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2] 9988ㆍ1234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32] 9988ㆍ1234

0 개 2,592 KoreaTimes
적당히 잘쓰면 좋지만 잘못쓰면 남에게 혐오감을 주는게 향수(香水)라고 늘 생각해 왔다. “아우님 내가 향수를 좀 썼는데 괜찮은지 모르겠네요.”

너무 진한 향수냄새 때문에 곁에서 머리가 아팠던 적잖은 경험 때문에 조심스럽게 함께 차를 탄 자매님에게 묻는다. “괜찮으세요.”솔직한 분이라 그 말을 그대로 믿기로 한다. 해보지 않던 일을 하면 왜 그리 쑥스러운지 멋적고 편치가 않아 던져 본 말이기도 하다.

처녀 때엔 싱그러운 살냄새가 자신있어 향수같은 것은 필요없다고 생각하고 살았다. 중년에는 퍼머 조차 내 마음대로 할 수 없는 오직 자연주의 남편 때문에 나와는 인연이 없었던 것. 그러나 평범한 가정주부가 향수 뿌리고 딱히 외출할만한 곳이 없었다는 게 솔직한 고백일 것이다.
  이제 입냄새 몸냄새가 날 수 있으니 향수를 쓰도록 하라는 말이 계노록에도 담겨 있어 사용해본 향수인데…….

칠십에 고려장 지내던 시대도 있었건만 이젠 장수하는 세태가 늙은사람 수칙으로 계노록(戒老錄)이라는 것도 있어 공감하면서 수용하기로 한다. 살만큼 살았다고 되는대로 살지말고 제대로 살면서 사람대우 어른대우 받으며 여생을 질서속에서 살라는 지침서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인간의 수명이 백 이십이라던가, 과학문명의 시대가 거기에 도전하도록 유도하는 것인지 요즈음은 심심치 않게 백수를 누리는 사람들을 본다. 얼마전에 클라프트 센터에서는 백 두살의 건강한 할머니의 생일파티가 있었다고 들었다. 팔순이 넘은 ㅇㅇㅇ형님이 네살 연상의 키위할아버지와 떡 벌어지는 결혼식을 하고 알콩달콩 신혼가정을 꾸며 백수에 도전하신 일도 있질 않은가. 백살까지 사시라고 자손들이 만들어 준 효도의 배려란다.

한참 전의 일이다. 어느 모임에선가 축배를 들면서 부라보 대신으로 9988, 1234를 선창하시는 어른을 따라 모두가 함께 그렇게 소리치며 그 뜻이 몹시 궁금했다.

“아흔아홉살까지 팔팔하게 살다가 일어날 수 없을 땐 삼, 사일만 버티다가 죽자”란다. 아흔아홉까지 살려면 여기저기 고장나고 지루할 것 같은데 그래도 그것을 부정하는 사람은 하나도 없고 일어날 수 없을 땐 단박에 죽어야지 삼, 사일 버티는 것도 길다는 말 뿐이다.

개똥밭에 딩굴어도 저승보다는 이승이 낫다는 말도 있듯이 한 번 뿐인 삶을 빨리 끝내고 싶은 사람은 없는게 사실이다. 오늘날 끊임없는 의학의 연구발달도 궁극적으로는 건강하게 오래 살자는 목적이 아니던가. 때 맞춰 계노록이란 것도 필독할 가치가 있고 노력도 있어야만 장수시대에 걸맞는 삶을 살아갈 수가 있을 것같다.

일손을 놓고 사회에서 소외 된 삶을 어떻게 외롭지 않게 보낼 것이며 자식들과의 융화도 너무 멀지도 가깝지도 않게 잘이루어내야 옳게 편하게 살게 되는지……, 9988 1234는 외치는 것만이 중요한게 아니고 그것을 실행해 나가는 것이 더욱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된다. 낡아가는 기계 덜커덩거리며 고장나려 덤비는걸 어찌 막으리. 이물질을 입속에 넣고 마냥 둔해진 미각에 전에 먹던 애호박 칼국수를 아무리 선호해도 지금은 그 맛을 찾아 낼 수가 없다. 요즈음같이 씻고 닦는데 편리한 문화공간에서 살아도 화장품 냄새까지 먹어 치우는 기분 좋지 않은 방냄새도 그게 바로 내 몸냄새여서 늙음은 어떻게도 막을 수 없다는 걸 깨닫는다. 옛날에 시골에 내려가면 노인들이 쓰는 사랑방의 역겨운 냄새에 코를 막고 찡그렸던 어렸을적 생각이 떠오른다. 담배냄새에 찌들은 누렇게 얼룩진 벽지와 자주 씻지 못하는 추한 냄새려니했는데….

이제 향수뿐만이 아니고 나 자신을 위해서 과감히 투자를 하고 신경써서 정성으로 여생을 살기로 노력해야겠다. 사실 이제야말로 자식들에게서 놓여 나 최고의 인생을 누릴 가치를 찾아야 할 때가 아닌가. 접어 두었던 이상의 날개를 활짝펴고 비상할 때가 오히려 지금인것 같은데 젊은이들은 그리 생각 안 하는게 문제다.

“얼마나 더 살 꺼라고 그런걸 해”“왜 새것을 살까?”

제것 뺏어 쓰는 것도 아니고 자신들의 것을 써도 못마땅해 하는 것을 보면서 부모님 것은 모두 내 것으로 생각하고 축내는 것이 싫다는 뜻인데 그들도 늙어보면 이해하리라.

인생에 있어서 임시라는것, 대충이란 말은 있을 수가 없다. 오늘은 평생에 딱 한 번만 맞는 날이기에 가버리면 끝이다. 추수가 끝난 빈 들에는 쓸쓸하지만 내년을 준비하는 과정이 또 있다. 허지만 인생은 낭떨어지를 향해 가고 있으니 매일을 최선을 다해 살아야 하는 게 아닌가.

새빨간 옷으로 곱게 정장하고 나드리 나가는 이 나라 노인들 모습이 아름다워 공감을 하게 된다. 까페에서 노부부가 정답게 담소하는 모습도, 공원을 천천히 손잡고 산책하는 그림도 자주 만나는 풍경인데 우리네 정서와는 퍽 다르게 느껴진다. 평생을 함께한 부부가 아름다운 황혼을 즐기는 멋진 모습임에 부럽다. 9988 1234 나는 아무래도 자신이 없고 먼먼 남의 이야기로만 들리니 웬 일일까?

이 원고를 탈고하려는 순간 내게 뜻하지 않은 부음이 전해져 왔다. 아직 육십도 안된 6ㆍ25 사변둥이 막내동생이 갑자기 세상을 등졌다는 소식이다. 그는 9988…… 도 몰랐었나? 어찌 그리 서둘러 떠났을까? 슬픈 일이다. 동생의 명복을 빌면서…….

가지미와 바라미의 꿈(Ⅰ)

댓글 0 | 조회 2,885 | 2010.11.24
가지미와 바라미에게는 한 순간도 놓은 적이 없는 꿈이 있습니다. 그것은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아버지를 만나는 일입니다. 연년생인 가지미와 바라미의 아버지는 둘째… 더보기

숲 속의 나무처럼

댓글 0 | 조회 2,898 | 2010.11.10
햇빛을 좋아하는 양지 식물이 먼저 숲을 차지하였다. 양지 식물이 그늘지게 해주니까 햇빛을 싫어하는 음지 식물이 들어섰다. 또 음지 식물이 햇빛을 차단해주니까 습지… 더보기

마음으로 짓고 부순다

댓글 0 | 조회 2,748 | 2010.10.28
해는 땅에 있는 만물에게 차별을 두지 않고 고루 빛을 비춥니다. 다만 뭉게구름이 햇빛을 가리기도 하고 산과 골짜기가 음지를 만들기도 하고 큰 나무가 그늘을 만들기… 더보기

북한 사람들

댓글 0 | 조회 2,735 | 2010.10.13
바깥 세상으로부터 철저히 차단되어 살아온 북한 사람들은 헐벗고 굶주리면서도 지상낙원에 살고 있다고 말하던 때가 있었다. 라디오 주파수와 TV채널이 내부 소식만 들… 더보기

두 물방울 이야기

댓글 0 | 조회 2,789 | 2010.09.29
수많은 빗방울이 모여서 작은 도랑을 이루고 점점 큰물이 되어 시냇물이 되고 강물이 되어 흐르다가 바다에 이릅니다. 두 개의 물방울이 다른 물방울들과 함께 바다에서… 더보기

창조질서의 파괴

댓글 0 | 조회 3,097 | 2010.09.15
이 세상은 조화자체이다. 만물만상이 창조된 것은 조화의 조건에 의해 창조되었다. 무한한 우주에 있는 수많은 별 중에 지구라는 별에는 물과 공기가 있고 이웃한 태양… 더보기

여백(餘白)

댓글 1 | 조회 2,729 | 2010.08.25
여행에 필요한 것들을 배낭에 넣었습니다. 혹시 필요할 지 몰라 하얀 종이 한 장도 챙겨 넣었습니다. 배낭을 매고 길을 떠났습니다. 한참을 가다가 경치가 아름다운 … 더보기

보고만 있겠는가

댓글 0 | 조회 2,803 | 2010.08.11
낭떠러지 건너편 절벽 위에 예쁜 꽃이 피어있는데 젖먹이 아기가 꽃을 꺾으려고 꽃만 바라보고 엉금엉금 기어가고 있다. 그대로 두면 아기는 낭떠러지에서 떨어질 게 뻔… 더보기

물웅덩이(Ⅲ)

댓글 0 | 조회 2,598 | 2010.07.28
하늘을 떠돌던 구름이 빗방울 되어 땅에 떨어져서 물길을 만들며 흐르다 움푹 패인 곳이 있으면 웅덩이가 생깁니다. 웅덩이가 다 찰 때까지 물은 흐름을 멈추고 웅덩이… 더보기

물웅덩이 (Ⅱ)

댓글 0 | 조회 2,976 | 2010.07.14
물이 흐르다가 움푹 패인 곳이 있으면 흐름을 멈추고 그곳에 고여 물웅덩이가 생깁니다. 웅덩이에 물이 고이면 작은 웅덩이 세계가 생깁니다. 웅덩이 세계에는 가족들이… 더보기

솔직하고 용기 있는 사람들

댓글 0 | 조회 2,715 | 2010.06.22
꽤 오래 전 어느 스님이 돌아가시면서 “일생 동안 선남선녀의 무리를 속여서 하늘에 넘치는 죄업은 수미산을 지나친다”는 말을 남기셨습니다. 그 분은 근년에 드물게 … 더보기

시련과 축복

댓글 0 | 조회 2,579 | 2010.06.10
러시아의 문호 푸시긴은 ‘세상이 나를 속일지라도 슬퍼하지 않으리’ 하고 노래하였다. 세상이 나를 속이는 것일까? 사람은 세상을 살면서 한 순간도 놓치지 않고 오감… 더보기

시련과 축복

댓글 0 | 조회 2,664 | 2010.05.26
세상을 살다 보면 하는 일이 순조롭게 잘 이루어질 때도 있고 일이 꼬이면서 뜻한 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도 있다. 일이 뜻대로 잘 풀리면 복 받았다 하고 행복해 … 더보기

늑대소년 이야기

댓글 0 | 조회 4,096 | 2010.05.12
인도에서 실제로 있었던 이야기이다. 무슨 연유에서인지 태어나자마자 밀림에 버려져 늑대 젖을 먹고 자라서 늑대와 함께 살다가 11년 만에 구조된 소년이 있었다. 말… 더보기

금강산에 가봐야 금강산을 안다

댓글 0 | 조회 2,535 | 2010.04.28
한아름이와 공 모름이는 친구 사이인데 한 아름이는 평소 책 읽기를 좋아해서 다방면에 걸쳐 아는 것이 많았으나 공 모름이는 놀기를 좋아해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것이 … 더보기

하루살이와 매미와 나비

댓글 0 | 조회 5,029 | 2010.03.23
"세상에는 낮 밖에 없어.”하고 하루살이가 말하자 나무 위에서 노래하고 있던 매미가 말했다. “아니야, 세상에는 일곱 낮과 일곱 밤이 있어. 그리고 무더운 여름이… 더보기

큰 삶

댓글 0 | 조회 2,371 | 2010.03.09
자기와 가족만을 위한 삶은 세상 사람 누구나 사는 삶입니다. 그러나 이웃을 위해 사는 삶은 큰 삶입니다. 날씨가 흐려도, 마음이 슬퍼도, 언제나 이웃에게 따뜻한 … 더보기

어리석음

댓글 0 | 조회 2,032 | 2010.02.24
자기 속에 갇혀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하고 그것 밖에 모른다. 자기 삶에서 보고 듣고 경험한 것만 안다. 그것이 다인 줄 알고 그것만이 옳다 하고 그것을 내세우고 그… 더보기

마음과 골프

댓글 0 | 조회 2,198 | 2010.02.09
골프를 잘 칠 수 있는 비결몸은 마음먹은 것을 실현해주는 마음의 도구입니다. 물 한 잔 마셔야지 하고 마음먹으면 몸(팔과 손)을 움직여 주전자 물을 물잔에 부어 … 더보기

아프리카 초원의 사자

댓글 0 | 조회 2,513 | 2010.01.26
아프리카 초원에 사는 사자는 햇볕 속에서 맑은 물 마시고 맑은 공기 숨쉬며 산다. 배고프면 먹고 배부르면 쉰다. 자연 속에서 자연의 일부로 산다. 자연의 섭리대로… 더보기

흐르는 물

댓글 0 | 조회 2,168 | 2010.01.13
흐르는 물은 머물지 않는다. 흐르는 물은 시작도 끝도 생각하지 않는다. 흐르는 물은 빗방울 하나로 시작되었음 생각하지 않는다. 흐르는 물은 작은 도랑물이었음 생각… 더보기

모두 다 잘 사는데

댓글 0 | 조회 2,399 | 2009.12.09
자갈밭에 떨어진 씨앗은 그 곳이 메마르고 척박하여 줄기가 가늘고 잎도 작고 비틀어져 있으나 기름진 옥토에 떨어진 씨앗은 수분과 영양분이 풍부하여 줄기가 굵고 잎도… 더보기

닐 암스트롱

댓글 0 | 조회 2,646 | 2009.11.24
최초로 달에 인간의 발자국을 남긴 미국의 우주인 닐 암스트롱은 회고록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 적이 있다. '우주 공간에서 보니 지구는 푸른 색을 띤 아름다운 별이었… 더보기

장님 코끼리 만지기

댓글 0 | 조회 4,650 | 2009.11.11
장님들이 제각기 코끼리 몸의 한 부분만을 만져 보고는 자기가 만진 부분이 코끼리라고 우기는 이야기가 있다. 꼬리를 만져 본 장님은 코끼리가 '밧줄과 같다'고 하고… 더보기

하늘 뜻, 제 뜻

댓글 0 | 조회 2,681 | 2009.10.27
하늘이 만물만상을 내었다(창조하였다). 만상만물은 하늘 뜻(섭리, 순리)으로 나고 하늘 뜻으로 존재하고 하늘 뜻으로 소멸한다. 일체가 하늘의 뜻이다. 우주에 무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