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9] 영혼의 지팡이(Ⅰ)-마두금 연주를 듣다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69] 영혼의 지팡이(Ⅰ)-마두금 연주를 듣다

0 개 2,486 KoreaTimes
  거짓말처럼, 어미 낙타의 눈에서는 닭똥같은 눈물이 뚝뚝 떨어졌다. 그리고 아기 낙타를 품에 들이고 젖을 물렸다.

  며칠 전, 어미 낙타는 새끼를 낳았었다. 오랜 시간 난산 끝에 새끼를 뚝 떨군 어미 낙타는 푹 고꾸라진 새끼를 핥지도 않고 훌쩍 몇 걸음 도망치 듯 가 버렸다. 새끼는 비척거리며 일어나 어미의 품을 파고 들었다. 그런데 어미 낙타는 새끼를 매몰차게 외면하며, 빚쟁이 피하 듯 도망 다니기 바빴다. 지독한 산고를 치르면서 끔찍한 고통과 상처를 받은 어미 낙타는 새끼가 소름 끼치도록 미웠던 것이다.

  동물이 새끼를 낳는 장면은 항상 안타깝다. 언제 적이 공격해 올지 모르는 풀 숲에서, 바람 부는 초원에서, 물가에서, 그저 혼자 힘으로 새끼를 낳아야 한다. 더구나 사막의 모래 산 위에 길을 만드는 위대한 낙타의 긴 다리는 산도(産道)를 통과할 때 얼마나 큰 장애물일까. 오죽 큰 고통이었으면 모든 동물의 원초적 본능인 모성애마저 내버리고 싶었을까. 낙타 어미나 새끼 모두 가엾긴 마찬가지였다.  

  황량한 모래 바람이 부는 몽골에서 낙타 없는 생활은 생각하기 힘들다. 낙타는 사막의 어머니요, 사막의 배이며, 자동차다. 유목민들은 낙타 젖을 짜 먹기도 하고, 짐도 나르고, 교통 수단으로 두루두루 의존한다. 그런 낙타가 새끼를 낳으면 사람이 애 낳은 것보다 더 경사스럽다.그런데 어미가 젖을 안 먹이니 걱정이 이만 저만이 아니다. 어미 낙타의 마음을 돌리는 방법은 무엇일까?

  몽골의 유목민들은 마두금(馬頭琴)이라는 전통 악기를 연주한다. 이웃 마을의 촌로(村老)인 '낙타 심리 치료사'가 문제의 낙타와 만난다. 촌로는 아들에게 마두금을 켜게 한다. 마두금이 연주되는 허허로운 벌판에서 촌로는 어미 낙타의 얼굴을 어루만지며 무어라고 궁시렁궁시렁댄다. 아마  이런 말들이 아닐까.

  "새끼 낳느라고 고생 많았지? 내가 다 안다, 알고말고. 장하게도 예쁘고 건강하고 튼튼한 새끼를 낳았구나. 대단한 녀석이 나오려고 네가 그리 힘들었던 게야. 낙타야, 너는 이 세상에서 제일 대단한 일을 한 거야."

  어미 낙타의 큰 눈에서 눈물이 뚝뚝 떨어졌다. 그리고 비로소 새끼를 보듬고 핥아 주고 젖을 먹였던 것이다. 이상은 얼마 전 텔레비전의 동물 프로그램에서 소개된 몽골 지방의 낙타이야기였다. 눈물 흘리는 낙타 이야기는 몇 년 전 몽골 감독이 영화로 만들어 세계에 소개된 바도 있다.

  마두금은 몽골 전통 악기로 고작 두 줄짜리 자그만 현악기다. 충성스런 말이 죽으면서 주인에게 자신의 주검으로 악기를 만들라고 했다는 전설이 내려온다. 자신의 머리로는 울림통을 뼈로는 대를 털로는 줄을 만들어 켜면 아픈 영혼들의 상처를 치료할 수 있을 거라고. 그래서 악기의 윗 쪽에 말 머리가 조각되어 있고 마두금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두 다리 사이에 끼고 활로 긁어 소리를 내는 마두금이 어떻게 낙타의 마음을 치료했을까. 인터넷에서 마두금 연주곡을 찾았다. 나는 '단지 두줄짜리 아이들 장난감 같은 악기'라는 선입견을 가졌던 나의 경솔함을 탓했다. 나는 밤새 마두금 연주를 들었다. 소리는 자못 장중했고 애절하며 섬세했다. Matouqin Yunhu, Wind of Dream, The great earth, 사계라는 곡을 들었는데 곡마다 느낌이 달랐다. 해금, 첼로, 바이올린 소리와 비슷하나 어느 악기에서도 느낄 수 없는 맛이 있었다. 섬세하면서도 조잡하지 않았다. 현악기 특유의 날카롭게 신경줄을 건드리는 예민함도 없다. 몽골 초원의 광활함과 역동성이 느껴졌다. 유목민들의 우수와 바람처럼 허허로운 인생이 휙휙  바람처럼 내 곁을 스쳐 지나갔다. 그런데 연주가 끝나고 나면 아무 음률도 기억 나지 않았다. 무엇하나 가슴에 담아 놓지 말라는  것인가. 바람 같은 인생, 상처 뿐인 영광---그것이 인생이라고 마두금은 위로했고, 가슴은 허했다.

  나는 인간의 독점물이라고 생각했던 눈물을 낙타의 눈에서 보았다. 충격적이었다. 낙타의 눈물이 시시때때로 떠올랐다. 과연 어미 낙타는 마두금의 연주에서 무엇을 느꼈을까. 마두금의 선율이 아기 낙타 울음 소리 같아서 어미 낙타가 통한의 눈물을 흘렸을지 모르지만, 그랬을지도 모르지만---, 모르지만---.

  영혼의 상처는 저절로 치료되기 어렵다. 상처의 깊이에 걸 맞는 위로와 용서가 있지 않고서는. 어미 낙타가 죽을 것 같은 고통을 주었던 새끼를 용서할 수 있었던 것은 다름 아닌 '위로'가 아니었을까. 자신의 상처를 알아봐 주고 진심으로 어루만져 주는 위로, 그것은 몽골 벌판에서 바람과 같이 한 평생을 살아온 촌로(村老)만이 할 수 있는 것이었다. 모든 것은 바람 속 티끌처럼 사라지는 것이니라, 아파하지 말아라, 고통에 목매지 말고 그저 바람처럼 자유롭게 떠돌아라. 고통은 영혼의 지팡이니라. 고통이 있음으로 너는 설 수 있는 것이다. 낙타는 촌로와 마두금의 위로에서 그런 깨달음을 얻은 것이 아닐까?

Blue Ocean에 뛰어들어라

댓글 1 | 조회 3,612 | 2010.01.12
오클랜드 시내, 골목 모퉁이에 호떡 집이 있다. 그 집에 가면 항상 줄을 서서 호떡이 노릇하게 익어가기를 기다려야 한다. ‘호떡 집에 불났다’라는 표현이 딱 실감… 더보기

무지개 나라

댓글 1 | 조회 2,772 | 2009.12.22
2010년 월드컵이 남아프리카 공화국(이하 남아공)에서 개최된다. 뉴질랜드는 11월 14일, 바레인과의 예선전에서 1대 0으로 승리하면서 본선 진출이 확정됐다. … 더보기

화양연화 (花樣年華)

댓글 3 | 조회 3,342 | 2009.12.08
나는 내 목적지가 어딘지 모른다. 나는 무시로 떠나고 싶었다. 그런 마음은 수년 전부터 더욱 심해졌다. 세상의 부대낌과 다람쥐 쳇바퀴 도는 듯한 일상이 견디기 어… 더보기

Spring In The Box

댓글 1 | 조회 2,674 | 2009.11.24
내가 이사 간다고 하자 친구 S는 대뜸 이렇게 말했다. “치커리는 어떡하구---.” 그녀가 어디선가 얻어다가 내 집에 심어 주었던 치커리는 흔히 구할 수 있는 종… 더보기

Ball Boy

댓글 1 | 조회 2,479 | 2009.11.10
봄인데 전혀 봄날 같지 않은 날씨군요. 식구들이 온돌 매트에 등 바닥을 붙이고 좀처럼 일어나지를 않네요. 따끈한 생강차에 꿀을 한 술씩 타 먹인 후 등 떠밀어서 … 더보기

이방인

댓글 1 | 조회 2,526 | 2009.10.27
카뮈의 '이방인'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주인공 뫼르소는 동료의 싸움에 휘말려 불량배 한 명을 사살하게 된다. 뫼르소는 법정에서 '태양 때문에 사람을 죽였다'… 더보기

Open Home ; 두 번째 이야기

댓글 0 | 조회 2,857 | 2009.10.13
수선화에 이어 모란과 벚꽃이 피었다. 붉은 철쭉도 피었다. 뒤란의 수국은 새 잎이 푸른 구름 모양 둥실둥실 돋아났다. 꽃들이 앞다투어 피고 지는 동안 우리도 다퉜… 더보기

Open Home ; 첫 번째 이야기

댓글 0 | 조회 3,043 | 2009.09.22
9월이 오는 소리, 봄이 오는 소리가 들리기가 무섭게 집을 내놓기로 했다. 한국에 있을 때, 구조가 모두 똑같고 가격대도 고만고만한 아파트만 두 어 번 거래 해 … 더보기

너희가 삼합(三合)을 아느냐

댓글 3 | 조회 3,575 | 2009.09.08
가로등도 가물가물 졸고 비는 부슬부슬 내리는 밤에 나는 가만히 누워 있다가 침을 꼴깍 삼켰다.‘그 녀석이 참 그립군.’어느 환절기의 밤, 마침 딱 맞게 익어 걸러… 더보기

3무(無)의 나라

댓글 2 | 조회 2,715 | 2009.08.25
어느 날 거실에 걸려 있는 동그란 벽 시계를 물끄러미 바라보았다. 초침이 정확히 60번 움직이면 분침이 어김없이 1분을 가 줄까? 사실이었다. 그런데 초침은 약간… 더보기

The Gold Rush

댓글 1 | 조회 2,644 | 2009.08.11
입안에서 딱딱하고 까슬까슬한 것이 씹혔다. 꺼내보니 금붙이였다. 이게 어디서 나왔지? 나는 입을 벌리고 거울을 보았다. 금으로 때웠던 어금니가 뻥 뚫려 있었다.7… 더보기

진정한 리더

댓글 1 | 조회 2,278 | 2009.07.29
2002년 독일 월드컵 때 대한민국은 4강에 진출했었다. 오클랜드의 내 친구들은 한 집에 모두 모였다. 감동의 순간을 동시대인으로서 함께 공유하면서 벅찬 감정의 … 더보기

베짱이에 관한 오해

댓글 1 | 조회 2,493 | 2009.07.15
뉴질랜드 경제가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 6월 26일, 정부 발표에 따르면 올 일분기(3월31까지) 실업률이 5%에 육박했다.국내 총생산(GDP)도 전 분기 대비 … 더보기

무서운 돼지

댓글 0 | 조회 2,939 | 2009.06.23
<TV One 캡쳐 화면>영국의 동화 작가 Roald Dahl의 'The Pig (from Dirty Beast)' 중에 등장하는 돼지는 무지무지 똑똑… 더보기

블라인드 코너(Blind Corner)

댓글 0 | 조회 2,723 | 2009.06.09
우리는 아름다운 이 세상에 소풍을 나온 것일까? 일찍이 천상병 시인은 그의 시 '귀천(歸天)'에서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내는 날, (하늘로)가서, 참으로 아름… 더보기

별 일도 아니네

댓글 1 | 조회 2,644 | 2009.05.26
부부는 전생에 원수였다고 한다. 살다보면 상대방의 터럭 하나, 뒤통수, 그림자 조차 보기 싫을 만큼 오만 정(情)이 다 떨어질 때도 있다. 부부싸움은 '칼로 물베… 더보기

김밥과 Sushi

댓글 7 | 조회 4,541 | 2009.05.12
9년 전, 시내 아파트에 살고 있을 때 다운타운 쇼핑 센터는 나의 산책 코스였다. 쇼핑센터 일층 뒤쪽에는 스시 집이 있었는데, 그 앞을 지날 때면 항상 해물과 생… 더보기

닥터 지바고의 발자국

댓글 1 | 조회 2,873 | 2009.04.28
나이를 먹어 가면서 입꼬리가 축 처져 내리는 것은 피부가 탄력을 잃어서일까, 뉴톤의 중력 법칙이 사뭇 입꼬리에만 작용해서일까? 어린 아이들은 '까꿍' 한 번에도 … 더보기

제로 섬 게임(Zero Sum Game)

댓글 2 | 조회 3,001 | 2009.04.16
예상대로 뉴질랜드 이민 문호가 다시 열릴 것이라고 한다. 별 뾰족한 수가 없지 않은가. 경기침체가 계속되고 실업률은 증가하고, 기댈 곳이라고는 돈 싸 짊어지고 들… 더보기

도대체 누가?

댓글 0 | 조회 2,756 | 2009.03.24
그리스의 조각가 피그말리온은 여자 한 번 만나지 못하고 외롭게 지내던 중, 대리석으로 자신의 여인을 조각한다. 그는 그 조각상을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으로 … 더보기

시간이 없다!

댓글 0 | 조회 2,427 | 2009.03.10
일본의 거장 구로자와 아키라 감독은 자신이 꾸었던 꿈을 소재로 '꿈(こんな 夢を 見た)'이라는 영화를 만들었다. 8편의 단편 영화로 이루어진 '꿈'은 저마다 인상… 더보기

내 마음 색동옷 입혀 웃고 울고 지내고저

댓글 1 | 조회 2,576 | 2009.02.25
잠이 오지 않아 뒤척이는 밤에 나는 깨닫는다. 나는 참 바보구나, 그리고 참 나쁜 사람이구나! 어디서부터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모르겠으나 나는 많은 사람들 가슴에 … 더보기

Runner's High

댓글 1 | 조회 2,544 | 2009.02.10
상식적으로 생각하자면 겨울날에는 먹을 것이 귀하기 마련이다. 과일도 야채도 해산물도---. 그래서 동물들은 겨울이 오기 전에 잔뜩 먹고 새로운 먹거리가 돋아나는 … 더보기

女幸 프로젝트

댓글 0 | 조회 2,604 | 2009.01.28
세상 참 많이 좋아졌구나! 한국에 와 있는 두어 달 동안 나는 이런 생각을 자주 했다.편리함, 섬세한, 친절함이 사회 구석구석에 튼실한 뿌리를 내리고 있는 중이었… 더보기

끽다거 그리고 점다래

댓글 0 | 조회 2,705 | 2009.01.13
내가 지리산 자락 화개(花開)에 머무른 것은 잘한 일이었다. 화개 버스 정류소에 가면 구례, 하동, 부산, 남해, 서울 가는 버스들이 시간 맞춰 들어온다. 나는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