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터널의 끝은 어디인가?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긴 터널의 끝은 어디인가?

0 개 2,279 NZ코리아포스트
지난 2007년 말 미국의 Sub-prime mortgage 사태 이후로 전세계에 불어 닥친 불경기가 좀처럼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특히 건축과 부동산 경기는 각 나라마다 다소 차이는 있지만 여전히 바닥에서 벗어나질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뉴질랜드는 경기회복의 불투명과 달러의 강세 그리고 각종 세제 개혁으로 인해서 더욱 앞날을 점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정부는 연일 각종 지표를 발표하며 경기가 차차 회복되고 있음을 국민들에게 홍보하여 소비 및 투자심리를 회복시키려 노력하고 있으나 실제 국민들이 느끼는 상황은 정부의 발표와는 다른 모양이다. 쇼핑이 한창일 연말, 연시에도 불구하고 쇼핑몰의 주차장 풍경은 예전 같지가 않았다.

최근 발표된 경제분석에서는 내년의 부동산 및 건설 경기의 전망을 흐리게 하고 있다.

BNZ경제 연구소의 선임 연구원인 Stephen Toplis는 집값의 변동과 주택건설 경기를 예측하는 방법으로 가장 중요한 지표가 되는 것이 주택 매매 건수라고 한다. 그런데 2010년의 주택 매매 건수는 2009년에 비해서 15% 정도 줄었으며 지난 20년 동안의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발표하였다.

주택매매 시가 총액도 집값의 하락과 더불어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는데 지난 해는 전년도에 비해서 약 3.5% 하락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부동산 투자를 통한 이익창출에 대한 기대치가 떨어지며 부동산 투기꾼들 및 투자자들과 실수요자들까지도 부동산 시장을 떠나게 만들고 있다.

또 다른 지표로는 건축허가 건수인데 지난 해 하반기 허가 건수는 상반기에 비해 무려 24%나 줄어 들었다. 이는 향후 경기 회복이 진행이 되는 시점에서 주택의 공급부족으로 인한 주택가격의 가파른 상승을 예고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연간 1% 혹은 약 44,000명의 인구증가를 예상할 때 신축 주택의 공급은 약 18,000정도가 안정적인데 최근 몇 년간의 주택 공급은 연간 약 14,000 - 16,000 수준에 머물고 있다. 매년 약 2,000 - 4,000 정도의 주택이 부족하다는 통계이다.

Goldman Sachs의 경제학자 Philip Borkin은 다음과 같은 요인 때문에 건설 분야의 경기가 침체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고 했다.

하나는 세금제도의 변화이다. 양도 소득세의 추진, 감가상각 비용처리 제외 등 부동산 투자에서 그 동안 누렸던 각종 세제 혜택이 없어지면 투자 메리트가 없어지기 때문에 많은 투자자들이 부동산 시장을 떠나고 있다.

다음은 소비자 또는 주택 구매자의 소비행동의 변화이다. 불경기가 지속되면서 소비자들이 융자금 상환에 대한 자신감을 상실하여 융자를 이용한 적극적 투자를 회피하고 있다. 안전하고 보수적이며 절제된 소비행동으로 불경기에 대처하고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요인으로는 지난 2000년 초반 이후 급격히 상승한 주택 가격은 이미 국민들의 평균 임금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에 머물러 있으므로 주택의 구입 혹은 부동산 투자를 포기한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과 같이 불경기가 지속되는 기간의 부동산의 매매 시점은 외적인 요인도 중요하지만 구입자금 현황과 이사를 해야 하는 개인적인 이유를 잘 고려하여야 하며 매스컴의 발표나 타인의 의견에 부화뇌동하지 않기를 당부한다. 기본적으로 경기의 전반적인 회복이 없는 상황에서 부동산이나 건축 경기만 좋아진다고 믿는 것은 일종의 환상으로 밖에는 볼 수 없기 때문이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범죄기록과 비자취득

댓글 0 | 조회 3,196 | 2009.11.09
비자와 퍼밋의 차이점을 간략히 설명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비자는 뉴질랜드의 국경 밖에서 받고 들어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입국심사시 비자 (또는 비자면제협정이 … 더보기

취업비자 (3)

댓글 0 | 조회 3,055 | 2009.10.26
지난 2회에 걸쳐 어떤 특정한 신청인을 위한 취업비자의 승인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호에선 고용주가 미래의 불특정한 고용인을 위해 이민성에서… 더보기

취업비자(2)

댓글 0 | 조회 3,046 | 2009.10.12
지난 호에선 신기술이민으로 영주권을 취득하기 위해 필요한 높은 영어점수의 대안으로 떠오른 취업비자와 이민법에서 의미하는 ‘고용’의 정의와 함께 어떤 종류의 취업비… 더보기

취업비자 (1)

댓글 0 | 조회 3,830 | 2009.09.21
지난 호까지 뉴질랜드 시민권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호에선 수 년 전부터 이민자들의 선망의 대상으로 떠오른 취업비자(Work Visa)에 대… 더보기

출생자녀의 시민권

댓글 0 | 조회 3,277 | 2009.09.07
이 번호에선 뉴질랜드에서 출생한 자녀의 뉴질랜드 시민권(이하 ‘시민권’) 취득을 위한 조건은 무엇인지 또한 2006년 1월 1일 이후에 출생한 자녀의 체류문제는 … 더보기

시민권 승인 (Ⅱ)

댓글 0 | 조회 3,804 | 2009.08.24
구법의 적용을 받아 뉴질랜드 시민권을 취득하기 위해선 반드시 영주권의 취득 또는 영주권의 신청이 2005년 4월 21일 이전에 이루어 졌어야 합니다. 구법 또는 … 더보기

시민권 승인

댓글 0 | 조회 4,312 | 2009.08.10
본 칼럼은 전화상담을 바탕으로 일반적으로 궁금해 하시는 뉴질랜드 국적 (이하 ‘시민권’) 취득에 대한 내용을 담았습니다. 시민권을 취득하는 길은 크게 출생, 승계… 더보기

평생 영주권(Indefinite RRV)

댓글 0 | 조회 5,023 | 2009.07.27
영주권을 취득하였으나 사업상 또는 개인적인 사정으로 뉴질랜드에 바로 정착할 수 없는 경우 취득한 영주권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이… 더보기

이민신청서 작성시 유의사항

댓글 0 | 조회 4,104 | 2009.07.15
다양한 사유로 인해 퍼밋의 기간이 끝나 불법체류자가 된 경우 이민법 제35A조항에 의거하여 신청서를 제출할 수 있음을, 하지만 퍼밋이 유효한 경우와 달리 여러 면… 더보기

비자(Visa) vs 퍼밋(Permit)

댓글 0 | 조회 3,757 | 2009.06.24
이번 호에서는 뉴질랜드 입국을 위해 취득하게 되는 비자와 입국심사를 통해 비자와 같은 조건으로 퍼밋을 받게 되는데 과연 비자와 퍼밋은 어떻게 다른지 그 차이에 대… 더보기

불법체류자의 인권과 권리

댓글 0 | 조회 2,796 | 2009.06.10
2007년 2월 11일 새벽 전남 여수출입국관리사무소 3층에서 방화로 보이는 화재가 발생하여 구금돼 있던 외국인 9명이 현장에서 사망하고 20여명이 중경상을 입는… 더보기

옴부즈맨 제도를 활용하자

댓글 0 | 조회 3,339 | 2009.05.26
옴부즈맨제도(Ombudsman)를 이민신청과 관련하여 적절히 활용하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하는데 정작 '옴부즈맨'이라는 용어부터 생소한 독자가 있으실 줄… 더보기

변호사도 이민업무를 합니까?

댓글 0 | 조회 3,079 | 2009.05.14
"변호사도 이민업무를 합니까?" 필자가 이민관련 업무를 한다고 하면 가끔 받는 질문입니다. 이민업무는 이민대행업을 하는 이민컨설턴트의 고유업무라 생각하시는 분이 … 더보기

단기 체류허가의 연장

댓글 0 | 조회 3,117 | 2009.04.29
이번호에선 단기 체류허가(취업/학생/관광/가디언 등)의 연장시 주의할 점들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보실 수 있습니다. 구비서류뉴질랜드에 도착하여 처음으로 단기체류허… 더보기

이민수속의 투명성

댓글 0 | 조회 3,173 | 2009.06.30
서류신청을 본인이 직접 하지 않고 대행을 통해 접수한 경우 서류진행의 투명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다름 아닌 개인정보 보호법(Privacy Act 1… 더보기

Bucket List

댓글 0 | 조회 1,712 | 2013.09.11
‘버켓리스트’라는 말은 중세에 교수형을 집행할 때 양동이를 바닥에 엎어 놓고 올라서서 목을 줄로 맨 뒤 양동이를 발로 차 버려서 목숨을 끊었… 더보기

옥션 Q & A(Ⅴ)

댓글 0 | 조회 1,950 | 2013.08.27
옥션 Q & A의 마지막 호로 옥션 혹은 옥션 후의 매매과정을 알아 봄으로써 5회에 걸쳐 알아 본 옥션에 대한 기사를 마무리한다. 3. On sale 바이… 더보기

옥션 Q & A(Ⅳ)

댓글 0 | 조회 1,672 | 2013.08.13
지난 호에 이어서 Pre-auction offer가 진행될 때의 집주인의 입장은 어떠한지 알아보고 이어서 옥션 당일 날의 상황은 어떻게 펼쳐지는지 알아 보겠다. … 더보기

옥션 Q & A(Ⅲ)

댓글 0 | 조회 1,523 | 2013.07.24
Pre-auction offer 중 바이어의 입장에 대해서 지난 호에 이어서 알아 보겠다. 2. 집주인이 오퍼를 받아들이겠다는 의사를 표시해도 옥션을 반드시 진행… 더보기

옥션 Q & A(Ⅱ)

댓글 0 | 조회 1,689 | 2013.07.10
Pre-auction offer 옥션 광고를 보면 옥션 날짜 다음에 unless sold prior라는 문구를 볼 수가 있다. 이는 옥션 날 전이라도 만족스러운 … 더보기

옥션 Q & A(Ⅰ)

댓글 0 | 조회 1,639 | 2013.06.26
통계에 의하면 최근 주택매물의 약 30%가 옥션으로 리스팅이 되고 있다. 예전에는 값을 매기기 어려운 고급 주택이나 특별히 급하게 팔아야 하는 주택의 경우에 행해… 더보기

자가진단(Ⅲ)

댓글 0 | 조회 1,847 | 2013.06.12
지난 호에 이어서 겨울의 단골손님인 누수와 집안의 습기에 관련된 자가 진단법을 계속해서 살펴 보겠다. 대개 누수문제라 하면 집의 외부로부터 빗물이 집안으로 스며드… 더보기

자가진단(Ⅱ)

댓글 0 | 조회 2,258 | 2013.05.28
지난 호에 이어서 겨울의 단골손님인 누수와 집안의 습기에 관련된 자가 진단법을 살펴 보겠다. 대개 누수문제라 하면 집의 외부로부터 빗물이 집안으로 스며드는 것을 … 더보기

자가진단(Ⅰ)

댓글 0 | 조회 1,814 | 2013.05.14
춥고 습한 긴 겨울이 시작되었다. 비가 안 와서 땅이 갈라지고 식수가 부족할까 걱정하던 여름이 어느덧 day light saving (summer time)이 해… 더보기

기러기의 비행(Ⅱ)

댓글 0 | 조회 2,104 | 2013.04.23
지난 호에 이어서 현 주택시장의 특징을 살펴 보겠다. 자두 나무에 자두가 열리면 달콤한 냄새를 풍기며 익게 된다. 영리한 사람들은 달콤한 냄새가 시작 될 때 다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