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9] 복 류 천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59] 복 류 천

0 개 2,548 KoreaTimes
  미스 코리아 이양이 세계 미인 대회에 나가 상위권에 입상했다고 해서 이양의 비키니 수영복을 입은 사진이 아직까지도 인터넷을 달구고 있다. 그런데 나의 눈에는 이양의 호피무늬 수영복 위에 1980년 미스 코리아 선발 대회가 겹쳐 떠오른다.

  서울에서는 너무도 오랜만에 봄을 맞은 대학생들의 가두 시위가 절정을 이루고 있었고, 탱크와 총으로 무장한 계엄군들이 화려한 휴가를 즐기러 광주로 떠날 준비를 하고 있었을 1980년 5월 15일 그 날 저녁, 세종 문화 회관에서 열린 미스코리아 선발대회에서 사회를 보고 있던 차 아나운서가 “1980년도 미스코리아 진, 서울 1번 김X정!”하며 소리치자 김양은 참고 있던 감격의 눈물을 터뜨리며 축하를 받았다. “한국을 대표하는 미의 사절로서 어디에 가도 손색이 없게…” 김양의 울먹이는 답례 인사가 이어졌다. 그 날 박제된 미의 화려함은 5월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잔인하게 꽃망울을 터뜨렸지만, 자유, 민주의 바람은 얼어붙어 흐르지도 못했다.

                                                             복 류 천

                            흐르지 못하는 바람에 묶여/ 먹구름마저 떠오지 않고,/
                             태양은 아득히 높은 곳에서/ 타오르는 채찍을 내리쳐/
                                                 갈라진 대지를 후벼판다//


                     모래알로 풀 풀이 찢기 우는 대지만이/ 허공에 퍼덕이는 사막에서도/
                                                   흐르고자 하는 이 마음,/
                                                차라리 배신일지도 모른다//

                                가도 가도 제 자리에만 머무는/ 사막의 지평선//

                                        같이 걷던 발자국 소리도/ 들리지 않는/
                                         외로운 벼랑 끝에서도 흐르고자 할 때/
                                                     밀려오는 바람//

                                     죽음의 칼날을 목에 걸고/ 떠나온 자리부터/
                                    사막 밑 어둠 속으로/ 굽이쳐 흘러온 물굽이/
                                                       그대 자유여!//
  
                                                                                          (김 재석)

  그 자유의 물굽이가 솟구쳐 흐르는 데는 1980년 그 때 부터도 7년의 세월이 더 필요했다. 1987년 6월 서울에 있는 대한 성공회 본당에서, 명동 성당으로, KBS 부산 방송 본부까지 이어지며 사람들은 자유와 민주를 온몸으로 외쳤다. 그로부터 20년 세월이 흐른 지금  TV에서는 6월 민주항쟁 20주년 특집 방송이 연이어 지고 있다.

  1980년 광주 민주화 운동과 1987년 6월 항쟁의 선봉에 섰던, 이른바 386세대가 정권을 잡은지도 벌써 5년째 되어가고 있다. 그런데도 6월 항쟁 특집 방송을 보면서 가슴이 벅차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과연 우리의 반민주적인 적들은 섬멸 되었는가?  6월 항쟁의 희생자 중 한 명이었던 여성이 인터뷰 중 던진, “그 때는 적이 분명히 보였는데, 지금은 더 교묘해진 형태로 숨어 있는 것 같다.”라는 말이 귓가에 맴돈다.

  시인 김 수영이 '하…….. 그림자가 없다'에서 노래 했듯이 '우리들의 적은 늠름하지 않고, 커크 더글러스나 리차드 위드마크처럼 사나웁지도 않고, 조금도 사나운 악한의 모습을 하고 있지 않은'지도 모른다. '그들은 민주 주의자를 가장하고, 자기들이 양민이라고도 하고, 그들은 말하자면 우리들의 곁에 있고, 우리들의 전선은 눈에 보이지 않을'지도 모른다.

  어쩌면 민주와 자유의 적은 외부에 있는 것이 아니라 당신과 나의, 우리의 내부에 위선의 가면을 쓰고 슬그머니 들어와 교만의 또아리를 틀고 앉아 있는지도 모른다. ‘나는 옳은 데 사람들이 나의 정의로움을 몰라 준다. 우리의 개혁 정책은 분명히 올바른 데 저들이 개혁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라는 생각 마저도 정말로 정당하고 올바른 생각인지 항상 자신들의 마음 속에서 검증해 봐야한다.

  또한 새는 좌우의 날개, 즉 오른쪽과 왼쪽 두 개의 날개로 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We must not forget that reforms may deliver men from one set of evils, only to lead them into evils of another kind. (개혁은 사람들을 한 종류의 악으로부터 벗어나게는 해주지만, 사람들을 다른 종류의 악으로 끌고 갈 수도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한다.) The good statesman, like all sensible human beings, always learns more from his opponents than from supporters.(훌륭한 정치가는, 모든 현명한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언제나 자신의 지지자들보다는 적대자 들로부터 더 많은 것을 배우는 법이다.)

마음과 건강(Ⅱ)

댓글 0 | 조회 1,440 | 2008.11.11
마음을 이해하면 건강과 병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사람은 살면서 보고 듣고 배우고 경험한 것들을 모두 내 안에 담고 있다. 부모형제, 친인척은 물론, 학교 친구… 더보기

마음과 건강(Ⅰ)

댓글 0 | 조회 1,425 | 2008.10.30
캄캄한 밤에 인적이 끊어진 깊은 산 숲 속 길을 걸어가면 무서운 마음에 몸이 긴장되고 살갗에 소름이 돋으며 머리칼이 쭈삣 쭈삣 선다. 화가 많이 나면 숨이 가빠지… 더보기

길 떠나 온 사연

댓글 0 | 조회 1,580 | 2008.10.14
그 부모한테 태어난 사연도 지금 이 곳에 오기 위함이었습니다. 오줌 싸고 동 쌌던 것도 할머니 무릎 베고 누워 ‘옛날 옛날에…’ 이야기 듣던 것도, 엄마 등에 업… 더보기

닫힌마음, 열린마음(Ⅱ)

댓글 0 | 조회 1,933 | 2008.09.24
사람이 마음이 닫혀 있는 근본 원인은 온 세상과 온 삶을 찍어 놓은 마음세계를 지어놓고 그 마음세계 속에서 자기 중심적으로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사람이 가진 마… 더보기

닫힌마음, 열린마음(Ⅰ)

댓글 0 | 조회 1,722 | 2008.09.12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오감(五感)으로 인지(認知)한 것, 인식(認識)한 것(외부세계, 지식과 정보)을 하나도 빠짐없이 마음에 담아 놓고 있습니다. 눈으로 본 것,… 더보기

기복(祈福)

댓글 0 | 조회 1,937 | 2008.08.27
사람은 누구나 복을 받으려 하고 복을 줄 수 있다고 믿는 절대적인 존재에게 복을 빈다. 우리의 선조들도 자식 잘되게 해 달라고 빌기도 하고 살면서 시련에 부딪치면… 더보기

[383] 김유신의 말

댓글 0 | 조회 2,043 | 2008.06.25
김유신이 젊었을 때 천관(天官)이란 여인의 집에 자주 드나들자 어머니 만명(萬明)부인이 왕과 부모에게 기쁨을 주기를 기대했는데 술과 여자를 즐기느냐며 울며 타이르… 더보기

[382] 기복(祈福)

댓글 0 | 조회 1,739 | 2008.06.10
사람은 누구나 복을 받으려 하고 복을 줄 수 있다고 믿는 절대적인 존재에게 복을 빈다. 우리의 선조들도 자식 잘되게 해 달라고 빌기도 하고 살면서 시련에 부딪치면… 더보기

[381] 고해(苦海)

댓글 0 | 조회 1,619 | 2008.05.28
사람의 삶에는 참 행복이 없다. 그것은 사람이 불완전하기 때문에 항상 부족함을 느끼며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만일 사람이 완전한 존재라면 일체의 부족함 없는 충… 더보기

[380] 고집(固執) - II

댓글 0 | 조회 1,685 | 2008.05.13
대원군은 자기의 고집 때문에 외부세계에 문을 굳게 닫아걸고 쇄국정책을 펴다가 앞선 서양문물을 받아들여 나라의 힘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놓침으로써 일본의 식민지배… 더보기

[379] 고집(固執) - I

댓글 0 | 조회 1,725 | 2008.04.23
'고집이 세다'는 말은 자기 생각이나 주장을 굽히지 않고 남의 말을 듣지 않는 것을 말한다. '틀이 세다'는 말도 같은 말이다. 남의 말을 잘 듣지 않는 사람은 … 더보기

[378] 계산하고 산다, 저울질하고 산다

댓글 0 | 조회 1,825 | 2008.04.08
어린 시절 어머니가 먹을 것을 주면 형과 아우는 어느 것이 더 많은가, 어느 것이 더 맛있을까를 저울질하면서 서로 다툰다. 어머니나 아버지가 심부름을 시키려 하거… 더보기

[377] 떠남

댓글 0 | 조회 1,661 | 2008.03.26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 어린 시절 고향을 떠나 객지생활 50년이 넘었으나 아련한 고향생각에 잠 못 이룬다. 고향 사람이라도 만나면 속없이 반갑고 고향을 주제로 한… 더보기

[376] 두 그루 참나무 이야기

댓글 0 | 조회 1,970 | 2008.03.11
어느 집 뒤 야트막한 야산에 참나무 두 그루가 있었다. 한 그루는 양지바르고 기름진 땅에서 곧고 튼튼하게 자랐다. 아침에 산책 나온 집 주인이 나무등걸을 쓰다듬으… 더보기

[374] 마음과 건강(Ⅲ)

댓글 0 | 조회 1,551 | 2008.02.12
조상의 삶과 마음도 자손의 건강에 영향을 준다. 몸은 마음을 담는 그릇이다. 삶과 마음은 세포 하나하나에 100% 저장된다. 동물의 체세포 하나만 있으면 똑 같은… 더보기

[373] 마음과 건강(Ⅱ)

댓글 0 | 조회 1,635 | 2008.01.30
마음을 이해하면 건강과 병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사람은 살면서 보고 듣고 배우고 경험한 것들을 모두 내 안에 담고 있다. 부모형제, 친인척은 물론, 학교 친구… 더보기

[372] 마음과 건강(Ⅰ)

댓글 0 | 조회 1,619 | 2008.01.15
캄캄한 밤에 인적이 끊어진 깊은 산 숲 속 길을 걸어가면 무서운 마음에 몸이 긴장되고 살갗에 소름이 돋으며 머리칼이 쭈삣 쭈삣 선다. 화가 많이 나면 숨이 가빠지… 더보기

[371] 불나방(Ⅱ)

댓글 0 | 조회 1,541 | 2007.12.20
불나방이 동심원을 그리면서 불꽃으로 다가 가는 것을 보던 매미가 '그러다가 불에 타 죽는다' 고 경고해 주어도 불나방에게는 그 말이 들리지 않는다. 불나방은 좋아… 더보기

[370] 불나방(Ⅰ)

댓글 0 | 조회 1,558 | 2007.12.11
불나방은 불을 보면 날아가서 동심원을 그리며 불꽃 주위를 맴돌기 시작한다. 처음에는 크게 원을 그리며 돌지만 차츰차츰 작은 원을 그리며 돌면서 점점 불꽃으로 다가… 더보기

[369] 뜻밖의 결과(Ⅱ) - 영감(靈感)

댓글 0 | 조회 1,534 | 2007.11.28
만유인력. 뉴턴은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모든 물체가 서로 끌어 당기는 힘(引力)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알키메데스의 원리. 알키메데스는 목욕하기 위해 … 더보기

[368] 뜻밖의 결과(Ⅰ) - 실수(失手)

댓글 0 | 조회 1,559 | 2007.11.13
비아그라. 최근 발기부전(勃起不全) 치료제로 각광받고 있는 약이다. 원래는 심장질환을 치료하려고 개발되었지만 개발 의도와는 전혀 관계없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아… 더보기

[367] 모두가 내 탓(Ⅱ)

댓글 0 | 조회 1,518 | 2007.10.24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는 속담이 있다. 삶을 살면서 생긴 마음은 모두 저장이 되었다가 그 마음이 일어날 조건이 갖추어지면 다시 일어난다. 자라… 더보기

[366] 모두가 내 탓(Ⅰ)

댓글 0 | 조회 1,501 | 2007.10.09
일체는 내가 있어서 내 탓이다. 내가 말하고 행하여서 내 탓이다. 잘 한 것도 내 탓이고 잘못 한 것도 내 탓이다. 탓하는 그것이 내 안에 있어서 내 탓이다. 누… 더보기

[365] 남 탓하며 산다(Ⅱ)

댓글 0 | 조회 1,597 | 2007.09.26
시련을 겪으면 하늘을 원망하기도 합니다. “하늘도 무심하시지. 착하고 성실한 저에게 왜 이런 시련을 주십니까?” 뿌린 대로 거두는 것이 하늘의 이치입니다. 살면서… 더보기

[364] 남 탓하며 산다(Ⅰ)

댓글 0 | 조회 1,406 | 2007.09.11
여우가 길을 가다가 어느 집 담장 밖으로 넘어온 포도 넝쿨에 포도 송이가 탐스럽게 열려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여우는 입맛을 다시며 포도를 따먹으려고 힘껏 뛰어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