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어와 그리스어 숫자에서 온 영어 단어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라틴어와 그리스어 숫자에서 온 영어 단어들

0 개 5,229 NZ코리아포스트
한국에서 유학을 오거나 이민을 온 학생들에게 영어를 가르치다 만나게 되는 문제점 중 하나가 영어 어휘를 어떻게 바르게 공부해 나갈까 하는 문제이다. 뉴질랜드에서 태어나거나 아주 어려서 이곳으로 온 학생들은 듣고 말하는 점에서는 별 문제가 없다. 그러나 독서량이 많지 않거나 따로 어휘 공부를 하지 않은 학생들은, 고등학교(college)에 들어가서 문학작품을 읽거나 작품을 분석해 놓은 비평서들을 읽을 때 모르는 단어들을 만나게 되고, 습관적으로 건너 뛰며 읽어나가기 때문에 정확한 의미파악을 하지 못한 채 책을 마치는 경우가 많다. 더구나 대학에 진학하게 되면 전공서적을 빠르게 읽어나가지 못해서 학업을 계속하기 어려운 경우도 생긴다.

한국에서 어휘공부를 아주 많이 하고 온 학생들에게 일어나는 문제점은 자신들이 암기하고 있는 어려운 단어들을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를 판단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이다. 이런 학생들이 써 놓은 에세이들에서는, 한국말로 생각하면 그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맞지만 사실상 그 단어는 그 자리에는 사용해서는 안 되는 뉘앙스를 갖고 있는 단어이기 때문에 문장이 자신의 의도와는 전혀 다른 의미가 되어 버린 경우를 종종 만나게 된다.

심지어 어떤 학생들은 학교에서 쓰고 있는 창의적 글쓰기(creative writing) 내용을 영어로 생각해서 영어로 쓰지 않고, 한국말로 생각해서 먼저 다 써놓고 그것을 영어로 옮기기도 한다. 이런 경우에 한국말로 써놓은 글은 너무 좋은 글이지만, 이런 글을 영어로 옮길 수 있는 충분한 영어 실력이 갖추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옮겨놓은 글은 전혀 그 의미가 전달되지 않고 무슨 말을 하는지 알 수 없는 결과를 가져오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제대로 된 영어 공부에 빨리 적응하고 좋은 에세이를 쓰기 위해서는 가능하면 영어로 글을 생각해서 영어로 쓰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영어로 사고하고 영어로 글을 쓰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정확한 문장구성 능력과 정확한 뉘앙스를 이해하고 있는 어휘 능력이다. 또한 자신의 영어 실력에 맞는 수준의 내용을 선택해서 쓰도록 연습하는 것도 중요하다. 자신이 표현할 수 있는 쉬운 문장부터 정확하게 글을 쓰는 연습을 하지 않고 욕심을 부려서,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도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는 문장으로 글을 쓰는 습관이 들어버리면 좋은 에세이를 쓰는 길과는 아주 다른 길로 깊이 들어가 버리게 된다.

한국 학생들이 자주 범하는 오류인 알맞지 않은 부분에 어울리지 않는 단어를 사용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가, 단어의 어원(etymology)을 공부하는 방법이다. 주로 라틴어(Latin)와 그리스어(Greek)에서 유래된 어원들에 대한 공부는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들이 그 단어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영어에 끼친 라틴어(Latin)와 그리스어(Greek)의 영향은 아주 커서 모든 분야에서 이 단어들에서 유래된 어휘들을 아주 자주 만나게 된다.

예를 들면 뉴질랜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수영, 자전거, 마라톤 경기로 구성되는 triathlon(삼종경기)은 그리스어(Greek)의 3을 나타내는 ‘tri-’라는 말과 contest(경기, 경쟁)를 나타내는 ‘athlon’이란 말이 합쳐져서 만들어졌다. ‘athlon’이 10을 나타내는 ‘deca’라는 말과 합쳐지면 10종 경기를 나타내는 ‘decathlon’이라는 말이 만들어 진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영어에서 하나의 뜻을 나타내는 라틴어에서 온 ‘mono-’라는 접두어는 monopoly(판매권을 독점하다, 독점 판매권), monologue(독백-혼자 하는 말)등의 단어를 합성해 내었고, 라틴어의 ‘bi-’는 two, 즉 둘을 나타내는 접두어(prefix)로 ‘bi-’가 만들어낸 영어의 단어는 쉽게는 bicycle (자전거)에서부터 시작해서 bisect(이등분하다), biannual(일년에 두번 씩, 반년 마다의), biathlon(스키의 장거리 레이스와 사격을 겸한 복합 경기)등이 있다. 주의 할 것은 bi-가 weekly와 결합되어 biweekly가 되면 일 주일에 두 번씩이 아니라 ‘두 주에 한 번 또는 격주로’의 의미를 갖게 되고, bimonthly도 ‘두 달에 한 번’이란 의미를 갖게 된다.

숫자에서 온 단어들 중 착각하기 쉬운 단어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score라는 단어다. 한국에서는 ‘경기에서 득점하다, 득점’ 등으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이 단어가 ‘a score of’로 결합되어 쓰이면 ‘20의, 20개의’라는 뜻으로 쓰이므로 유의해야 한다. 이렇게 숫자를 나타내는 라틴어와 그리스어는 영어에 아주 깊이 뿌리 박고 있으므로 숫자를 나타내는 어원을 중심으로 영어 어휘 공부를 한다면 잘 잊혀지지 않게 어휘의 정확한 사용법의 일부를 배우게 될 것이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363] 나는 누구인가(Ⅱ)

댓글 0 | 조회 2,322 | 2007.08.28
성현(聖賢)들이 참된 복이 무엇인지 알려 주어도 알아듣지 못하고 참된 복을 누리기 위해서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 지를 몸소 보여 주었는데도 그렇게 살지 못하는 나는… 더보기

[362] 나는 누구인가(Ⅰ)

댓글 0 | 조회 2,049 | 2007.08.14
태어나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언제나 어디서나 또 부모형제자매, 친인척, 주위의 모든 사람에게 잘 한 것이 하나도 없으면서 잘 살았다고 내 세웠던 나는 누구인가? 아… 더보기

[361] 길 떠나 온 사연

댓글 0 | 조회 1,402 | 2007.07.24
그 부모한테 태어난 사연도 지금 이곳에 오기 위함이었습니다. 오줌 싸고 동 쌌던 것도 할머니 무릎 베고 누워 ‘옛날 옛날에…’ 이야기 듣던 것도, 엄마 등에 업혀… 더보기

[360] 물 웅덩이

댓글 0 | 조회 1,645 | 2007.07.10
깊은 산골짜기에 맑은 물이 흐르고 있었습니다. 어느 해 여름 큰 비가 와서 한바탕 물난리가 계곡을 헤집고 간 뒤에 물길을 가로막고 있던 황소만한 바위가 거센 물살… 더보기

[359] 머무름

댓글 0 | 조회 1,325 | 2007.06.27
구름도 흐르고 바람도 흐르고 물도 흐른다. 별도 흐르고 태양도 흐르고 달도 흐르고 지구도 흐른다. 이 온 천지에 있는 만물만상이 나고 존재하여 사는 것도 존재하여… 더보기

[358] 가진 것에 매여 산다(Ⅲ)

댓글 0 | 조회 1,414 | 2007.06.13
사람은 태어나 살면서 보고 듣고 배우고 경험한 것을 내 안에 담아 두고(가지고) 산다. 그리고 담아 둔 그것 밖에 모른다. 담아 둔 만큼만 행하고 산다. 더도 덜… 더보기

[357] 가진 것에 매여 산다(Ⅱ)

댓글 0 | 조회 1,427 | 2007.05.23
사람은 무엇이든지 마음에 담아두고 산다. 오감(五感)으로 느낀 일체 -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코로 냄새 맡고, 혀로 맛보고, 피부로 느낀 촉감 - 를 마음에… 더보기

[356] 가진 것에 매여 산다(Ⅰ)

댓글 0 | 조회 1,427 | 2007.05.09
사람은 가짐의 마음을 가져 온갖 것을 가지고 산다. 그리고 그 가진 것에 매여 산다. 처음 창조되어 마음이 없었을 때에는‘나’ 를 가지지 않아 ‘나의 삶’ 이 없… 더보기

[355] 동양인이 보는 달, 서양인이 보는 달

댓글 0 | 조회 1,517 | 2007.04.24
동양인이 보는 달은 아름답고 신비로우며, 때로는 낭만적이다. 예로부터 수많은 시인들이 달을 노래하였다. 중국 당나라의 이태백은 술이 취하여 강물에 비친 달을 건지… 더보기

[354] 오만(傲慢)함, 그리고 어리석음(Ⅱ)

댓글 0 | 조회 1,578 | 2007.04.12
성현들이 전하는 하늘뜻을 그 당시에도 잘 몰랐고 오랜 세월이 흐른 현재도 잘 모르면서 예전에는 사람이 무지하여 그 뜻을 잘 몰랐지만 지금은 인지(人智)가 발달하여… 더보기

[353] 오만(傲慢)함, 그리고 어리석음(Ⅰ)

댓글 0 | 조회 1,509 | 2007.03.27
사람은 자기가 살아온 환경과 조건 속에서 보고, 듣고, 배우고, 경험한 것 밖에 모른다. 그 속에 갇혀 있으면서 갇혀 있음을 모른다. 또 자기가 보고, 듣고, 배… 더보기

[352] 무지(無知)와 무지(無智)-Ⅱ

댓글 0 | 조회 1,704 | 2007.03.12
인류가 지금까지 지식을 넓혀오는 과정을 보면 그 당시의 과학 수준에서는 다 밝혀졌다고 생각하였으나 과학이 더 발달한 후일에 보면 새로운 사실이 밝혀지거나 과거에 … 더보기

[351] 무지(無知)와 무지(無智)-Ⅰ

댓글 0 | 조회 1,430 | 2007.02.26
사람은 지식을 끊임없이 축적하면서 아는 범위를 계속 넓혀왔고 그 결과 무지(無知)를 점점 벗어나게 되었다. 사람이 근원적인 의문(‘나'라는 존재가 무엇인지, 어디… 더보기

[350] 담아놓고 누르고, 끄달리며 산다

댓글 0 | 조회 1,429 | 2007.02.13
젖먹이 아기는 담긴 마음이 없어 슬퍼도 슬픈 줄 모르고 그냥 방글방글 웃고 기뻐도 기쁜 줄 모르고 그냥 방글방글 웃는다. 어린이는 담긴 마음이 굳지 않아 엄마한테… 더보기

[349] 감사하는 마음

댓글 0 | 조회 1,707 | 2007.01.30
‘나' 라는 존재의 근원은 창조주이다. 창조주의 섭리로 났고 창조주의 섭리로 살고 있다. 내가 살면서 이루어진 일체(내가 이루었다고 생각하는 것조차)도 창조주의 … 더보기

[348] 새해 복(福) 많이 쌓으십시오

댓글 0 | 조회 1,503 | 2007.01.15
복은 누군가가 주는 것일까? 부유하여 아무런 부족함 없이 사는 사람이나 출세하여 명예를 가진 사람을 보고 세상에서는 복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그리고 어떻게 … 더보기

[347] 잘되고 못되는 것

댓글 0 | 조회 1,539 | 2006.12.22
옛날 중국 북방 변경(邊境)의 요새(要塞) 근처에 한 노인이 살고 있었는데 어느 날 노인의 암말이 오랑캐의 땅으로 달아났다. 마을 사람들이 위로하자 노인은 조금도… 더보기

[346] 흐르는 물

댓글 0 | 조회 1,485 | 2006.12.11
흐르는 물은 머물지 않는다. 흐르는 물은 시작도 끝도 생각하지 않는다. 흐르는 물은 빗방울 하나로 시작되었음 생각하지 않는다. 흐르는 물은 작은 도랑물이었음 생각… 더보기

[345] 큰 마음

댓글 0 | 조회 1,460 | 2006.11.27
큰 마음은 감사할 줄 아는 마음이다. 은혜로운 일이나 덕이 되고 이익이 되는 일에만 감사하는 것이 아니라 궂은 일이나 시련에 대해서 조차도 감사하는, 범사(凡事)… 더보기

[344] 참 행복(幸福)

댓글 0 | 조회 1,532 | 2006.11.13
얻고자 하는 것 얻었다고 행복해 지는 것은 아니다. 얻고 나면 얻고 싶은 것이 또 있어서 불만이고 얻고 나면 또 얻고 싶어지기 때문이다. 아무리 얻어도 다 얻을 … 더보기

[343] 미물(微物)들의 지혜

댓글 0 | 조회 1,548 | 2006.10.24
금년 초 동남아시아에서 지각변동으로 대 재앙이 일어났을 때의 일이다. 태국의 유명한 바닷가 관광지에서 관광객을 태우고 거닐던 코끼리가 갑자기 불안해서 어쩔 줄 모… 더보기

[342] 동양인이 보는 달, 서양인이 보는 달

댓글 0 | 조회 1,719 | 2006.10.09
동양인이 보는 달은 아름답고 신비로우며, 때로는 낭만적이다. 예로부터 수많은 시인들이 달을 노래하였다. 중국 당나라의 이태백은 술이 취하여 강물에 비친 달을 건지… 더보기

순리(順理)의 삶

댓글 0 | 조회 1,591 | 2006.09.11
순리의 삶은 조화(調和)의 삶이다. 원래 만상만물은 조화의 조건으로 났다(창조되었다). 이것이 있어 저것이 있고 저것이 있어 이것이 있다. 산이 있어 산새가 있고… 더보기

[339] 욕심(慾心)

댓글 0 | 조회 1,410 | 2006.08.22
신이 인간을 처음 창조했을 때에 인간은 욕심이 없었습니다. 배고프면 지천으로 열려있는 과일을 따먹고 배부르면 놀면서 쉬었습니다. 장래에 대비하여 먹을 것을 쌓아 … 더보기

[338] 참 행복(幸福)

댓글 0 | 조회 1,316 | 2006.08.22
<본지에서는 이번호부터 문홍순 마음수련회 이사의 「마음으로 읽는 이야기」를 연재한다. 필자는 교민 여러분들의 삶을 되돌아보고 내면적 성찰을 통하여 인간과 삶…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