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픈 한글, 아파트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슬픈 한글, 아파트

0 개 4,375 NZ코리아포스트
일본인들은 줄이는 능력이 탁월하다. 그들이 쓰는 문자인 가나문자 부터가 그 이전부터 써오던 중국의 한자를 간소화하여 만든 문자다. 커다란 식탁이나 밥상을 조그맣게 줄여서 휴대용으로 만든 도시락 문화를 만들어 낸 것도 그들이다. 대한민국 초대 문화부 장관을 지낸 이어령씨의 ‘축소 지향의 일본인’이라는 책을 참고로 하여 좀 더 살펴보자.

1955년 2월 ‘소니’의 전신인 ‘동경 통신 공업’이 트랜지스터 라디오 TR.55를 신발매하였다. 그것은 순식간에 세계 시장을 점령하는 일본 제품의 제 1호로 기록되었다. 그 전까지만 해도 이른바 ‘007 가방’ 부피만큼이나 커야만 했던 라디오를 시가 케이스 만한 트랜지스터 라디오로 줄여 놓은 소니는 지금까지도 전세계 가전제품 시장에서 정상을 달리고 있다. 영국 신사들이 들고 다니던 긴 우산을 2단 우산으로, 나아가 여성의 손 가방 속에 쏙 들어갈 수 있는 3단 우산으로 줄여 만든 것도 역시 일본인들이다. 대자연의 모습을 담장안 정원으로, 또 그 정원을 더 줄여서 분재와 수석으로 방안으로까지 끌어들여 감상할 수 있게 한 것도 역시 일본인들이다. 커다란 부채를 손안에 쥐고 다닐 수 있는 쥘부채로 만든 것도 일본인들이다.

이러한 작은 것에서의 탁월한 능력은 일본인들의 유전자 속에 조상 때부터 물려받은 듯하다. 일본인들은 예부터 쌀알에 글자를 써 넣는 경주를 해 왔다. 그들은 심지어 쌀 한톨에 600자, 깨알 한 개에 160자, 콩에 300자를 쓰기도 한다. 나아가 글자를 쓰는 게 아니라 쌀 한 톨에 46자의 글자를 일 분 안에 파 넣기도 한다.

문제는, 작게 만드는 데 전 세계 제일의 능력이 있는 일본인들은 영어까지도 짧게 줄여쓰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그들 나름의 법칙을 갖고 줄여썼다고는 하지만, 일본인들은 아는 영어 단어인데, 영어 원어민들은 모르는 영어 단어를 무수히 만들어 쓰고 있다. 테레비, 매스컴, 인플레, 인프라와 같은 당연히 영어 단어인듯한 이 말들은, 영어에는 없는, 일본인들이 영어 단어의 뒷 부분을 뭉텅 짤라 만든 엉터리 영어 단어를 한국의‘매스컴’들이 경쟁적으로 무비판적으로 갖다 쓰며 한국에도 뿌리를 내리고 있는 말들이다. 좋은 것은 일본 문화라해도 수용해야겠지만 엉터리 영어까지 그대로 베껴쓰고 있다.

일본에 대한 조건 반사적인 적대감을 뿌리깊게 갖고 있으면서도, 아직도 한국의 ‘식자층’들과 ‘매스컴’들은 일본 TV 프로그램 베끼기와, 일본식 꼬리잘린 영어 단어를 일본에서 직수입해오기 바쁘다. ‘ready-mix concrete’를 ‘레미콘’으로 ‘iced coffee’를 ‘아이스 커피’로, ‘amateur’를 ‘아마’로 ‘일본 영어’ 베껴 한국에 토착화 시키기에 바쁘다.

나아가 이제는 한국 자체에서도 엉터리로 줄여쓰고, 엉터리 영어를 토착화시키고 있다. ‘interchange’를 영어에는 없는 엉터리 약자인 ‘I.C’로 만들어 쓰기까지 한다. ‘외환 위기를 초래했다’는 ‘IMF를 초래했다’고 나의 혀에까지 달라 붙어 버렸다. ‘국제 통화 기금 (International Monetary Fund)’을 초래했다’는 말도 되지 않는 말들을 오늘도 한국의 ‘매스컴’들이 쏟아내고 있다. (안정효의 ‘가짜영어 사전’ 참고)

아이들은 어른들을 보고 배우고, 배운 것을 발전시켜 나간다. ‘푼돈을 벌기 위해 여가에 임시로 일하는 일자리(part-time job)’를 뜻하는 우리가 즐겨 쓰는 말 ‘아르바이트’는 영어가 아니라 ‘part-time job’과는 상관 없는 ‘arbeit(일하다)’라는 독일어이다. 그런데 우리의 아이들은 ‘아르바이트’를 ‘알바’로까지 ‘발전’시켰다. 그리고는 묻는다. “왜 아파트가 영어가 아니예요?”

‘아파트(apart)’라는 영어 단어는 ‘떨어져서, 따로따로’를 뜻하는 부사나 ‘다른, 독특한’이라는 뜻의 형용사로 쓰이는 단어이지 우리가 의미하는 공동주택을 뜻하는 명사가 아니다. ‘대치동 아파트 값이’라고 할 때의 ‘아파트’는 ‘apartment (house)’를 일본인들이 허리를 잘라 만든 단어를, 1960년대 말 서울 마포에 ‘아파트먼트’가 처음 선을 보였을 때 ‘아파트’로 일본에서 직수입해 쓰기 시작하여 지금은 한국 문화에 더 이상 뽑아버릴 수 없을 정도로 뿌리깊게 내려버린 단어다. 참으로 슬픈 한글(?)단어다.

일본 제국주의의 전체주의적 사상이 배어었던 단어 ‘국민학교’라는 말을 광복 이후에도 무심코 그냥 쓰다가 ‘초등학교’라고 바로 잡는 데도 몇 십년이 걸렸다. 말과 글은 그처럼 한 번 잘못 쓰이면 고치기 힘든 것이다. 이제 한국의 국력이 강해지며, 한국어에 대한 다른 나라 사람들의 관심도 점점 커가고 있다. 전 세계에서 1700만명의 사람들이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고도 한다. 제대로 세계인들에게 우리말과 글을 내놓아야만 할 때다.

우리말과 한글의 아름다움과 독창성과 우수성은 이미 전세계 사람들도 인정하고 있는 엄연한 사실인데도, 정작 한국 사람들은 엉터리 영어 단어까지 동원해가며 한 문장 당 영어 단어 한 두 개 정도는 섞어 쓰지 않으면 안될 듯이 경쟁적으로 우리 말을 오염시키고 있다. 그 틈을 비집고 중국에서 한글을 자신들의 문화 상품으로 만들어 세계에 내놓으려 하고 있다.

벌써 여러 번 노벨 문학상의 유력한 수상 후보로 거론되었던 고은 시인은 ‘겨레말 큰 사전’ 편찬 작업이 정부의 무관심으로 중단될 위기에 처했다고 정부의 관심을 요구했지만 그에 대한 응답은 들리지 않는 모양이다. 멀리 내다보는 거산의 호령도 산 속에 메아리로만 그칠 것인가?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363] 나는 누구인가(Ⅱ)

댓글 0 | 조회 2,325 | 2007.08.28
성현(聖賢)들이 참된 복이 무엇인지 알려 주어도 알아듣지 못하고 참된 복을 누리기 위해서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 지를 몸소 보여 주었는데도 그렇게 살지 못하는 나는… 더보기

[362] 나는 누구인가(Ⅰ)

댓글 0 | 조회 2,050 | 2007.08.14
태어나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언제나 어디서나 또 부모형제자매, 친인척, 주위의 모든 사람에게 잘 한 것이 하나도 없으면서 잘 살았다고 내 세웠던 나는 누구인가? 아… 더보기

[361] 길 떠나 온 사연

댓글 0 | 조회 1,402 | 2007.07.24
그 부모한테 태어난 사연도 지금 이곳에 오기 위함이었습니다. 오줌 싸고 동 쌌던 것도 할머니 무릎 베고 누워 ‘옛날 옛날에…’ 이야기 듣던 것도, 엄마 등에 업혀… 더보기

[360] 물 웅덩이

댓글 0 | 조회 1,645 | 2007.07.10
깊은 산골짜기에 맑은 물이 흐르고 있었습니다. 어느 해 여름 큰 비가 와서 한바탕 물난리가 계곡을 헤집고 간 뒤에 물길을 가로막고 있던 황소만한 바위가 거센 물살… 더보기

[359] 머무름

댓글 0 | 조회 1,325 | 2007.06.27
구름도 흐르고 바람도 흐르고 물도 흐른다. 별도 흐르고 태양도 흐르고 달도 흐르고 지구도 흐른다. 이 온 천지에 있는 만물만상이 나고 존재하여 사는 것도 존재하여… 더보기

[358] 가진 것에 매여 산다(Ⅲ)

댓글 0 | 조회 1,414 | 2007.06.13
사람은 태어나 살면서 보고 듣고 배우고 경험한 것을 내 안에 담아 두고(가지고) 산다. 그리고 담아 둔 그것 밖에 모른다. 담아 둔 만큼만 행하고 산다. 더도 덜… 더보기

[357] 가진 것에 매여 산다(Ⅱ)

댓글 0 | 조회 1,427 | 2007.05.23
사람은 무엇이든지 마음에 담아두고 산다. 오감(五感)으로 느낀 일체 -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코로 냄새 맡고, 혀로 맛보고, 피부로 느낀 촉감 - 를 마음에… 더보기

[356] 가진 것에 매여 산다(Ⅰ)

댓글 0 | 조회 1,427 | 2007.05.09
사람은 가짐의 마음을 가져 온갖 것을 가지고 산다. 그리고 그 가진 것에 매여 산다. 처음 창조되어 마음이 없었을 때에는‘나’ 를 가지지 않아 ‘나의 삶’ 이 없… 더보기

[355] 동양인이 보는 달, 서양인이 보는 달

댓글 0 | 조회 1,517 | 2007.04.24
동양인이 보는 달은 아름답고 신비로우며, 때로는 낭만적이다. 예로부터 수많은 시인들이 달을 노래하였다. 중국 당나라의 이태백은 술이 취하여 강물에 비친 달을 건지… 더보기

[354] 오만(傲慢)함, 그리고 어리석음(Ⅱ)

댓글 0 | 조회 1,578 | 2007.04.12
성현들이 전하는 하늘뜻을 그 당시에도 잘 몰랐고 오랜 세월이 흐른 현재도 잘 모르면서 예전에는 사람이 무지하여 그 뜻을 잘 몰랐지만 지금은 인지(人智)가 발달하여… 더보기

[353] 오만(傲慢)함, 그리고 어리석음(Ⅰ)

댓글 0 | 조회 1,511 | 2007.03.27
사람은 자기가 살아온 환경과 조건 속에서 보고, 듣고, 배우고, 경험한 것 밖에 모른다. 그 속에 갇혀 있으면서 갇혀 있음을 모른다. 또 자기가 보고, 듣고, 배… 더보기

[352] 무지(無知)와 무지(無智)-Ⅱ

댓글 0 | 조회 1,704 | 2007.03.12
인류가 지금까지 지식을 넓혀오는 과정을 보면 그 당시의 과학 수준에서는 다 밝혀졌다고 생각하였으나 과학이 더 발달한 후일에 보면 새로운 사실이 밝혀지거나 과거에 … 더보기

[351] 무지(無知)와 무지(無智)-Ⅰ

댓글 0 | 조회 1,430 | 2007.02.26
사람은 지식을 끊임없이 축적하면서 아는 범위를 계속 넓혀왔고 그 결과 무지(無知)를 점점 벗어나게 되었다. 사람이 근원적인 의문(‘나'라는 존재가 무엇인지, 어디… 더보기

[350] 담아놓고 누르고, 끄달리며 산다

댓글 0 | 조회 1,429 | 2007.02.13
젖먹이 아기는 담긴 마음이 없어 슬퍼도 슬픈 줄 모르고 그냥 방글방글 웃고 기뻐도 기쁜 줄 모르고 그냥 방글방글 웃는다. 어린이는 담긴 마음이 굳지 않아 엄마한테… 더보기

[349] 감사하는 마음

댓글 0 | 조회 1,707 | 2007.01.30
‘나' 라는 존재의 근원은 창조주이다. 창조주의 섭리로 났고 창조주의 섭리로 살고 있다. 내가 살면서 이루어진 일체(내가 이루었다고 생각하는 것조차)도 창조주의 … 더보기

[348] 새해 복(福) 많이 쌓으십시오

댓글 0 | 조회 1,503 | 2007.01.15
복은 누군가가 주는 것일까? 부유하여 아무런 부족함 없이 사는 사람이나 출세하여 명예를 가진 사람을 보고 세상에서는 복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그리고 어떻게 … 더보기

[347] 잘되고 못되는 것

댓글 0 | 조회 1,540 | 2006.12.22
옛날 중국 북방 변경(邊境)의 요새(要塞) 근처에 한 노인이 살고 있었는데 어느 날 노인의 암말이 오랑캐의 땅으로 달아났다. 마을 사람들이 위로하자 노인은 조금도… 더보기

[346] 흐르는 물

댓글 0 | 조회 1,485 | 2006.12.11
흐르는 물은 머물지 않는다. 흐르는 물은 시작도 끝도 생각하지 않는다. 흐르는 물은 빗방울 하나로 시작되었음 생각하지 않는다. 흐르는 물은 작은 도랑물이었음 생각… 더보기

[345] 큰 마음

댓글 0 | 조회 1,460 | 2006.11.27
큰 마음은 감사할 줄 아는 마음이다. 은혜로운 일이나 덕이 되고 이익이 되는 일에만 감사하는 것이 아니라 궂은 일이나 시련에 대해서 조차도 감사하는, 범사(凡事)… 더보기

[344] 참 행복(幸福)

댓글 0 | 조회 1,534 | 2006.11.13
얻고자 하는 것 얻었다고 행복해 지는 것은 아니다. 얻고 나면 얻고 싶은 것이 또 있어서 불만이고 얻고 나면 또 얻고 싶어지기 때문이다. 아무리 얻어도 다 얻을 … 더보기

[343] 미물(微物)들의 지혜

댓글 0 | 조회 1,549 | 2006.10.24
금년 초 동남아시아에서 지각변동으로 대 재앙이 일어났을 때의 일이다. 태국의 유명한 바닷가 관광지에서 관광객을 태우고 거닐던 코끼리가 갑자기 불안해서 어쩔 줄 모… 더보기

[342] 동양인이 보는 달, 서양인이 보는 달

댓글 0 | 조회 1,719 | 2006.10.09
동양인이 보는 달은 아름답고 신비로우며, 때로는 낭만적이다. 예로부터 수많은 시인들이 달을 노래하였다. 중국 당나라의 이태백은 술이 취하여 강물에 비친 달을 건지… 더보기

순리(順理)의 삶

댓글 0 | 조회 1,591 | 2006.09.11
순리의 삶은 조화(調和)의 삶이다. 원래 만상만물은 조화의 조건으로 났다(창조되었다). 이것이 있어 저것이 있고 저것이 있어 이것이 있다. 산이 있어 산새가 있고… 더보기

[339] 욕심(慾心)

댓글 0 | 조회 1,410 | 2006.08.22
신이 인간을 처음 창조했을 때에 인간은 욕심이 없었습니다. 배고프면 지천으로 열려있는 과일을 따먹고 배부르면 놀면서 쉬었습니다. 장래에 대비하여 먹을 것을 쌓아 … 더보기

[338] 참 행복(幸福)

댓글 0 | 조회 1,316 | 2006.08.22
<본지에서는 이번호부터 문홍순 마음수련회 이사의 「마음으로 읽는 이야기」를 연재한다. 필자는 교민 여러분들의 삶을 되돌아보고 내면적 성찰을 통하여 인간과 삶…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