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주택 관리 2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겨울철 주택 관리 2

0 개 2,725 코리아포스트
비가 자주 오는 뉴질랜드의 겨울은 누수 주택 문제가 뉴스의 큰 부분을 차지 할 정도로 중요한 일이다. 주택 소유자는 이 문제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관리해야 하고 새로 집을 사려는 사람도 이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누수문제는 2000년 이후로 집 관리, 주택 신축 또는 부동산 매매 등 주택과 관련된 모든 업무에 경종을 울리는 큰 이슈가 되었다. 많은 주택 소유주들이 누수문제로 개발업자, 빌더, 설계사, 카운슬 등과 법정싸움을 벌이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전담부서를 설치하고 있지만 책임소재, 정확한 진단, 재 공사비용, 시공업자 선정 등의 문제가 있어 결국은 주택 소유자에게 정신적 고통과 재산상의 손실을 안겨주는 결과가 대부분이다.

어떤 대비책이 있을까?

이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려면 주택을 구입할 때 계약서에 전문가의 진단 (Builder/Specialist’s Inspection) 조건을 반드시 첨부하여 계약한다. 이것은 새로 지어진 집을 살 때도 해당된다.

기본적으로 누수 가능성을 확인하는 방법은 지붕의 형태, 처마(Eaves), 발코니의 유무, 외장재의 견고성, 창이나 문 주변에서 건물 내부로 빗물이 스며들어 오는 것을 막는 장치 (Flashings)의 장착 여부 등을 살펴 봄으로써 일차적인 진단을 할 수 있다.

평평한 옥상 형태의 지붕은 뾰족한 형태의 지붕보다 누수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방수처리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처마가 적당한 넓이로 벽에서 떨어져 있을수록 안전하다. 이층에 있는 발코니가 그 아래쪽의 지붕 역할을 하는 있는 구조 일 때 누수가 될 확률이 크다.

주택의 외장은 벽돌, Weather Board, 플라스타 등으로 마감되어 있다. 각 외장재 마다 규정과 그에 맞는 부 자재와 공법이 있고 공사 시 단계별 인스펙션이 있으므로 대개는 이상이 없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관리를 소홀히 하여 누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전문적인 누수 체크 방법으로는 습도 탐지기(Moisture Detector), 적외선 탐지기(Infrared thermography)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건물 내부의 습도와 누수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누수가 확인되는 경우 벽을 뜯어보면 벽안쪽에 있는 목재가 시커멓게 썩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상태가 되면 건물의 한 부분을 지탱하는 힘이 약해져 심하면 건물이 무너질 수도 있는 아주 위험한 상태에 이른 것으로 신속한 수리가 요구된다.

가장 좋은 방법은 주택 구입시 누수문제를 진단해줄 전문적인 중개인의 도움을 받는 것과 누수가 되고 있거나 가능성이 있다고 확인되면 그 주택의 구입은 과감히 포기하는 것이 현명하다. 현재 살고 있는 집에 누수 문제가 있다면 신속히 전문가의 진단을 받고 수리하여야 한다. 집은 우리의 몸과 같아서 작은 문제가 있을 때 손을 쓰지 않으면 결국 큰 병을 치료하여야만 한다. 처음부터 제대로 된 집 선택과 꾸준한 관리 만이 문제의 요인과 재산의 손실을 막는 방법이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빌더스 인스펙션의 허와 실

댓글 0 | 조회 2,527 | 2011.10.26
주택 매매를 할 때에 계약이 체결된 후에 취소가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로 최근에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일… 더보기

전원일기 (Ⅲ)

댓글 0 | 조회 2,379 | 2011.10.12
5. 양의 관리또한 양에 대한 관리도 필수적이다. 가지고 있는 땅의 넓이에 따라 적당한 수의 양을 키우는데 양이 풀을 뜯어 먹어 주기 때문에 전체 땅에 잔디를 깎… 더보기

전원일기 (Ⅱ)

댓글 0 | 조회 2,339 | 2011.09.28
지난 호에 이어서 전원주택 구입시 자세히 확인하여야 할 사항과 전원주택에서 살게 될 때 실제 생활에서 부딪히게 될 여러 가지 일과 주의점에 대하여 알아 보도록 하… 더보기

전원일기 (Ⅰ)

댓글 0 | 조회 2,440 | 2011.09.14
대부분 고층 아파트가 주를 이루는 도시에서 살아왔던 우리 교민들에게 뉴질랜드의 단독주택은 전원일기를 보면서 느꼈던 전원주택에 대한 동경을 어느 정도 만족시켜 준다… 더보기

돈 되는 집 (Ⅰ)

댓글 0 | 조회 4,560 | 2011.08.24
이번 호에서는 돈 되는 집 즉 투자가치가 있는 집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다. 특별히 투자용 주택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현재 살고 있는 집 혹은 단순 주거용 주… 더보기

겨울철 부동산 전략 (Ⅱ)

댓글 0 | 조회 2,516 | 2011.08.09
지난 호에 이어서 이번 호에서는 집이 팔리는 과정 중의 마지막 단계로 광고나 집의 외관을 통해 관심을 갖게 된 고객이 집안을 살펴 보고자 하는 3차 매도 단계로 … 더보기

집을 팔기 위한 준비 (Ⅰ)

댓글 0 | 조회 2,502 | 2011.07.26
매년 이맘때쯤 되면 춥고 비가 많이 온다. 이러한 계절적 요인 때문에 겨울철에는 경기까지 위축이 되어 전통적으로 부동산 시장에 한파가 분다. 그러나 그렇다고 집을… 더보기

Under the floor (Ⅱ)

댓글 0 | 조회 2,077 | 2011.07.13
지난 호에 이어서 마루 바닥의 공간을 관리하는 요령을 알아 보겠다.2. 단열재 집의 바닥에는 보통 perforated aluminium foil 로 단열공사가 되… 더보기

Under the floor (Ⅰ)

댓글 0 | 조회 2,328 | 2011.06.29
대부분 방갈로나 빌라 스타일의 집과 그리고 스타일은 다르나 지어진 지가 오래된 집들 중에는 집의 기초가 콘크리트로 되어 있지 않고 집을 지표면에서 일정 높이만큼 … 더보기

플라스타 하우스에 대한 잘못된 이해 (Ⅰ)

댓글 0 | 조회 3,302 | 2011.06.14
플라스타 홈하면 누수의 위험이 크다거나 주택의 유지, 보수에 어려운 점이 많이 있다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어 부동산 시장에서 가장 팔기 어려운 집으로 인식되… 더보기

Renovation Boom

댓글 0 | 조회 2,140 | 2011.05.26
주택시장이 그다지 좋지 않았던 지난 2-3 년 동안 주택의 신축이 뜸해져 주택의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이 점점 누적이 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이유로 주택 가격… 더보기

건설업계의 인력난

댓글 0 | 조회 2,594 | 2011.05.11
2007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부동산 경기가 활발하지 못하다. 이로 인해 많은 건축과 건설, 부동산 관련 직업을 갖고 있던 사람들이 다른 직종으로 바꾸거나 호주 등… 더보기

자연재해와 국내 외 정세 변화 그리고 부동상 동향(Ⅱ)

댓글 0 | 조회 2,795 | 2011.04.27
지난 호에 이어 계속되는 자연재해와 국내외의 정세가 부동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3. 각종 비용의 증가4월 1일부터 최저 임금이 인상되었다.… 더보기

자연재해와 국내 외 정세 변화 그리고 부동상 동향(Ⅰ)

댓글 0 | 조회 2,861 | 2011.04.12
하루 밤을 지나고 나기가 무섭게 지구촌 곳곳에서 연일 자연재해가 일어나고 있는 요즈음이다. 크라이스트처치의 충격이 계속되고 있는 즈음 다시 일본 발 지진과 쓰나미… 더보기

지붕 관리 요령(Ⅰ)

댓글 0 | 조회 2,609 | 2011.03.22
금새 여름인가 하더니 아침 저녁으로 제법 찬바람이 불어 오고 있다. 여름이 가고 다시 가을로, 겨울로 계절이 바뀌고 있다. 매년 우기로 접어 들면 가장 흔히 일어… 더보기

지붕에서 물이 새는 가장 흔한 경우들(Ⅱ)

댓글 0 | 조회 9,800 | 2011.03.08
지난 호에 이어서 지붕에서 물이 새는 여러 경우들을 살펴 보겠다.6. 지붕의 구조적 문제점지붕은 크게 평지붕(flat roof)와 경사가 있는 보통의 지붕(pit… 더보기

지붕에서 물이 새는 가장 흔한 경우들(Ⅰ)

댓글 0 | 조회 3,903 | 2011.02.22
며칠 전 강한 바람을 동반한 비가 내리면서 지난 약 10년간 아무 이상이 없던 집들에서 물이 새는 일들이 발생한 경우가 많이 있었다. 해마다 이런 경우가 발생이 … 더보기

렌트 집이 모자란다

댓글 0 | 조회 2,883 | 2011.02.09
연말, 연시에 렌트 집을 구해서 새로 이사해 본 사람들은 최근 렌트 집 구하기가 얼마나 힘들고 까다로운지 경험했을 것이다. 집을 팔 때에 주로 하는 오픈 홈을 하… 더보기

긴 터널의 끝은 어디인가?

댓글 0 | 조회 2,292 | 2011.01.25
지난 2007년 말 미국의 Sub-prime mortgage 사태 이후로 전세계에 불어 닥친 불경기가 좀처럼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특히 건축과 부동산… 더보기

One for all and all for one

댓글 0 | 조회 2,076 | 2011.01.14
지난 해 11월1일 One city one council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가지고 역사적인 거대 오클랜드 카운실이 출범하였다. 이제 막 한 달이 지나고 있는데 … 더보기

2011년 컬러 트렌드(Ⅱ)

댓글 0 | 조회 2,894 | 2010.12.22
지난 호에 이어서 건축 혹은 인테리어와 관련하여 내년에 유행할 컬러의 트렌트를 계속해서 알아 보겠다.자연을 강조하는 색.시골 풍의 느낌과 자연 그대로의 상태에 대… 더보기

2011년 컬러 트렌드(Ⅰ)

댓글 0 | 조회 2,633 | 2010.12.07
집을 짓거나 고칠 경우에 가장 힘든 일 중 하나가 집 내, 외부의 색을 고르는 것이다. 새집인 경우에는 쉽게 페인트 칠하는 분들께 조언을 구하는 경우도 있고 각자… 더보기

Home Energy Rating Scheme

댓글 0 | 조회 2,155 | 2010.11.24
이번 호에서는 최근 정부에 의해 새로 만들어진 Home Energy Rating Scheme 즉 주택의 열 효율 프로그램에 대하여 알아 보겠다. 매년 겨울철의 엄… 더보기

‘이 백만 불짜리 동네’의 탄생 - Herne Bay

댓글 0 | 조회 3,185 | 2010.11.10
오클랜드에 한 동네 안에 있는 전체 집들의 가격이 최소 백만 불 이상이 되는 지역을 두고 말하는‘백만 불짜리 동네’가 생긴 것은 그리 오래 된 일이 아니다. 그러… 더보기

뉴질랜드가 팔리고 있다

댓글 0 | 조회 2,873 | 2010.10.27
뉴질랜드의 농장을 사기 위해서 해외 투자자들이 줄을 서 있다. 해외 투자자들의 국내 부동산 투자 허가 기관인 OIO (Overseas Investment Offi…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