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 지불할 것인가?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언제 지불할 것인가?

0 개 3,305 코리아포스트
아직도 식민지 근성이 많이 남아 있어서인지 '우리 한국 사람들'은 스스로의 것들을 너무 많이 깎아 내린다.

간단한 예로 'a place where meals are sold and eaten(음식을 팔고 먹는 장소)'를 뜻하는 'restaurant'이라는 영어 단어를 '우리말'로 무엇이라고 해야 할까 생각해 보자. 내가 10대 일 때는 '양식집'이나 '경양식집'이라고 부르더니 요새는 사전에도 '음식점, 식당, 요리점'이라고 '우리말'로 설명해 놓고 있다. 나아가 아예 '레스토랑'이라고 '외국어'의 우리말 표기를 그냥 쓰고 있다. 어느 사전을 뒤져 봐도 거의 똑같다. 그런데 유감스럽게도 '음식점, 식당, 요리점, 레스토랑' 어느 단어도 순수한 우리말은 아니다. 생각해 본다. 'restaurant'의 순수한 우리말은 '밥집'이 아닐까?

물론 영어에서 'a restaurant that serves simple food and drinks(간단한 음식이나 음료를 파는 식당)'를 가리키는 'café' 나 'cafeteria' 와 'restaurant'은 구분지어 쓰지만, restaurant에 대한 필자의 머리속에 떠오르는 순수한 우리말은 '밥집'이다. 그런데 나에게도 밥집이라고 하면 무엇인가 허름하고 지저분하고 조그만 장소의 '밥 먹는 곳'이 떠오르고 식당이나 음식점, 레스토랑이라고 하면 좀 더 좋고 고급스러운 장소가 떠오르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일제시대나 더 거슬러 올라가 조선시대부터 상류층들은 '요리점'에서 식사를 하셨고, 허름한 백성들은 '밥집'에서 밥을 먹었던데서부터 유래하게 된 것인가? '요리점'에서 상류층이 했던 '식사'는 '밥'과 본질적으로 무엇이 다를까? 순수한 우리말 지키기 '프로그램'이라고 자부했던 '프로그램' 이름도 꽤 오랜 시간 동안 '상상 플러스'였다. 일제 식민지 시대를 지나 이제는 영어 식민지 시대인가?

많은 나라 사람들이 한국을 부러워하고 박수를 보낼 때도 있지만 정작 한국사람들은 시큰둥하다. 미국의 오 바마 대통령도 얼마 전에 자신의 부모의 조국인 아프 리카의 한 나라를 한국과 비교하며 통탄했다. 그러면서 6.25 전쟁 직후 그 나라 보다도 못살았던 한국이 오늘날의 대한민국으로 발전한 원동력을 엄청난 교육열이라고 평했다.

그런데 많은 한국 사람들은 대한민국의 교육열을 병 이라고 평한다. 서울 강남 대치동에서 뿐만 아니라, 분당 에서도 대전에서도 거제도에서도 주문진에서도, 심지어 뉴질랜드에까지 와서도 열심히 공부하고 있는 한국의 10대들을 바라보며, 많은 사람들은 대한민국 교육이 중병에 걸렸다고 단언한다. 한창 재미있게 뛰어 놀 나이에 '공부에 찌들어 사는' 아이들을 안쓰럽게 여긴다.

오바마 대통령의 시각과 꽤 많은 한국 사람들은 어떤 관점의 차이를 갖고 있는 것일까? 저마다 인생관과 교육관이 다를 수 있지만 뒤집어 생각해보자.

만일 오바마가 미국 빈민가에서 다른 흑인 아이들처럼 재미있게 뛰어 노는 10대 시절과 젊은 날을 보냈다면 지금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 만일 우리 부모와 우리 세대가 재미있게 뛰어 노는 위주의 10대 시절과 젊은 날들을 보냈다면 과연 대한민국은 지금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

All pleasure must be bought at the price of pain. (모든 즐거움은 고통의 대가로 얻어져야 한다.) The difference between false pleasure and true is just this: for the true, the price is paid before you enjoy it; for the false, after you have enjoyed it. (거짓된 즐거움과 참된 즐거움의 차이는 바로 이것이다. 참된 즐거움을 위해서는, 즐거움을 즐기기 전에 대가가 지불 되어지지만, 거짓된 즐거움의 경우에는 후에 대가가 지불된다는 점이다.)

밤 늦게 까지도 공부하는 아이들을 너무 불쌍하다고만 여기지 말자. 아이들은 참된 즐거움을 누리기 위해 인생 에서 '마땅히 치러야 할 대가를 미리' 지불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열심히 대가를 지불할 대상이 꼭 공부일 필요는 없다. 어떤 경우는 수영일 수도 있고 춤일 수도 있고 요리일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인생의 어느 한 시기에 미래의 어떤 목표를 위해 치열할 정도의 열정을 기울인 경험 없이 여유로운 중년 이후의 삶이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

지금 그 대가를 지불하지 않으면 10년 후 20년 후에 그들이 치러야 할 대가는 20배 100배로 더 뼈저리게 그들을 짓누를 수도 있다. 인생의 고지서는 반드시, 늦게라도 날아오기 때문이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가지미와 바라미의 꿈(Ⅰ)

댓글 0 | 조회 2,885 | 2010.11.24
가지미와 바라미에게는 한 순간도 놓은 적이 없는 꿈이 있습니다. 그것은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아버지를 만나는 일입니다. 연년생인 가지미와 바라미의 아버지는 둘째… 더보기

숲 속의 나무처럼

댓글 0 | 조회 2,898 | 2010.11.10
햇빛을 좋아하는 양지 식물이 먼저 숲을 차지하였다. 양지 식물이 그늘지게 해주니까 햇빛을 싫어하는 음지 식물이 들어섰다. 또 음지 식물이 햇빛을 차단해주니까 습지… 더보기

마음으로 짓고 부순다

댓글 0 | 조회 2,748 | 2010.10.28
해는 땅에 있는 만물에게 차별을 두지 않고 고루 빛을 비춥니다. 다만 뭉게구름이 햇빛을 가리기도 하고 산과 골짜기가 음지를 만들기도 하고 큰 나무가 그늘을 만들기… 더보기

북한 사람들

댓글 0 | 조회 2,733 | 2010.10.13
바깥 세상으로부터 철저히 차단되어 살아온 북한 사람들은 헐벗고 굶주리면서도 지상낙원에 살고 있다고 말하던 때가 있었다. 라디오 주파수와 TV채널이 내부 소식만 들… 더보기

두 물방울 이야기

댓글 0 | 조회 2,787 | 2010.09.29
수많은 빗방울이 모여서 작은 도랑을 이루고 점점 큰물이 되어 시냇물이 되고 강물이 되어 흐르다가 바다에 이릅니다. 두 개의 물방울이 다른 물방울들과 함께 바다에서… 더보기

창조질서의 파괴

댓글 0 | 조회 3,095 | 2010.09.15
이 세상은 조화자체이다. 만물만상이 창조된 것은 조화의 조건에 의해 창조되었다. 무한한 우주에 있는 수많은 별 중에 지구라는 별에는 물과 공기가 있고 이웃한 태양… 더보기

여백(餘白)

댓글 1 | 조회 2,728 | 2010.08.25
여행에 필요한 것들을 배낭에 넣었습니다. 혹시 필요할 지 몰라 하얀 종이 한 장도 챙겨 넣었습니다. 배낭을 매고 길을 떠났습니다. 한참을 가다가 경치가 아름다운 … 더보기

보고만 있겠는가

댓글 0 | 조회 2,801 | 2010.08.11
낭떠러지 건너편 절벽 위에 예쁜 꽃이 피어있는데 젖먹이 아기가 꽃을 꺾으려고 꽃만 바라보고 엉금엉금 기어가고 있다. 그대로 두면 아기는 낭떠러지에서 떨어질 게 뻔… 더보기

물웅덩이(Ⅲ)

댓글 0 | 조회 2,592 | 2010.07.28
하늘을 떠돌던 구름이 빗방울 되어 땅에 떨어져서 물길을 만들며 흐르다 움푹 패인 곳이 있으면 웅덩이가 생깁니다. 웅덩이가 다 찰 때까지 물은 흐름을 멈추고 웅덩이… 더보기

물웅덩이 (Ⅱ)

댓글 0 | 조회 2,975 | 2010.07.14
물이 흐르다가 움푹 패인 곳이 있으면 흐름을 멈추고 그곳에 고여 물웅덩이가 생깁니다. 웅덩이에 물이 고이면 작은 웅덩이 세계가 생깁니다. 웅덩이 세계에는 가족들이… 더보기

솔직하고 용기 있는 사람들

댓글 0 | 조회 2,714 | 2010.06.22
꽤 오래 전 어느 스님이 돌아가시면서 “일생 동안 선남선녀의 무리를 속여서 하늘에 넘치는 죄업은 수미산을 지나친다”는 말을 남기셨습니다. 그 분은 근년에 드물게 … 더보기

시련과 축복

댓글 0 | 조회 2,575 | 2010.06.10
러시아의 문호 푸시긴은 ‘세상이 나를 속일지라도 슬퍼하지 않으리’ 하고 노래하였다. 세상이 나를 속이는 것일까? 사람은 세상을 살면서 한 순간도 놓치지 않고 오감… 더보기

시련과 축복

댓글 0 | 조회 2,663 | 2010.05.26
세상을 살다 보면 하는 일이 순조롭게 잘 이루어질 때도 있고 일이 꼬이면서 뜻한 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도 있다. 일이 뜻대로 잘 풀리면 복 받았다 하고 행복해 … 더보기

늑대소년 이야기

댓글 0 | 조회 4,094 | 2010.05.12
인도에서 실제로 있었던 이야기이다. 무슨 연유에서인지 태어나자마자 밀림에 버려져 늑대 젖을 먹고 자라서 늑대와 함께 살다가 11년 만에 구조된 소년이 있었다. 말… 더보기

금강산에 가봐야 금강산을 안다

댓글 0 | 조회 2,535 | 2010.04.28
한아름이와 공 모름이는 친구 사이인데 한 아름이는 평소 책 읽기를 좋아해서 다방면에 걸쳐 아는 것이 많았으나 공 모름이는 놀기를 좋아해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것이 … 더보기

하루살이와 매미와 나비

댓글 0 | 조회 5,029 | 2010.03.23
"세상에는 낮 밖에 없어.”하고 하루살이가 말하자 나무 위에서 노래하고 있던 매미가 말했다. “아니야, 세상에는 일곱 낮과 일곱 밤이 있어. 그리고 무더운 여름이… 더보기

큰 삶

댓글 0 | 조회 2,371 | 2010.03.09
자기와 가족만을 위한 삶은 세상 사람 누구나 사는 삶입니다. 그러나 이웃을 위해 사는 삶은 큰 삶입니다. 날씨가 흐려도, 마음이 슬퍼도, 언제나 이웃에게 따뜻한 … 더보기

어리석음

댓글 0 | 조회 2,029 | 2010.02.24
자기 속에 갇혀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하고 그것 밖에 모른다. 자기 삶에서 보고 듣고 경험한 것만 안다. 그것이 다인 줄 알고 그것만이 옳다 하고 그것을 내세우고 그… 더보기

마음과 골프

댓글 0 | 조회 2,197 | 2010.02.09
골프를 잘 칠 수 있는 비결몸은 마음먹은 것을 실현해주는 마음의 도구입니다. 물 한 잔 마셔야지 하고 마음먹으면 몸(팔과 손)을 움직여 주전자 물을 물잔에 부어 … 더보기

아프리카 초원의 사자

댓글 0 | 조회 2,512 | 2010.01.26
아프리카 초원에 사는 사자는 햇볕 속에서 맑은 물 마시고 맑은 공기 숨쉬며 산다. 배고프면 먹고 배부르면 쉰다. 자연 속에서 자연의 일부로 산다. 자연의 섭리대로… 더보기

흐르는 물

댓글 0 | 조회 2,167 | 2010.01.13
흐르는 물은 머물지 않는다. 흐르는 물은 시작도 끝도 생각하지 않는다. 흐르는 물은 빗방울 하나로 시작되었음 생각하지 않는다. 흐르는 물은 작은 도랑물이었음 생각… 더보기

모두 다 잘 사는데

댓글 0 | 조회 2,396 | 2009.12.09
자갈밭에 떨어진 씨앗은 그 곳이 메마르고 척박하여 줄기가 가늘고 잎도 작고 비틀어져 있으나 기름진 옥토에 떨어진 씨앗은 수분과 영양분이 풍부하여 줄기가 굵고 잎도… 더보기

닐 암스트롱

댓글 0 | 조회 2,644 | 2009.11.24
최초로 달에 인간의 발자국을 남긴 미국의 우주인 닐 암스트롱은 회고록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 적이 있다. '우주 공간에서 보니 지구는 푸른 색을 띤 아름다운 별이었… 더보기

장님 코끼리 만지기

댓글 0 | 조회 4,650 | 2009.11.11
장님들이 제각기 코끼리 몸의 한 부분만을 만져 보고는 자기가 만진 부분이 코끼리라고 우기는 이야기가 있다. 꼬리를 만져 본 장님은 코끼리가 '밧줄과 같다'고 하고… 더보기

하늘 뜻, 제 뜻

댓글 0 | 조회 2,678 | 2009.10.27
하늘이 만물만상을 내었다(창조하였다). 만상만물은 하늘 뜻(섭리, 순리)으로 나고 하늘 뜻으로 존재하고 하늘 뜻으로 소멸한다. 일체가 하늘의 뜻이다. 우주에 무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