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Porirua에서의 생활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8] Porirua에서의 생활

0 개 3,085 코리아타임즈
Porirua에서의 생활은 남편과 나의 기억에 아주 오래남을 추억들이 많은 시간이었다.  

물질적으로 풍요롭진 못했어도 마음의 안정과 서로를 믿고 의지할 수 있는 기반을 가질 수 있었다.
처음 그 집에서 지내면서 우리는 Whitireia polytech에서 영어를 배웠다. 폴리네시안들이 학급에 거의 대다수였고 중국 여학생 3명과 크로아시아에서온 고란 그리고 한국 사람으로는 왕 아줌마와 우리가 전부였다. 그래서 특별활동 시간에는 사모아 노래와 춤을 배워야했다. 우리는 열심히 배웠다. 지금 생각하면 무슨 생각으로 그렇게 열심히 사모아 노래와 춤을 따라 배웠을까 싶다.
웃기는 사실은 우리는 영어 그래머와 쓰기에는 사모안들보다 강하지만 말이 부족하고 그들은 반대로 말은 잘~하는데 쓰기가 부족했다. 아주 환상적인 조화가 아닐 수 없었다.
쉬는 시간에 우리는 사모안들을 붙잡고 얘기를 시키면서 말을 배우고 친구를 만들어 나갔다.
한번은 사모아 교회에 남편이랑 초대받아 가서는 드럼과 악기들 그리고 노래소리로 귀가 터질것같은 소음속에서 2시간을 견딜 수 밖에 없었던 일도있었다.  
당시 타와(Tawa)에 살고 계시던 분을 우리는 주로 왕아줌마라고 불렀다.
왕아줌마 가족을 알게되었고 초대받아 가서는 왕아저씨로부터 많은 경험담(두바이에서 오래 사셨단다)도 듣고 아주 재미있는 시간을 보내곤했다.

  

[정임씨 그거봤어!!!]

  

ESOL 수업 시간에 각자 자기나라를 소개하는 시간이 있었어요.
우리는 (왕 아줌마랑 남편과 나) 아리랑을 아줌마가 기타를 치시고 우리는 나란히 옆에서서 열심히 불렀지요.
정서가 마오리나 사모안들과 비슷해서인지 아주 반응이 좋았어요. 그 뒤에 이어진 남편의 "한국소개 시간" !!
남편은 큰 칠판에 커다랗게 한국지도를 그리더군요. 제주도까지 빼지 않고 그린 남편은 우리나라 지형을 호랑이 모양으로 비유를하더니 제주도를 호랑이 똥!! 이라고 비유를하는 바람에 온 교실안을 웃음 바다로 만들어 버리더군요.
참 나의 남편이지만 진짜로 웃기는 사람이다라고 생각했었어요.

한 날은 학교의 우두머리(사모안) 의 Farewell이 있었어요.
우리는 열심히 연습한 사모아 노래와 춤을 열심히 보여줬죠.
그 뒤에 이어진 남학생들의 마오리춤 "하카" 가 펼쳐졌어요.
평소 마오리춤에 대해 신기함을 가지고있었던 나는 아주 열심히 지켜 보았죠. 헌데 갑자기 옆에 앉아있던 왕 아줌마가 눈이 똥그래지시며 하시는 말 "정임씨 봤어 그거!!"
영문을 모르던 나는 "무어얼요?"

조금뒤에 알고나니 마오리 춤을추던 건장한 남학생들이 입고있던 짧은 스커트안이 노!팬티 였대요.
아 나는 그걸 왜 놓쳤을까요. 흑흑

  

[Shirley와의 만남]

  

1997년 어느날 우연히 Porirua시내를 거닐다가 Language Project라고 씌어진 간판을 보고 남편이랑 들어가 보았다.
영어를 못하는 이민자들을 위해 홈튜터(Home Tutor)를 소개해주는 기관이었다. 물론 무료이고 그 단체는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는다.
나는 지원서를 작성하고 Co-ordinator로부터의 연락이 오기를 기다렸다. 신청한 지 얼마후 나는 Shirley를 소개받았다.
Shirley는 은퇴한 (당시 처음 만났을때 67세) 할머니였다.
남편이랑 둘이 살고 있고 아들은 네덜란드 여자랑 결혼을 해 그 나라에 살고 있다고 했다.
그 때부터 계속 매주 토요일 남편이 나를 그 할머니 집으로 데려다 주면 1시간동안 대화를 나누곤했었다.
그 1시간동안 남편은 도서관에서 신문이나 잡지를 보고 다시 나를 데리러 오곤했다.

만난지 2년 정도 되던 어느 날, 할머니가 하시는 말씀이 첫날 만날 때보다 나의 영어 실력이 아주 많이 늘었다며 칭찬을 해주었었다. 어느 정도 시간이 흘러 대화가 통할 때는 할머니는 아주 많은 이야기를 스스럼없이 나에게 해주었고 우리의 생활에도 정신적으로 도움을 많이 주셨다.

내가 영어공부를 마치고 대학 본과 공부에 들어가면서 바빠지기 시작했을 때도 되도록이면 빠지지 않고 할머니를 만나러 가려고 노력했었다. 하지만 너무 힘들 땐 3주에 한 번 정도로 찾아 뵈었다.

비록 이곳으로 이사를 오게되어 지금은 가끔씩 전화 통화로 안부를 물을 정도지만 나는 그 할머니를 잊을 수가 없다.

하늘 뜻, 제 뜻

댓글 0 | 조회 2,683 | 2009.10.27
하늘이 만물만상을 내었다(창조하였다). 만상만물은 하늘 뜻(섭리, 순리)으로 나고 하늘 뜻으로 존재하고 하늘 뜻으로 소멸한다. 일체가 하늘의 뜻이다. 우주에 무수… 더보기

성현들이 출현한 우주의 한 때

댓글 0 | 조회 2,157 | 2009.10.13
우주에는 때가 있다. 물질이 창조된 때가 있었고, 인간이 출현하여 미신과 신화를 만들어 신을 받들던 때가 있었고, 성현이 출현하여 세상과 인간이 완성되는 때를 예… 더보기

성현(聖賢)들이 보여 준 삶

댓글 0 | 조회 2,044 | 2009.09.23
예수님은 가족들이 있는 안락한 집을 떠나 황량하고 메마르며 찌는 듯이 무더운 사막에서 굶주림과 목마름을 견디며 49일간 단식 기도를 하였다. 석가모니도 온갖 부귀… 더보기

사람이 무지(無知)하고 무지(無智)한 이유

댓글 0 | 조회 1,960 | 2009.09.09
사람은 태어나서 보고 듣고 배우고 경험한 것 밖에 모른다. 자기가 해외 여행하여 가본 미국은 알지만 가보지 못한 아프리카 우간다는 모른다. 영어는 학교에서 배워서… 더보기

사람의 크기, 마음의 크기(Ⅱ)

댓글 0 | 조회 1,903 | 2009.08.25
사람이 완전하다면 부족함이 없이 충만해 있을 터인데 사람은 불완전하기 때문에 항상 부족함 속에 있고 만족을 모른다. 항상 허기(虛氣)져 있다. 그래서 사람은 끊임… 더보기

사람의 크기, 마음의 크기(Ⅰ)

댓글 0 | 조회 1,856 | 2009.08.12
사람은 마음과 몸으로 되어 있다. 마음을 일으키면 그것을 몸이 실행한다. 물을 마시고 싶은 마음이 일어나면 손(몸)으로 컵을 찾아 쥐고 물을 따라 마신다. 물을 … 더보기

경전(經典)이 어려운 이유

댓글 0 | 조회 1,815 | 2009.07.28
사람이 보기에 경전은 어렵다. 왜 어려울까?경전에서 말하는 것은 진리이다. 그런데 사람 마음에는 진리가 없다. 진리가 없으니 진리를 보고 들을 수가 없다. 내 마… 더보기

성현(聖賢)들의 말씀대로 살지 못하는 이유

댓글 0 | 조회 2,382 | 2009.07.15
사람은 태어나서 살면서 경험한 것, 인지한 것 일체를 사진 찍어 마음에 담고 산다. 고향도, 초. 중. 고. 대학 시절, 군대시절, 직장에서의 사연과 배경(장소)… 더보기

눈을 가리고 귀를 막는 것들

댓글 0 | 조회 2,203 | 2009.06.24
옳다고 믿는 것들 – 지식, 정보, 신념. 천동설(天動說)을 받아들이고 있으면 천동설에 매여서 코페르니쿠스가 천동설의 오류를 지적하고 지동설(地動說)이 옳다고 과… 더보기

욕심(慾心)

댓글 0 | 조회 2,053 | 2009.06.09
신이 인간을 처음 창조했을 때에 인간은 욕심이 없었습니다. 배고프면 지천으로 열려 있는 과일을 따먹고 배부르면 놀면서 쉬었습니다. 장래를 대비하여 먹을 것을 쌓아… 더보기

순리(順理)의 삶

댓글 0 | 조회 2,324 | 2009.05.27
순리의 삶은 조화(調和)의 삶이다. 원래 만상만물은 조화의 조건으로 났다(창조되었다). 이것이 있어 저것이 있고 저것이 있어 이것이 있다. 산이 있어 산새가 있고… 더보기

불나방

댓글 0 | 조회 2,285 | 2009.05.13
불나방 마을에서 마을 지도자를 뽑기로 하였는데 세 명의 불나방이 후보로 나섰다. 첫 번째 후보는 주택정책을 들고 나왔다. '우리 불나방은 약하기 때문에 다른 곤충… 더보기

유혹(誘惑)

댓글 0 | 조회 2,089 | 2009.04.28
꿀단지가 넘어져 꿀물이 쏟아졌습니다. 꿀 냄새를 맡은 파리가 날아와서 엎질러진 꿀물 위에 앉아 정신 없이 꿀을 핥아 먹기 시작했습니다. 배가 터지게 꿀물을 먹은 … 더보기

산 속의 토끼처럼

댓글 0 | 조회 1,848 | 2009.04.15
토끼가 달려가다가 바위를 만나면 그냥 바위를 피하여 가고자 하는 곳으로 달려간다. '바위가 왜 저기 있을까, 저 바위는 크기가 얼마나 될까, 현무암일까 화강암일까… 더보기

그냥 있고 그냥 산다(Ⅱ)

댓글 0 | 조회 2,099 | 2009.03.25
물이 수증기가 되어 하늘에 올라 구름이 되었다가 빗방울이 되어 땅에 떨어진다. 땅에 떨어진 빗방울이 모여 개울이 되고 개울이 큰 강물 되어 바다를 이룬다. 대지(… 더보기

그냥 있고 그냥 산다(Ⅰ)

댓글 0 | 조회 2,171 | 2009.03.11
세상은 창조주에 의하여 창조된 창조주의 세상이다. 따라서 우주에 존재하는 만상만물 일체는 창조주에 의하여 나누어 졌으며 창조주의 뜻에 의하여(뜻에 맞게) 있고, … 더보기

고양이는 '야옹야옹' 생쥐는 '찍찍'

댓글 0 | 조회 1,998 | 2009.02.24
아름다운 숲 속에 고양이와 생쥐가 평화롭게 살고 있었다. 어느 화창한 봄날 꾀꼬리가 날아와 우는 것을 보고 고양이와 생쥐는 호랑이 임금님한테 달려갔다. “임금님,… 더보기

알지만 그렇게 살지 못하는 이유

댓글 0 | 조회 2,099 | 2009.02.10
일상 생활에서 용변(用便)을 본 경우는 특별히 기억에 남지 않는다. 그러나 회사에서 일이 끝난 후 집에 돌아오다가 도저히 참을 수 없어 이웃집 담에 실례를 한 경… 더보기

아는 것과 되는 것

댓글 0 | 조회 1,708 | 2009.01.28
몸이 약한 두 사람이 있었다. 몸이 쇠약하여 하루하루 생활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느끼게 되자 건강을 위해 무언가 해야겠다고 마음먹었다. 한 사람은 건강해지기 위해서… 더보기

바람처럼 물처럼

댓글 0 | 조회 1,848 | 2009.01.14
공기도 물도 넘치는 곳에서 모자라는 곳으로 흐른다. 공기가 많은 곳은 기압이 높고(高氣壓) 공기가 모자라는 곳은 기압이 낮다(低氣壓). 공기는 고기압에서 저기압으… 더보기

새해에 크게 복된 삶 사십시오

댓글 0 | 조회 1,731 | 2008.12.23
복은 누가 주는 것도 아니고 누구로부터 받는 것도 아닙니다. 복은 내가 짓는 것입니다. 복은 복을 담을 그릇의 크기만큼 담을 수 있습니다. 작은 그릇은 작은 복 … 더보기

마음과 건강(Ⅳ)

댓글 0 | 조회 1,653 | 2008.12.09
동네 골목길에서 산책을 하다가 목줄이 풀려 갑자기 뛰쳐나온 사나운 개에게 물렸을 때 개한테 물린 상처를 치료하고 광견병 예방처치를 받으면 치료가 끝나지만 그 후에… 더보기

마음과 건강(Ⅲ)

댓글 0 | 조회 1,811 | 2008.11.26
조상의 삶과 마음도 자손의 건강에 영향을 준다. 몸은 마음을 담는 그릇이다. 삶과 마음은 세포 하나하나에 100% 저장된다. 동물의 체세포 하나만 있으면 똑 같은… 더보기

마음과 건강(Ⅱ)

댓글 0 | 조회 1,439 | 2008.11.11
마음을 이해하면 건강과 병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사람은 살면서 보고 듣고 배우고 경험한 것들을 모두 내 안에 담고 있다. 부모형제, 친인척은 물론, 학교 친구… 더보기

마음과 건강(Ⅰ)

댓글 0 | 조회 1,425 | 2008.10.30
캄캄한 밤에 인적이 끊어진 깊은 산 숲 속 길을 걸어가면 무서운 마음에 몸이 긴장되고 살갗에 소름이 돋으며 머리칼이 쭈삣 쭈삣 선다. 화가 많이 나면 숨이 가빠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