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1] 예술처럼 늙고 싶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71] 예술처럼 늙고 싶다

0 개 2,908 KoreaTimes
  "이제 늙고 볼품없어 제대로 보아주는 사람도 없는데 옷인들 신경 써서 입으면 뭘하나 츄리닝이나 걸치고 헐렁하게 살아야지"

  그 누구보다 자기 관리에 충실해서 한결같이 조촐하고 깔끔하게 멋쟁이던 친구의 자조에 깜짝 놀랜다. (그도 드디어 무너지기 시작하는건가?) 긍정할 수 밖에 없는 조용한 공감대에 헛 웃음이 묻어 나온다. 허지만 그러면 안 된다고 강한 부정으로 반론을 제기하며 그게 바로 나 자신을 타이르는 말임을 깨닫는다. 조금만 방심하면 게을러져서 옷 갈아 입는 것 조차 번거롭고 꾀가 나는게 사실이기 때문이다. 여자라고 화장을 하는 것도 겉치레를 정성으로 하는것도 결국은 나 자신의 만족이 우선이지 남을 의식하는 것은 차선의 문제가 아닌가. 그렇지만 남에게 혐오감을 주어서는 안 되는 것도 세상 살아가는 예의임이 틀림없기에 나이 먹을수록 더욱 깔끔하게 살아야 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한 그루의 싱싱하던 나무가 푸른잎. 아름다운 꼿 다 떨구고 앙상하게 헐 벗은 겨울 나무가 되어 빈 벌판에 쓸쓸히 서 있는 게 황혼인생의 우리와 닮은꼴이다. 물끼 없이 버석한 얼굴에 그 어떤 의상인들 어울 일이 없지만 사람이라는 이름으로 이 세상을 살아가는 이상. 그 본분은 끝날 때까지 지키며 살아야 하는 것 또한 기정의 사실이다.

  버스로 두 정거장쯤. 걸어서도 다닐 수 있는 거리에 친정집이 있었다. 그리 가까워도 딸이 자주 못 가게 되니 어머니가 오시는 편이었다. 먼 길 나드리 오시듯 언제나 깔끔한 차림에 핸드백까지 챙겨들고 나타나시는 어머니를 맞을 때마다 너무도 곱고 단정해서 가슴이 뿌듯했고 이웃들 보기에도 늘 자랑스러웠다. "요즈음 젊은이들은 모양도 많이 내더라. 너는 얼굴에 화장도 안하고 왜 그리 게을리 사니?" 노인이 그런 말씀으로 되는 대로 사는 딸을 일깨우곤 하셨다. (지금은 이대로가 아름다운 것 이구요 이 다음에 나이 먹으면 나도 어머니처럼 곱게 살아 보렵니다.) 혼자서 마음속으로 다짐했었다. 그러나 세월 이기는 장사 없다던가. 어느 날 불쑥 나타나신 어머니를 보면서 큰 충격을 받았다. 집에서 입던 채로 였기에... "엄마 옷 뒀다가 뭐 하려고 그렇게 다니셔요?" 나도 모르게 왈칵 역정이 났었다. "얘 이제 옷 갈아 입는 것도 귀찮더라. 잠깐 오는 길인데 뭐 어떠니..." 무안을 당한 아이처럼 변명하시며 당황해 하던 어머니 표정이 잊혀지지가 않는다. 그 때의 그 짜증은 무엇이었을까? 지금 생각해 보니 한 번도 어머니가 그토록 늙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던 내 어리석음이었다. 늘 그 자리에 그렇게 살아가시는 변하지 않는 분으로만 착각했는데 어머니가 그 때 많이 늙어 계심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그리도 정갈하고 당당하던 어머니의 자랑거리를 잃은 이웃들에 대한 내 알량한 자존심도 포함했으리라. 바로 그 자리에서 지금 생각해보니 잘 늙는다는 일도 참 어렵다는 걸 새삼스럽게 깨닫는다.

  고학력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만만치 않게 늘어나던 십여 년 전. 그와 동시에 가사 노동과 육아문제가 큰 잇슈로 심각했었다. 그 뒷받침을 친정어머니가 맡아 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힘들게 교육시킨 딸의 재능을 묻어 두기 아까워 그 일을 자청했을 어머니들이다. 그러나 집에서의 옷차림으로 딸의 하녀처럼 아기를 업고 시장을 따라다니는 그림은 아무래도 좋아 보이지가 않았다. 그 반대로 아기를 업은 젊은이와 깔끔한 어른과 함께 타면 교육을 제대로 한 어머니와 예의를 아는 사람 같아 미덥고 사랑스러웠다. 젊은이란 꾸미지 않아도 아름다움이 돋보이는 싱싱한 때가 아닌가. 나이 먹은 사람은 조금만 신경 쓰지 않으면 금방 추하게 변하게 마련이다. (늙어서 아름다움은 예술이다)라고 말하는 이유가 그래서 일 것이다.

  이제 이 해도 마지막 달 십이월이다. 또 한해가 가고 세월의 흐름은 빠르기만 하다. 자신을 돌아보는데 자꾸만 게을러지는 게 어쩔 수 없는 나이테 때문인가 보다 맑고 투명한 영혼으로 거듭나고파 책을 읽으며 마음과 머리를 다스리는 일에도. 그리고 옛날 같은 뽐새도 없으니 겉치레에도 재미가 없다. 츄리닝이나 걸치고 편하게 살자는 친구의 말이 웬지 달콤한 유혹으로 끌어당기지만 의식이 건전할 때까지 그럴 수는 없다고 부정하며 자신과의 싸움에서 결코 지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간절하다.

  새해를 맞으면서 우리도 젊은이들처럼 다시금 가슴 활짝 펴고 희망의 나래를 펴 보면 누가 뭐랠까? 강렬한 태양 빛은 그 누구라도 공유할 수 있는 자연의 선물임을 명심해야지.

  나는 오늘 옷 맵씨를 보며 옛날의 어머니 흉내를 내면서 딸의 집을 향한다.

솔직하고 용기 있는 사람들

댓글 0 | 조회 2,722 | 2010.06.22
꽤 오래 전 어느 스님이 돌아가시면서 “일생 동안 선남선녀의 무리를 속여서 하늘에 넘치는 죄업은 수미산을 지나친다”는 말을 남기셨습니다. 그 분은 근년에 드물게 … 더보기

시련과 축복

댓글 0 | 조회 2,584 | 2010.06.10
러시아의 문호 푸시긴은 ‘세상이 나를 속일지라도 슬퍼하지 않으리’ 하고 노래하였다. 세상이 나를 속이는 것일까? 사람은 세상을 살면서 한 순간도 놓치지 않고 오감… 더보기

시련과 축복

댓글 0 | 조회 2,673 | 2010.05.26
세상을 살다 보면 하는 일이 순조롭게 잘 이루어질 때도 있고 일이 꼬이면서 뜻한 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도 있다. 일이 뜻대로 잘 풀리면 복 받았다 하고 행복해 … 더보기

늑대소년 이야기

댓글 0 | 조회 4,115 | 2010.05.12
인도에서 실제로 있었던 이야기이다. 무슨 연유에서인지 태어나자마자 밀림에 버려져 늑대 젖을 먹고 자라서 늑대와 함께 살다가 11년 만에 구조된 소년이 있었다. 말… 더보기

금강산에 가봐야 금강산을 안다

댓글 0 | 조회 2,543 | 2010.04.28
한아름이와 공 모름이는 친구 사이인데 한 아름이는 평소 책 읽기를 좋아해서 다방면에 걸쳐 아는 것이 많았으나 공 모름이는 놀기를 좋아해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것이 … 더보기

하루살이와 매미와 나비

댓글 0 | 조회 5,044 | 2010.03.23
"세상에는 낮 밖에 없어.”하고 하루살이가 말하자 나무 위에서 노래하고 있던 매미가 말했다. “아니야, 세상에는 일곱 낮과 일곱 밤이 있어. 그리고 무더운 여름이… 더보기

큰 삶

댓글 0 | 조회 2,377 | 2010.03.09
자기와 가족만을 위한 삶은 세상 사람 누구나 사는 삶입니다. 그러나 이웃을 위해 사는 삶은 큰 삶입니다. 날씨가 흐려도, 마음이 슬퍼도, 언제나 이웃에게 따뜻한 … 더보기

어리석음

댓글 0 | 조회 2,036 | 2010.02.24
자기 속에 갇혀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하고 그것 밖에 모른다. 자기 삶에서 보고 듣고 경험한 것만 안다. 그것이 다인 줄 알고 그것만이 옳다 하고 그것을 내세우고 그… 더보기

마음과 골프

댓글 0 | 조회 2,204 | 2010.02.09
골프를 잘 칠 수 있는 비결몸은 마음먹은 것을 실현해주는 마음의 도구입니다. 물 한 잔 마셔야지 하고 마음먹으면 몸(팔과 손)을 움직여 주전자 물을 물잔에 부어 … 더보기

아프리카 초원의 사자

댓글 0 | 조회 2,521 | 2010.01.26
아프리카 초원에 사는 사자는 햇볕 속에서 맑은 물 마시고 맑은 공기 숨쉬며 산다. 배고프면 먹고 배부르면 쉰다. 자연 속에서 자연의 일부로 산다. 자연의 섭리대로… 더보기

흐르는 물

댓글 0 | 조회 2,172 | 2010.01.13
흐르는 물은 머물지 않는다. 흐르는 물은 시작도 끝도 생각하지 않는다. 흐르는 물은 빗방울 하나로 시작되었음 생각하지 않는다. 흐르는 물은 작은 도랑물이었음 생각… 더보기

모두 다 잘 사는데

댓글 0 | 조회 2,405 | 2009.12.09
자갈밭에 떨어진 씨앗은 그 곳이 메마르고 척박하여 줄기가 가늘고 잎도 작고 비틀어져 있으나 기름진 옥토에 떨어진 씨앗은 수분과 영양분이 풍부하여 줄기가 굵고 잎도… 더보기

닐 암스트롱

댓글 0 | 조회 2,654 | 2009.11.24
최초로 달에 인간의 발자국을 남긴 미국의 우주인 닐 암스트롱은 회고록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 적이 있다. '우주 공간에서 보니 지구는 푸른 색을 띤 아름다운 별이었… 더보기

장님 코끼리 만지기

댓글 0 | 조회 4,658 | 2009.11.11
장님들이 제각기 코끼리 몸의 한 부분만을 만져 보고는 자기가 만진 부분이 코끼리라고 우기는 이야기가 있다. 꼬리를 만져 본 장님은 코끼리가 '밧줄과 같다'고 하고… 더보기

하늘 뜻, 제 뜻

댓글 0 | 조회 2,687 | 2009.10.27
하늘이 만물만상을 내었다(창조하였다). 만상만물은 하늘 뜻(섭리, 순리)으로 나고 하늘 뜻으로 존재하고 하늘 뜻으로 소멸한다. 일체가 하늘의 뜻이다. 우주에 무수… 더보기

성현들이 출현한 우주의 한 때

댓글 0 | 조회 2,160 | 2009.10.13
우주에는 때가 있다. 물질이 창조된 때가 있었고, 인간이 출현하여 미신과 신화를 만들어 신을 받들던 때가 있었고, 성현이 출현하여 세상과 인간이 완성되는 때를 예… 더보기

성현(聖賢)들이 보여 준 삶

댓글 0 | 조회 2,049 | 2009.09.23
예수님은 가족들이 있는 안락한 집을 떠나 황량하고 메마르며 찌는 듯이 무더운 사막에서 굶주림과 목마름을 견디며 49일간 단식 기도를 하였다. 석가모니도 온갖 부귀… 더보기

사람이 무지(無知)하고 무지(無智)한 이유

댓글 0 | 조회 1,966 | 2009.09.09
사람은 태어나서 보고 듣고 배우고 경험한 것 밖에 모른다. 자기가 해외 여행하여 가본 미국은 알지만 가보지 못한 아프리카 우간다는 모른다. 영어는 학교에서 배워서… 더보기

사람의 크기, 마음의 크기(Ⅱ)

댓글 0 | 조회 1,907 | 2009.08.25
사람이 완전하다면 부족함이 없이 충만해 있을 터인데 사람은 불완전하기 때문에 항상 부족함 속에 있고 만족을 모른다. 항상 허기(虛氣)져 있다. 그래서 사람은 끊임… 더보기

사람의 크기, 마음의 크기(Ⅰ)

댓글 0 | 조회 1,862 | 2009.08.12
사람은 마음과 몸으로 되어 있다. 마음을 일으키면 그것을 몸이 실행한다. 물을 마시고 싶은 마음이 일어나면 손(몸)으로 컵을 찾아 쥐고 물을 따라 마신다. 물을 … 더보기

경전(經典)이 어려운 이유

댓글 0 | 조회 1,821 | 2009.07.28
사람이 보기에 경전은 어렵다. 왜 어려울까?경전에서 말하는 것은 진리이다. 그런데 사람 마음에는 진리가 없다. 진리가 없으니 진리를 보고 들을 수가 없다. 내 마… 더보기

성현(聖賢)들의 말씀대로 살지 못하는 이유

댓글 0 | 조회 2,385 | 2009.07.15
사람은 태어나서 살면서 경험한 것, 인지한 것 일체를 사진 찍어 마음에 담고 산다. 고향도, 초. 중. 고. 대학 시절, 군대시절, 직장에서의 사연과 배경(장소)… 더보기

눈을 가리고 귀를 막는 것들

댓글 0 | 조회 2,207 | 2009.06.24
옳다고 믿는 것들 – 지식, 정보, 신념. 천동설(天動說)을 받아들이고 있으면 천동설에 매여서 코페르니쿠스가 천동설의 오류를 지적하고 지동설(地動說)이 옳다고 과… 더보기

욕심(慾心)

댓글 0 | 조회 2,057 | 2009.06.09
신이 인간을 처음 창조했을 때에 인간은 욕심이 없었습니다. 배고프면 지천으로 열려 있는 과일을 따먹고 배부르면 놀면서 쉬었습니다. 장래를 대비하여 먹을 것을 쌓아… 더보기

순리(順理)의 삶

댓글 0 | 조회 2,328 | 2009.05.27
순리의 삶은 조화(調和)의 삶이다. 원래 만상만물은 조화의 조건으로 났다(창조되었다). 이것이 있어 저것이 있고 저것이 있어 이것이 있다. 산이 있어 산새가 있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