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7] 적게 먹자 (小食平安) : 살 빼는 방법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57] 적게 먹자 (小食平安) : 살 빼는 방법

0 개 3,117 KoreaTimes
  생활에 있어서 음식은 중요하다. 살기 위해 먹는다는 기본적 질서가 먹기 위해 산다고 할 만큼 그 욕구는 강열하다. 먹는다는 것처럼 즐거운 것은 없다. 맛있는 음식을 맛있게 먹을 수 있는 기쁨보다 더 한 것은 없다. 건강을 유지하고 맛의 즐거움을 추구하는 음식문화는 인류의 가장 오랜 유산이다.  인생의 다섯 가지 즐거움인 오욕락(五欲樂) 중에서 3번째 이니 상위에 속한다.

  그러나 현대인들은 먹어도 너무 많이 먹는다. 먹다가 죽은 귀신은 얼굴색도 좋다고 하면서 먹고 먹는 맛의 유혹을 거절하지 못한다. 미식과 호식으로 과잉 섭취하여 비만과 당뇨, 고혈압, 중풍, 각종 성인병과 난치병을 유발한다. 그래도 절제할 줄 모르고 먹고 또 먹는다.  앞의 식사(음식물)가 위(胃)에서 소화되기 전에 또 섭취하여 장기의 피로가 누적되고 독(毒)이 쌓여 생명을 단축하게 한다. 운동도 부족하고 게으르기 이를 데 없어 숨조차 헐떡거리며 괴로워 한다. 한 번 누우면 일어날 수 없을 만큼 포식한다.

  인도의 어느 왕(王)은 끼니때 마다 진수성찬으로 너무 많이 먹어서 몸의 동작이 불편했다. 그는 현자를  찾아가서 살 빼는 방법을 물었다.

  현자는 왕에게 말 하기를,

  “대왕께서 살찌는 것은 첫째는 자주 먹기 때문이고, 둘째는 잠자기를 좋아하기 때문이고, 셋째는 권위 의식으로 잘난 체 교만하기 때문이고, 넷째는 근심걱정 없어 태만하기 때문이고, 다섯째는 일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만약 살을 빼고 싶거든 먼저 먹는 음식을 줄이고, 잠을 덜 자고, 교만한 생각을 없애고, 사람들의 민생문제에 대해 근심걱정을 많이 하고, 놀지 말고 일을 하여야 됩니다. 그렇게 하면 다시 건강하고 몸이 가벼워 질 수 있습니다” 라고 했다.  

  왕은 현자의 말을 듣고 기뻐 하면서 요리사에게 말했다.

  「이 말씀을 음식을 내올 때마다 먼저 들려 다오. 」

  그 후 요리사는 음식을 내 올 때 마다 이 말을 외었다. 왕은 이 말을 듣고 하루 한 숟갈씩 음식을 줄이면서 점점 적게 먹었다. 그래서 살이 빠지고 가벼워 졌다.
  
  사람들은 육체의 온갖 탐욕에 물들고 영적 성숙에 빈곤하다. 육체에 구속되고 노예가 되어 있다. 육신이 가볍고 자유로워야 영혼도 맑아지고 지혜로워 지는 지를 모른다.  그것은 인체의 각 장기의 기능들은 동시에 모두 활동하게 되어있지 않다. 위장이 활동할 때는 뇌와 신장의 활동이 둔화되고 신장이 활동할 때는 위장과 뇌의 활동이 줄어 덜기 때문이다. 이것은 밥을 많이 먹고 난 후에 졸리거나 사고력이 둔해 지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현대인은 덜 먹는 것이 역설적이지만 몸을 위하는 것이고 정신건강을 위하는 것이며 장수할 수 있다. 식사도 하루 3식에서 2식으로 줄여야 하고 소식해야 한다. 하루 세끼에서 두끼 만 먹으면 손해 보는 것 같고 배가 고파 어지럽고 체력 저하가 오지 않을까 걱정한다. 그러나 걱정할 필요가 없다. 그렇게 한 달 만 수련하면 가능하고 편안해진다.

  인도의 성자 마하트마 간디와 레슬링의 왕자 역도산은 오전에 먹지 않는 오전불식자(午前不食者)였고  태국의 스리무앙 잠롱은 1일 1식과 채식주의자다. 고성(高僧)들은 오후에 먹지 않는 오후불식자(午後不食者)들이 였고 그것을 생활화 하고 자신들을 절제하고 다스렸다. 그래도 쓰러지지 않고 더욱 건강하게 사회와 인류를 위해 빛이 될 수 있었다. 강한 의지력으로 잘못된 습관인 과음과 과식, 과로, 흡연, 정신적 스트레스에서 벗어나야 생명력을 지닌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은 칼 보다도 만찬에 의해서 살해된다. 하루하루 적게 먹은 것을 생활화 하여 건강하게 가족과 오래 오래 살고 이웃과 사회에 등불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하늘 뜻, 제 뜻

댓글 0 | 조회 2,682 | 2009.10.27
하늘이 만물만상을 내었다(창조하였다). 만상만물은 하늘 뜻(섭리, 순리)으로 나고 하늘 뜻으로 존재하고 하늘 뜻으로 소멸한다. 일체가 하늘의 뜻이다. 우주에 무수… 더보기

성현들이 출현한 우주의 한 때

댓글 0 | 조회 2,155 | 2009.10.13
우주에는 때가 있다. 물질이 창조된 때가 있었고, 인간이 출현하여 미신과 신화를 만들어 신을 받들던 때가 있었고, 성현이 출현하여 세상과 인간이 완성되는 때를 예… 더보기

성현(聖賢)들이 보여 준 삶

댓글 0 | 조회 2,044 | 2009.09.23
예수님은 가족들이 있는 안락한 집을 떠나 황량하고 메마르며 찌는 듯이 무더운 사막에서 굶주림과 목마름을 견디며 49일간 단식 기도를 하였다. 석가모니도 온갖 부귀… 더보기

사람이 무지(無知)하고 무지(無智)한 이유

댓글 0 | 조회 1,959 | 2009.09.09
사람은 태어나서 보고 듣고 배우고 경험한 것 밖에 모른다. 자기가 해외 여행하여 가본 미국은 알지만 가보지 못한 아프리카 우간다는 모른다. 영어는 학교에서 배워서… 더보기

사람의 크기, 마음의 크기(Ⅱ)

댓글 0 | 조회 1,901 | 2009.08.25
사람이 완전하다면 부족함이 없이 충만해 있을 터인데 사람은 불완전하기 때문에 항상 부족함 속에 있고 만족을 모른다. 항상 허기(虛氣)져 있다. 그래서 사람은 끊임… 더보기

사람의 크기, 마음의 크기(Ⅰ)

댓글 0 | 조회 1,853 | 2009.08.12
사람은 마음과 몸으로 되어 있다. 마음을 일으키면 그것을 몸이 실행한다. 물을 마시고 싶은 마음이 일어나면 손(몸)으로 컵을 찾아 쥐고 물을 따라 마신다. 물을 … 더보기

경전(經典)이 어려운 이유

댓글 0 | 조회 1,815 | 2009.07.28
사람이 보기에 경전은 어렵다. 왜 어려울까?경전에서 말하는 것은 진리이다. 그런데 사람 마음에는 진리가 없다. 진리가 없으니 진리를 보고 들을 수가 없다. 내 마… 더보기

성현(聖賢)들의 말씀대로 살지 못하는 이유

댓글 0 | 조회 2,381 | 2009.07.15
사람은 태어나서 살면서 경험한 것, 인지한 것 일체를 사진 찍어 마음에 담고 산다. 고향도, 초. 중. 고. 대학 시절, 군대시절, 직장에서의 사연과 배경(장소)… 더보기

눈을 가리고 귀를 막는 것들

댓글 0 | 조회 2,200 | 2009.06.24
옳다고 믿는 것들 – 지식, 정보, 신념. 천동설(天動說)을 받아들이고 있으면 천동설에 매여서 코페르니쿠스가 천동설의 오류를 지적하고 지동설(地動說)이 옳다고 과… 더보기

욕심(慾心)

댓글 0 | 조회 2,050 | 2009.06.09
신이 인간을 처음 창조했을 때에 인간은 욕심이 없었습니다. 배고프면 지천으로 열려 있는 과일을 따먹고 배부르면 놀면서 쉬었습니다. 장래를 대비하여 먹을 것을 쌓아… 더보기

순리(順理)의 삶

댓글 0 | 조회 2,323 | 2009.05.27
순리의 삶은 조화(調和)의 삶이다. 원래 만상만물은 조화의 조건으로 났다(창조되었다). 이것이 있어 저것이 있고 저것이 있어 이것이 있다. 산이 있어 산새가 있고… 더보기

불나방

댓글 0 | 조회 2,285 | 2009.05.13
불나방 마을에서 마을 지도자를 뽑기로 하였는데 세 명의 불나방이 후보로 나섰다. 첫 번째 후보는 주택정책을 들고 나왔다. '우리 불나방은 약하기 때문에 다른 곤충… 더보기

유혹(誘惑)

댓글 0 | 조회 2,088 | 2009.04.28
꿀단지가 넘어져 꿀물이 쏟아졌습니다. 꿀 냄새를 맡은 파리가 날아와서 엎질러진 꿀물 위에 앉아 정신 없이 꿀을 핥아 먹기 시작했습니다. 배가 터지게 꿀물을 먹은 … 더보기

산 속의 토끼처럼

댓글 0 | 조회 1,848 | 2009.04.15
토끼가 달려가다가 바위를 만나면 그냥 바위를 피하여 가고자 하는 곳으로 달려간다. '바위가 왜 저기 있을까, 저 바위는 크기가 얼마나 될까, 현무암일까 화강암일까… 더보기

그냥 있고 그냥 산다(Ⅱ)

댓글 0 | 조회 2,098 | 2009.03.25
물이 수증기가 되어 하늘에 올라 구름이 되었다가 빗방울이 되어 땅에 떨어진다. 땅에 떨어진 빗방울이 모여 개울이 되고 개울이 큰 강물 되어 바다를 이룬다. 대지(… 더보기

그냥 있고 그냥 산다(Ⅰ)

댓글 0 | 조회 2,171 | 2009.03.11
세상은 창조주에 의하여 창조된 창조주의 세상이다. 따라서 우주에 존재하는 만상만물 일체는 창조주에 의하여 나누어 졌으며 창조주의 뜻에 의하여(뜻에 맞게) 있고, … 더보기

고양이는 '야옹야옹' 생쥐는 '찍찍'

댓글 0 | 조회 1,997 | 2009.02.24
아름다운 숲 속에 고양이와 생쥐가 평화롭게 살고 있었다. 어느 화창한 봄날 꾀꼬리가 날아와 우는 것을 보고 고양이와 생쥐는 호랑이 임금님한테 달려갔다. “임금님,… 더보기

알지만 그렇게 살지 못하는 이유

댓글 0 | 조회 2,098 | 2009.02.10
일상 생활에서 용변(用便)을 본 경우는 특별히 기억에 남지 않는다. 그러나 회사에서 일이 끝난 후 집에 돌아오다가 도저히 참을 수 없어 이웃집 담에 실례를 한 경… 더보기

아는 것과 되는 것

댓글 0 | 조회 1,706 | 2009.01.28
몸이 약한 두 사람이 있었다. 몸이 쇠약하여 하루하루 생활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느끼게 되자 건강을 위해 무언가 해야겠다고 마음먹었다. 한 사람은 건강해지기 위해서… 더보기

바람처럼 물처럼

댓글 0 | 조회 1,847 | 2009.01.14
공기도 물도 넘치는 곳에서 모자라는 곳으로 흐른다. 공기가 많은 곳은 기압이 높고(高氣壓) 공기가 모자라는 곳은 기압이 낮다(低氣壓). 공기는 고기압에서 저기압으… 더보기

새해에 크게 복된 삶 사십시오

댓글 0 | 조회 1,730 | 2008.12.23
복은 누가 주는 것도 아니고 누구로부터 받는 것도 아닙니다. 복은 내가 짓는 것입니다. 복은 복을 담을 그릇의 크기만큼 담을 수 있습니다. 작은 그릇은 작은 복 … 더보기

마음과 건강(Ⅳ)

댓글 0 | 조회 1,652 | 2008.12.09
동네 골목길에서 산책을 하다가 목줄이 풀려 갑자기 뛰쳐나온 사나운 개에게 물렸을 때 개한테 물린 상처를 치료하고 광견병 예방처치를 받으면 치료가 끝나지만 그 후에… 더보기

마음과 건강(Ⅲ)

댓글 0 | 조회 1,808 | 2008.11.26
조상의 삶과 마음도 자손의 건강에 영향을 준다. 몸은 마음을 담는 그릇이다. 삶과 마음은 세포 하나하나에 100% 저장된다. 동물의 체세포 하나만 있으면 똑 같은… 더보기

마음과 건강(Ⅱ)

댓글 0 | 조회 1,438 | 2008.11.11
마음을 이해하면 건강과 병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사람은 살면서 보고 듣고 배우고 경험한 것들을 모두 내 안에 담고 있다. 부모형제, 친인척은 물론, 학교 친구… 더보기

마음과 건강(Ⅰ)

댓글 0 | 조회 1,424 | 2008.10.30
캄캄한 밤에 인적이 끊어진 깊은 산 숲 속 길을 걸어가면 무서운 마음에 몸이 긴장되고 살갗에 소름이 돋으며 머리칼이 쭈삣 쭈삣 선다. 화가 많이 나면 숨이 가빠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