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 밤 줏으러 갔다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왕 밤 줏으러 갔다네

0 개 3,448 코리아포스트
무엇을 그리도 두려워해서일까? 그 누구도 침범 못하게 단란한 가시로 무장을 하고 의좋게 달라붙어 꼭꼭 숨은 삼형제일까 삼자매일까? 윤끼 자르르한 갈색으로 매끈하지만 딱딱한 껍질 속에 또 한겹 떫은 속옷으로 몸을 감싼 모습이야말로 굳건히 순결을 지키려는 옛 처녀들의 수줍음이 묻어나 그들은 형제가 아니라 자매임이 틀림없을것만 같다. 알을 깨고 방금 나온 햇병아리들처럼 세상 구경에 나선 알밤 삼자매 자매들.... 그들을 만나러 떠나 보련다.

부지런하고 수고하지 않으면 함부로 먹을 수 없는 햇밤.

도둑고양이 매 맞듯이 옛이나 지금이나 늦잠복 하나는 타고난 탓으로 모처럼의 이른 기상이 걱정이었다. 새벽밥을 짓는 "정옥"씨의 다섯시 반 기상 시간에 나도 깨워 달라고 부탁을 하는 수 밖에....

안심하고 잠자리에 들었는데 영 잠이 오지 않는다. 소풍가기 전날 들떴던 어린애 마음으로 돌아간걸까?(늙으면 애 된다더니-) 깊은잠이 들지 않았던 탓일께다. 신호가 오기도전에 또 잠이 깨었다. 불을 켜고 시계를 보니 네시 반, 이제 다시 잠들면 어렵다는 걸 아니 아예 일어나 버리는데 문득 어젯밤 꿈이 생각났다. 나쁘게 생각하고 싶지 않은 꿈이었으니 주먹만한 왕밤이나 하나 줏으려나? 그러나 혼자 피식 웃음이 나온다. 그런 행운을 얻어 본적이 별로 없기 때문이다.

밖이 어렴풋이 밝아오자 미리 열어 놓은 현관문 밖에 무거운 발자욱소리, 보나마나 가시박힌 밤을 무자비하게 까뭉기려고 두툼한 등산화를 신고 나타났음을 짐작으로 알만한 동행할 친구였다.

"그런데 틀렸네요 비가 오네요" 그의 첫마디 말이었다.(웬 김빠지는 소리?) 밖을 내다보니 착 갈아 앉은 하늘에서 촉촉하게 봄비같은 실비가 내리고 있었다. 어깨에 힘이 빠지고 준비하는 마음이 시들해졌다. 작년에도 시티까지 나갔다가 헛걸음을 하고 되돌아와야만 했던 씁쓸한 기억이 있질 않은가. 비 때문에.... 이른 시간 직장에 나가는 "정옥"씨 자제분 차에 픽업을 약속한 터라 우선 친구의 집까지 뽀얀 빗속을 달리는데 오늘 틀렸다고 계속 군시렁대는 친구를 어찌해야 할지 자신이 없다.(비가 이 지경으로 계속 내릴것만 같은데, 혹시나 개어 줄 것인지? 가는데까지 가보자)

그러나 정옥씨 내외와 만난 우리 네 사람은 케쎄라쎄라를 부르면서 편안한 배짱으로 8시에 약속장소인 "스카이 시티"에 도착했다. 한 시간이나 이른 시간이어서 까페에 들어가 모닝커피 한잔씩을 즐기는 여유까지 한껏 맛을 냈으니 이만하면 밤 농장에 못 가도 그리 억울한 날은 아니잖은가. 그러나 다행스럽게도 비가 멈추어 주었다. 구름이 걷히고 하늘이 조금씩 파아랗게 열려 왔다.

언제 비 걱정을 했느냐는 듯 모여드는 얼굴, 얼굴들이 한결같이 화사하고 들떠 있었다. 버스가 꽉차는 동안 오랜만 에 만나는 얼굴들과 만나면서 반가운 분위기로 차안이 화끈하게 달아 올랐다.

노오랗게 물들어 가는 나무들과 깃털처럼 나부끼는 갈대들의 군무를 차창으로 내다보면서 여물어가는 뉴질랜드의 가을을 여과없이 받아 드린다. 감을 익히고 알밤을 떨구는 그런 골 깊은 가을을....

예정된 도착시간 훨씬 전에 목적지에 이르렀다. "재뉴 한국 여성회 왕밤 컨테스트" 우리말 플랜카드가 반갑게 맞아 주었다. 먼저 와 계신 참전 용사 가족들과 인원이 넘쳐서 작은 차까지 동원되어 모셔진 분들로 벌써 와 있어 잔치집처럼 사람들로 넘쳐 나는 밤 밭 너른 마당. 큼직한 차일 밑에 봉사자들 일손들이 바쁘다.

현지 "와이카토" 한인 회장과 그곳 유지분들이 함께 오늘의 수고를 맡으셨나 보다. 푸른 들판에 고운 빛깔 한복이 돋보이는 "한국학교" 교장인 "고정미" 선생님의 사회로 대회는 시작되었고 성질 급한 몇몇 분들은 벌써 밤나무 밑에 흩어져 밤 줍기가 바쁘다. 자연이 내리신 선물. 알차게 여문 밤들이 지천으로 깔려 있다. 꿈자리도 좋았으니 어디 왕밤이나 찾아나서 볼까?

이역의 땅. 외진 시골 농장. 나무들 사이로 흩어져 들려 오는 사물놀이의 징. 장구소리에 가슴을 울렁이며 밤을 줏어 담는다.(왕밤 나와라 오바) 외우는 주문을 들었을까? 와 얼마나 살이 쪘는지 껍질을 터뜨리고 살집을 드러낸 제법 큰 밤을 찾아냈다. 자신있게 본부석에 접수를 해 보았지만 일. 이등은 놓치고 "앗차"하고 떨어져서 앗차 상인가. 그래도 꿈 값은 되는 모양이다.

오늘 점심은 유난히 맛이 있었다. 많이 주었다고 투정을 하던 분들도 말끔히 그릇을 비웠다. 봉사하시는 분들의 성의가 값진 양념으로 더해진 까닭을 모를리 없어 고맙고 보람된 하루였다. 들바람에 치마자락 흣날리며 부채춤을 추는 여학생들, 따가운 햇살아래 정겹고 아름다운 이색적인 한폭의 풍경화였다. 느린 걸음걸이 구부정한 몸매, 얼굴 곱게 화장을 하고 여인이기를 고집했어도 어쩔 수 없는 우리. 그러기에 오늘같이 대우받는 날도 있는 모양이다.

수고해주신 모든 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재뉴 한국 여성회의 발전을 빌면서-----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성현들이 출현한 우주의 한 때

댓글 0 | 조회 2,154 | 2009.10.13
우주에는 때가 있다. 물질이 창조된 때가 있었고, 인간이 출현하여 미신과 신화를 만들어 신을 받들던 때가 있었고, 성현이 출현하여 세상과 인간이 완성되는 때를 예… 더보기

성현(聖賢)들이 보여 준 삶

댓글 0 | 조회 2,042 | 2009.09.23
예수님은 가족들이 있는 안락한 집을 떠나 황량하고 메마르며 찌는 듯이 무더운 사막에서 굶주림과 목마름을 견디며 49일간 단식 기도를 하였다. 석가모니도 온갖 부귀… 더보기

사람이 무지(無知)하고 무지(無智)한 이유

댓글 0 | 조회 1,958 | 2009.09.09
사람은 태어나서 보고 듣고 배우고 경험한 것 밖에 모른다. 자기가 해외 여행하여 가본 미국은 알지만 가보지 못한 아프리카 우간다는 모른다. 영어는 학교에서 배워서… 더보기

사람의 크기, 마음의 크기(Ⅱ)

댓글 0 | 조회 1,900 | 2009.08.25
사람이 완전하다면 부족함이 없이 충만해 있을 터인데 사람은 불완전하기 때문에 항상 부족함 속에 있고 만족을 모른다. 항상 허기(虛氣)져 있다. 그래서 사람은 끊임… 더보기

사람의 크기, 마음의 크기(Ⅰ)

댓글 0 | 조회 1,851 | 2009.08.12
사람은 마음과 몸으로 되어 있다. 마음을 일으키면 그것을 몸이 실행한다. 물을 마시고 싶은 마음이 일어나면 손(몸)으로 컵을 찾아 쥐고 물을 따라 마신다. 물을 … 더보기

경전(經典)이 어려운 이유

댓글 0 | 조회 1,814 | 2009.07.28
사람이 보기에 경전은 어렵다. 왜 어려울까?경전에서 말하는 것은 진리이다. 그런데 사람 마음에는 진리가 없다. 진리가 없으니 진리를 보고 들을 수가 없다. 내 마… 더보기

성현(聖賢)들의 말씀대로 살지 못하는 이유

댓글 0 | 조회 2,381 | 2009.07.15
사람은 태어나서 살면서 경험한 것, 인지한 것 일체를 사진 찍어 마음에 담고 산다. 고향도, 초. 중. 고. 대학 시절, 군대시절, 직장에서의 사연과 배경(장소)… 더보기

눈을 가리고 귀를 막는 것들

댓글 0 | 조회 2,198 | 2009.06.24
옳다고 믿는 것들 – 지식, 정보, 신념. 천동설(天動說)을 받아들이고 있으면 천동설에 매여서 코페르니쿠스가 천동설의 오류를 지적하고 지동설(地動說)이 옳다고 과… 더보기

욕심(慾心)

댓글 0 | 조회 2,047 | 2009.06.09
신이 인간을 처음 창조했을 때에 인간은 욕심이 없었습니다. 배고프면 지천으로 열려 있는 과일을 따먹고 배부르면 놀면서 쉬었습니다. 장래를 대비하여 먹을 것을 쌓아… 더보기

순리(順理)의 삶

댓글 0 | 조회 2,322 | 2009.05.27
순리의 삶은 조화(調和)의 삶이다. 원래 만상만물은 조화의 조건으로 났다(창조되었다). 이것이 있어 저것이 있고 저것이 있어 이것이 있다. 산이 있어 산새가 있고… 더보기

불나방

댓글 0 | 조회 2,282 | 2009.05.13
불나방 마을에서 마을 지도자를 뽑기로 하였는데 세 명의 불나방이 후보로 나섰다. 첫 번째 후보는 주택정책을 들고 나왔다. '우리 불나방은 약하기 때문에 다른 곤충… 더보기

유혹(誘惑)

댓글 0 | 조회 2,085 | 2009.04.28
꿀단지가 넘어져 꿀물이 쏟아졌습니다. 꿀 냄새를 맡은 파리가 날아와서 엎질러진 꿀물 위에 앉아 정신 없이 꿀을 핥아 먹기 시작했습니다. 배가 터지게 꿀물을 먹은 … 더보기

산 속의 토끼처럼

댓글 0 | 조회 1,845 | 2009.04.15
토끼가 달려가다가 바위를 만나면 그냥 바위를 피하여 가고자 하는 곳으로 달려간다. '바위가 왜 저기 있을까, 저 바위는 크기가 얼마나 될까, 현무암일까 화강암일까… 더보기

그냥 있고 그냥 산다(Ⅱ)

댓글 0 | 조회 2,097 | 2009.03.25
물이 수증기가 되어 하늘에 올라 구름이 되었다가 빗방울이 되어 땅에 떨어진다. 땅에 떨어진 빗방울이 모여 개울이 되고 개울이 큰 강물 되어 바다를 이룬다. 대지(… 더보기

그냥 있고 그냥 산다(Ⅰ)

댓글 0 | 조회 2,169 | 2009.03.11
세상은 창조주에 의하여 창조된 창조주의 세상이다. 따라서 우주에 존재하는 만상만물 일체는 창조주에 의하여 나누어 졌으며 창조주의 뜻에 의하여(뜻에 맞게) 있고, … 더보기

고양이는 '야옹야옹' 생쥐는 '찍찍'

댓글 0 | 조회 1,996 | 2009.02.24
아름다운 숲 속에 고양이와 생쥐가 평화롭게 살고 있었다. 어느 화창한 봄날 꾀꼬리가 날아와 우는 것을 보고 고양이와 생쥐는 호랑이 임금님한테 달려갔다. “임금님,… 더보기

알지만 그렇게 살지 못하는 이유

댓글 0 | 조회 2,096 | 2009.02.10
일상 생활에서 용변(用便)을 본 경우는 특별히 기억에 남지 않는다. 그러나 회사에서 일이 끝난 후 집에 돌아오다가 도저히 참을 수 없어 이웃집 담에 실례를 한 경… 더보기

아는 것과 되는 것

댓글 0 | 조회 1,703 | 2009.01.28
몸이 약한 두 사람이 있었다. 몸이 쇠약하여 하루하루 생활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느끼게 되자 건강을 위해 무언가 해야겠다고 마음먹었다. 한 사람은 건강해지기 위해서… 더보기

바람처럼 물처럼

댓글 0 | 조회 1,844 | 2009.01.14
공기도 물도 넘치는 곳에서 모자라는 곳으로 흐른다. 공기가 많은 곳은 기압이 높고(高氣壓) 공기가 모자라는 곳은 기압이 낮다(低氣壓). 공기는 고기압에서 저기압으… 더보기

새해에 크게 복된 삶 사십시오

댓글 0 | 조회 1,725 | 2008.12.23
복은 누가 주는 것도 아니고 누구로부터 받는 것도 아닙니다. 복은 내가 짓는 것입니다. 복은 복을 담을 그릇의 크기만큼 담을 수 있습니다. 작은 그릇은 작은 복 … 더보기

마음과 건강(Ⅳ)

댓글 0 | 조회 1,647 | 2008.12.09
동네 골목길에서 산책을 하다가 목줄이 풀려 갑자기 뛰쳐나온 사나운 개에게 물렸을 때 개한테 물린 상처를 치료하고 광견병 예방처치를 받으면 치료가 끝나지만 그 후에… 더보기

마음과 건강(Ⅲ)

댓글 0 | 조회 1,805 | 2008.11.26
조상의 삶과 마음도 자손의 건강에 영향을 준다. 몸은 마음을 담는 그릇이다. 삶과 마음은 세포 하나하나에 100% 저장된다. 동물의 체세포 하나만 있으면 똑 같은… 더보기

마음과 건강(Ⅱ)

댓글 0 | 조회 1,435 | 2008.11.11
마음을 이해하면 건강과 병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사람은 살면서 보고 듣고 배우고 경험한 것들을 모두 내 안에 담고 있다. 부모형제, 친인척은 물론, 학교 친구… 더보기

마음과 건강(Ⅰ)

댓글 0 | 조회 1,421 | 2008.10.30
캄캄한 밤에 인적이 끊어진 깊은 산 숲 속 길을 걸어가면 무서운 마음에 몸이 긴장되고 살갗에 소름이 돋으며 머리칼이 쭈삣 쭈삣 선다. 화가 많이 나면 숨이 가빠지… 더보기

길 떠나 온 사연

댓글 0 | 조회 1,576 | 2008.10.14
그 부모한테 태어난 사연도 지금 이 곳에 오기 위함이었습니다. 오줌 싸고 동 쌌던 것도 할머니 무릎 베고 누워 ‘옛날 옛날에…’ 이야기 듣던 것도, 엄마 등에 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