781 | 2006.05.10
법정까지 다녀온뒤에 우리의 차는 사고 나기전보다 훨씬 깨끗하게 되었다. 그차를 몰고 다니면서 나름대로 자부심을 가지게 되었다. 수리가 된차는 우리의 승리를 상징하… 더보기

[10] 사이먼 법정에 서다(2)

댓글 0 | 조회 3,915 | 2006.02.07
사이먼은 좋게 이야기를 시작하며 맥도날드에서 만나자고 했다. 물론 전혀 그사람을 의심하지 않는 말투로.. 허나 우리는 분명 그사람이 본인은 좋은 의도가 있더라도 … 더보기

[9] 사이먼 법정에 서다(1)

댓글 0 | 조회 3,486 | 2005.12.12
----------------- 웰링턴 폴리텍으로 ----------------- 사이먼은 3개월동안 공부했던 Whitireia 에서 Wellington Poly… 더보기

[8] Porirua에서의 생활

댓글 0 | 조회 3,088 | 2005.11.11
Porirua에서의 생활은 남편과 나의 기억에 아주 오래남을 추억들이 많은 시간이었다. 물질적으로 풍요롭진 못했어도 마음의 안정과 서로를 믿고 의지할 수 있는 기… 더보기

[7] 웰링턴을 향해 네번째 짐싸기

댓글 0 | 조회 4,454 | 2005.09.28
드디어 웰링턴으로 내려가기 위한 네번째 짐을 쌓다. 남편의 친구 S씨와 잠시 뉴질랜드를 방문했었던 J씨 이렇게 차3대가 새벽에 웰링턴을 향해 출발했다. 우리 짐은… 더보기

[6] 뉴질랜드 북섬을 정복하다

댓글 0 | 조회 4,727 | 2005.09.28
1997년 한 여름, 남편의 친구인 S씨랑 동생 Y 그리고 남편과 나, 이렇게 넷이서 북섬 여정에 나섰다. 여정의 목적은 우리가 앞으로 공부하며 지낼 수 있는 (… 더보기

[5] 세번째 짐싸기와 휘어진 상다리

댓글 0 | 조회 4,563 | 2005.09.28
힐스브로우에서 엘리어슬리 아파트로 이사를 했다. 방은 하나였지만 독립적인 공간이라 사이먼과 아이비는 우리만의 공간을 가지게되어 너무나 기뻤다. 물론 가구라고는 달… 더보기

[4] 두번째 짐싸기

댓글 0 | 조회 4,411 | 2005.09.28
겨울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어느 일요일 저녁 아이비와 사이먼은 당시 오클랜드 시내에서 선물가게 하시던 할아버지 집으로 다시 이사를 하게 되었다. 당시 그 분 집은… 더보기

[3] 첫번째 짐싸기

댓글 0 | 조회 4,611 | 2005.09.28
일주일을 로토루아에서 어떻게 보냈는지도 모르게 보내었고 다시 오클랜드로 돌아왔다.사이먼과 아이비는 앞으로 놓여질 그들 앞의 세상에 대한 궁금함과 두려움 그리고 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