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컬러 트렌드(Ⅱ)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2011년 컬러 트렌드(Ⅱ)

0 개 2,877 NZ코리아포스트
지난 호에 이어서 건축 혹은 인테리어와 관련하여 내년에 유행할 컬러의 트렌트를 계속해서 알아 보겠다.

자연을 강조하는 색.

시골 풍의 느낌과 자연 그대로의 상태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각 생활용품의 촉감이나 색이 조금은 거칠게 느껴져도 자연에 가까운 느낌을 주는 것들이 유행한다. 매끈한 실크와 같은 세련된 느낌보다는 투박한 털실의 느낌이 더 가까워질 것이다. 자연이 강조되면서 초록색 종류의 색이 가장 많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초록과 파란색들의 주변 색들이 많이 유행할 것이다.

전 세계가 서로 교통 한다.

해외 여행이 점점 일반화되고 인터넷의 발달로 전 세계가 더 가까워 지면서 각국의 전통적인 색들이 전 세계에 골고루 퍼지면서 이제는 한 곳에 고립된 전통이 아닌 전 세계가 공유하는 색으로 일반화된다.

자원의 재활용이 색에도 도입된다.

전 세계가 지구를 보호한다는 거대한 차원에서 물건의 재활용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맞추어서 과거에 사용되었던 일상 용품들이 적극적으로 재활용 되고 있다. 과거의 미술품들이 유행하고 가구, 악세서리, 가방, 옷 등이 다시 이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과거에 유행하던 색들이 다시 널리 퍼지고 있다.

새로운 색의 창조는 느려지고 한번 유행된 색들은 오래도록 사용된다.

사람들의 선호도는 구식과 신식을 구분하기 보다는 개성에 맞추어서 정해질 것이다. 전통을 중요시 여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기계문명의 급격한 발달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늘어남에 따라 늘 새로운 것에서만 유행을 찾지는 않을 것이다. 복고풍에 대한 선호도가 꾸준히 증가하고 급격한 유행의 변화 보다는 현재 혹은 과거의 유행이 오래도록 유지될 것이다.

다음으로는 각각의 주요 색들에 대한 기호의 변화를 살펴본다.

대표적 색상 중 하나인 빨간 색은 짙고 강한 종류의 다양한 색으로 많은 장식품에서 사용될 것이다. 부드럽고 감미로운 색인 분홍색이 밝은 색을 선호하는 사람들에게 짙은 빨간색을 대신해서 많이 사용될 것이다. 시골 풍을 찾는 사람들에게는 오렌지 색이 유행할 것이다.

파란색은 강렬한 파란색에서부터 회색과 검은색에 이르는 다양한 변화로 널리 사용될 것이다. 하늘색이라 표현되는 밝은 파란색은 상쾌함과 희망을 느끼게 하며 어두운 파란색은 따뜻한 느낌을 준다. 파란색과 은색을 결합하여 고급스러운 모던함을 표현하게 될 것이다.

보라색 역시 짙은 색으로부터 바랜듯한 보라색까지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것이며 전통적으로 따뜻한 느낌을 주는 색으로 그 인기를 계속 유지할 것이다.

갈색 계통의 색들이 그 동안 인기를 많이 누렸던 회색을 대신할 것으로 보인다. 갈색, 베이지색 등이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색으로 많은 각광을 보일 것이다. 햇볕에 바랜듯한 색이 여전히 인기를 끌 것이다.

흰색 계통은 단순하면서도 순수한 느낌을 주는 색으로 그 유행에 큰 변화는 없을 것이다.
뉴질랜드는 특별히 집 가꾸기에 열을 올리는 나라이다. 올 여름 휴가철을 이용하여 집 안팎을 새로운 색으로 단장하려고 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범죄기록과 비자취득

댓글 0 | 조회 3,196 | 2009.11.09
비자와 퍼밋의 차이점을 간략히 설명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비자는 뉴질랜드의 국경 밖에서 받고 들어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입국심사시 비자 (또는 비자면제협정이 … 더보기

취업비자 (3)

댓글 0 | 조회 3,055 | 2009.10.26
지난 2회에 걸쳐 어떤 특정한 신청인을 위한 취업비자의 승인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호에선 고용주가 미래의 불특정한 고용인을 위해 이민성에서… 더보기

취업비자(2)

댓글 0 | 조회 3,046 | 2009.10.12
지난 호에선 신기술이민으로 영주권을 취득하기 위해 필요한 높은 영어점수의 대안으로 떠오른 취업비자와 이민법에서 의미하는 ‘고용’의 정의와 함께 어떤 종류의 취업비… 더보기

취업비자 (1)

댓글 0 | 조회 3,830 | 2009.09.21
지난 호까지 뉴질랜드 시민권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호에선 수 년 전부터 이민자들의 선망의 대상으로 떠오른 취업비자(Work Visa)에 대… 더보기

출생자녀의 시민권

댓글 0 | 조회 3,277 | 2009.09.07
이 번호에선 뉴질랜드에서 출생한 자녀의 뉴질랜드 시민권(이하 ‘시민권’) 취득을 위한 조건은 무엇인지 또한 2006년 1월 1일 이후에 출생한 자녀의 체류문제는 … 더보기

시민권 승인 (Ⅱ)

댓글 0 | 조회 3,804 | 2009.08.24
구법의 적용을 받아 뉴질랜드 시민권을 취득하기 위해선 반드시 영주권의 취득 또는 영주권의 신청이 2005년 4월 21일 이전에 이루어 졌어야 합니다. 구법 또는 … 더보기

시민권 승인

댓글 0 | 조회 4,312 | 2009.08.10
본 칼럼은 전화상담을 바탕으로 일반적으로 궁금해 하시는 뉴질랜드 국적 (이하 ‘시민권’) 취득에 대한 내용을 담았습니다. 시민권을 취득하는 길은 크게 출생, 승계… 더보기

평생 영주권(Indefinite RRV)

댓글 0 | 조회 5,023 | 2009.07.27
영주권을 취득하였으나 사업상 또는 개인적인 사정으로 뉴질랜드에 바로 정착할 수 없는 경우 취득한 영주권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이… 더보기

이민신청서 작성시 유의사항

댓글 0 | 조회 4,104 | 2009.07.15
다양한 사유로 인해 퍼밋의 기간이 끝나 불법체류자가 된 경우 이민법 제35A조항에 의거하여 신청서를 제출할 수 있음을, 하지만 퍼밋이 유효한 경우와 달리 여러 면… 더보기

비자(Visa) vs 퍼밋(Permit)

댓글 0 | 조회 3,757 | 2009.06.24
이번 호에서는 뉴질랜드 입국을 위해 취득하게 되는 비자와 입국심사를 통해 비자와 같은 조건으로 퍼밋을 받게 되는데 과연 비자와 퍼밋은 어떻게 다른지 그 차이에 대… 더보기

불법체류자의 인권과 권리

댓글 0 | 조회 2,796 | 2009.06.10
2007년 2월 11일 새벽 전남 여수출입국관리사무소 3층에서 방화로 보이는 화재가 발생하여 구금돼 있던 외국인 9명이 현장에서 사망하고 20여명이 중경상을 입는… 더보기

옴부즈맨 제도를 활용하자

댓글 0 | 조회 3,339 | 2009.05.26
옴부즈맨제도(Ombudsman)를 이민신청과 관련하여 적절히 활용하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하는데 정작 '옴부즈맨'이라는 용어부터 생소한 독자가 있으실 줄… 더보기

변호사도 이민업무를 합니까?

댓글 0 | 조회 3,079 | 2009.05.14
"변호사도 이민업무를 합니까?" 필자가 이민관련 업무를 한다고 하면 가끔 받는 질문입니다. 이민업무는 이민대행업을 하는 이민컨설턴트의 고유업무라 생각하시는 분이 … 더보기

단기 체류허가의 연장

댓글 0 | 조회 3,117 | 2009.04.29
이번호에선 단기 체류허가(취업/학생/관광/가디언 등)의 연장시 주의할 점들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보실 수 있습니다. 구비서류뉴질랜드에 도착하여 처음으로 단기체류허… 더보기

이민수속의 투명성

댓글 0 | 조회 3,173 | 2009.06.30
서류신청을 본인이 직접 하지 않고 대행을 통해 접수한 경우 서류진행의 투명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다름 아닌 개인정보 보호법(Privacy Act 1… 더보기

Bucket List

댓글 0 | 조회 1,712 | 2013.09.11
‘버켓리스트’라는 말은 중세에 교수형을 집행할 때 양동이를 바닥에 엎어 놓고 올라서서 목을 줄로 맨 뒤 양동이를 발로 차 버려서 목숨을 끊었… 더보기

옥션 Q & A(Ⅴ)

댓글 0 | 조회 1,950 | 2013.08.27
옥션 Q & A의 마지막 호로 옥션 혹은 옥션 후의 매매과정을 알아 봄으로써 5회에 걸쳐 알아 본 옥션에 대한 기사를 마무리한다. 3. On sale 바이… 더보기

옥션 Q & A(Ⅳ)

댓글 0 | 조회 1,672 | 2013.08.13
지난 호에 이어서 Pre-auction offer가 진행될 때의 집주인의 입장은 어떠한지 알아보고 이어서 옥션 당일 날의 상황은 어떻게 펼쳐지는지 알아 보겠다. … 더보기

옥션 Q & A(Ⅲ)

댓글 0 | 조회 1,523 | 2013.07.24
Pre-auction offer 중 바이어의 입장에 대해서 지난 호에 이어서 알아 보겠다. 2. 집주인이 오퍼를 받아들이겠다는 의사를 표시해도 옥션을 반드시 진행… 더보기

옥션 Q & A(Ⅱ)

댓글 0 | 조회 1,689 | 2013.07.10
Pre-auction offer 옥션 광고를 보면 옥션 날짜 다음에 unless sold prior라는 문구를 볼 수가 있다. 이는 옥션 날 전이라도 만족스러운 … 더보기

옥션 Q & A(Ⅰ)

댓글 0 | 조회 1,639 | 2013.06.26
통계에 의하면 최근 주택매물의 약 30%가 옥션으로 리스팅이 되고 있다. 예전에는 값을 매기기 어려운 고급 주택이나 특별히 급하게 팔아야 하는 주택의 경우에 행해… 더보기

자가진단(Ⅲ)

댓글 0 | 조회 1,847 | 2013.06.12
지난 호에 이어서 겨울의 단골손님인 누수와 집안의 습기에 관련된 자가 진단법을 계속해서 살펴 보겠다. 대개 누수문제라 하면 집의 외부로부터 빗물이 집안으로 스며드… 더보기

자가진단(Ⅱ)

댓글 0 | 조회 2,258 | 2013.05.28
지난 호에 이어서 겨울의 단골손님인 누수와 집안의 습기에 관련된 자가 진단법을 살펴 보겠다. 대개 누수문제라 하면 집의 외부로부터 빗물이 집안으로 스며드는 것을 … 더보기

자가진단(Ⅰ)

댓글 0 | 조회 1,814 | 2013.05.14
춥고 습한 긴 겨울이 시작되었다. 비가 안 와서 땅이 갈라지고 식수가 부족할까 걱정하던 여름이 어느덧 day light saving (summer time)이 해… 더보기

기러기의 비행(Ⅱ)

댓글 0 | 조회 2,104 | 2013.04.23
지난 호에 이어서 현 주택시장의 특징을 살펴 보겠다. 자두 나무에 자두가 열리면 달콤한 냄새를 풍기며 익게 된다. 영리한 사람들은 달콤한 냄새가 시작 될 때 다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