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 영주권(Indefinite RRV)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평생 영주권(Indefinite RRV)

0 개 5,038 코리아포스트
영주권을 취득하였으나 사업상 또는 개인적인 사정으로 뉴질랜드에 바로 정착할 수 없는 경우 취득한 영주권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이러한 궁금증을 해소키 위해 이 번호에선 재입국 거주비자(Returning Resident's Visa 또는 RRV)와 평생영주권(Indefinite RRV)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재입국 거주비자

영주권 제도의 주목적은 뉴질랜드가 필요로 하는 고급인력 혹은 사업경영자를 영주거주케 함으로써 뉴질랜드 지역사회와 경제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있을 것입니다. 뉴질랜드 정부는 영주권을 취득한 후 동반가족을 뉴질랜드에 남겨 둔 채 본국으로 귀국하는 폐단을 막기 위한 방편으로 재입국 거주비자(또는 'RRV'라 함)제도를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투자이민으로 영주권을 취득한 경우는 5년, 기타 다른 범주(신기술, 가족초청, 기업이민 등)를 통해 영주권을 취득한 경우는 처음 2년 동안 최소 거주일수 등을 만족시켜야 우리가 흔히 부르는 평생영주권(Indefinite RRV)을 취득할 수 있게 됩니다. 평생영주권의 취득은 조건만 만족시킨다면 어렵지 않게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칫 소홀히 하여 재입국 거주비자(이하 'RRV')의 연장 신청을 하지 않은 경우는 영주권 상실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뉴질랜드 국경 밖에서 영주권을 승인받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승인받은 날로부터 1년 유효한 거주비자(Resident's Visa)를 받게 됩니다. 하지만 신청자가 뉴질랜드 국내에서 승인을 받게 되면 2년 짜리 재입국 거주비자와 함께 평생거주허가(Indefinite Resident's Permit)을 받게 됩니다.

필자의 지난 칼럼 '비자(Visa) vs 퍼밋(Permit)'를 읽으신 독자라면 비자(입국사증)와 퍼밋(체류허가)의 명확한 차이를 아실 것입니다. 말 그대로 퍼밋는 뉴질랜드 내에서 방문, 공부, 취업 또는 거주의 목적을 위해 뉴질랜드에 체류해도 좋다는 이민성의 허가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영구거주허가인 영주권 일지라도 퍼밋은 뉴질랜드 국경을 벗어나는 순간 소멸하기 때문에 재입국시 같은 퍼밋을 받기 위해선 반드시 비자를 함께 받아야 합니다. 해외에서 승인받은 영주권자는 비자유효기간(일반적으로 1년) 이내에 단 하루라도 뉴질랜드에 입국하게 되면 입국일로부터 2년 유효한 RRV를 받게 됩니다. 이와 달리, (뉴질랜드) 국내에서 승인받은 경우는 평생거주허가와 함께 2년 짜리 RRV를 동시에 받게 됩니다. 따라서 평생영주권을 위한 2년의 시작은 바로 최초의 거주허가(Resident's Permit)을 받은 날부터 시작합니다.

평생영주권 취득

평생영주권을 신청할 수 있는 시점은 바로 처음 거주허가를 받은 날로부터 정확히 2년이 지난 다음 날부터 입니다. 예를 들어, 2009년 1월 7일 뉴질랜드 밖에서 거주비자(Resident's Visa)를 승인받아 1개월 후인 2월 7일에 오클랜드 공항을 통해 뉴질랜드에 최초 입국하였다면 거주허가를 받은 날은 2월 7일임으로 평생영주권(또는 RRV의 연장신청)을 신청할 수 있는 날은 만2년이 경과한 2011년 2월 8일 이후 입니다. 거주허가를 받은 날로부터 1년씩 단위로 나눈 다음 매년 184일 이상 거주했거나 또는 41일 이상 체류함과 동시에 세법상 거주자(Tax Resident)로 인정을 받은 경우는 평생영주권이 주어집니다. 하지만 조건의 반만 만족시킨 경우는 재입국 거주비자는 1년 더 연장만이 가능합니다. 만일 조건을 전혀 만족시키지 못했다면 14일 짜리 재입국거주비자가 주어지며 이러한 조건은 주신청자에게만 적용됩니다. 다시 말해, 주신청자만 위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면 부신청자는 위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했더라도 주신청자와 함께 평생영주권 취득이 가능합니다.

▶ 본 칼럼은 뉴질랜드 이민법과 비자신청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글이며 독자 개개인을 위한 법률자문이 아님을 밝혀드립니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시민권과 한국국적(Ⅰ)

댓글 1 | 조회 7,731 | 2011.10.27
뉴질랜드 시민권자이면서 한국여권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교민들을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지금까진 대한민국 출입국시에 문제가 되지 않았습니다. 아래에서 상세히… 더보기

기술이민 변경사항

댓글 0 | 조회 7,782 | 2011.10.12
지난 7월 25일 뉴질랜드에서 취득한 학위에 대한 학력점수의 변경 등 기술이민 정책에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필자를 포함하여 언론매체를 통해 많은 분들이 변경사… 더보기

요리사 영주권

댓글 1 | 조회 4,495 | 2011.09.28
요리사 자격을 갖추면 일반적으로 기술이민(SMC) 또는 흔히 말하는 탈렌트비자(정확한 표현은 장기부족직군을 통한 영주권으로 영어로는 Work to Residenc… 더보기

신원조회 기록삭제

댓글 0 | 조회 4,558 | 2011.09.14
모든 비자를 받기 위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조건 중에 하나가 바로 건강한 신체조건과 함께 이민법이 정하는 범죄기록이 없어야 합니다. 범죄 즉 유죄확정(Conv… 더보기

취업비자의 승인

댓글 0 | 조회 2,678 | 2011.08.23
7월 25일 학생비자에 대한 이민정책의 변경으로 인해 그동안 졸업 후 수여되는 학위의 종류와 상관없이 장기부족직군(LTSSL) 또는 기술이민 학력점수 50점 이상… 더보기

PPI 대처방안(Ⅰ)

댓글 0 | 조회 2,426 | 2011.08.09
많은 독자들은 ‘PPI’라는 제목만 봐서는 어떤 의미인지 유추하지 못해 생소해 하셨을 것입니다. ‘PPI’는 Potentially Prejudicial Infor… 더보기

종교비자 영주권

댓글 0 | 조회 6,498 | 2011.09.14
지난 7월 20일 취업비자와 영주권을 포함한 종교인 비자의 변경이 발표되었습니다. 근래에 왜 잦은 변경안을 내놓고 있을까? 어쩌면 올 연말로 다가온 대선에서 그 … 더보기

이민 정책 변경 (7월 25일)

댓글 0 | 조회 4,453 | 2011.07.12
현재 이민사회에서 가장 큰 화두는 다름 아닌 최근 발표한 학생비자와 기술이민 학력점수 등에 관한 것으로 많은 문의전화와 함께 졸업 후 취업비자를 소지하면서 영주권… 더보기

가디언 비자

댓글 0 | 조회 3,054 | 2011.09.14
유학생 자녀의 뒷 바라지를 위해 부부가 생이별을 감수하고 뉴질랜드로 입국하였으나 관광비자 기간(입국일로 부터 9개월이며 최장 12개월까지 연장 가능함)이 지나면 … 더보기

‘Bona fide applicant’

댓글 0 | 조회 3,999 | 2011.09.14
Bona Fide의 어원은 라틴어에서 찾을 수 있으며 ‘진실’이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영주권을 제외한 단기체류(관광/학생/취업)비자에서 ‘bona fide… 더보기

비자의 신청과 연장

댓글 0 | 조회 3,262 | 2011.09.14
작년 11월, 1987년부터 20년 넘게 뉴질랜드 이민정책의 근간(根幹)이었던 이민법(Immigration Act 1987)이 폐지되고 새로 재정된 현이민법(Im… 더보기

뉴질랜드 사업경력

댓글 0 | 조회 4,081 | 2011.09.14
현재의 이민법 하에서 합법하게 사업을 할 수 있는 단기체류 소지자는 크게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는데 다름 아닌 장기사업비자를 취득했거나 오픈 워크비자(Open W… 더보기

영주권 승인을 위한 첫 걸음

댓글 0 | 조회 3,241 | 2011.09.14
필자가 매번 원고를 준비하면서 필자가 간절히 바랬던 점은 바로 뉴질랜드를 제2의 삶의 고향으로 삼아 정착하고자 하시는 분들께 적으나마 도움이 될만한 법률안내서를 … 더보기

평생영주권 취득

댓글 0 | 조회 4,491 | 2011.09.14
교민사회에서 흔히 불리우는 평생 혹은 영구영주권의 취득에 대해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영주권을 취득한 후 더 나은 직장 혹은 사업기회를 찾아 2년… 더보기

내가 선택하는 영주권(Ⅱ)

댓글 0 | 조회 3,321 | 2011.09.14
영주권 취득이라는 정상을 오르기 위한 등산로는 여러 갈래의 길이 있습니다. 나의 체력과 장비 그리고 식량 등을 고려하여 최단기간을 요구하나 험난한 길을 택할 것인… 더보기

내가 선택하는 영주권(Ⅰ)

댓글 0 | 조회 6,943 | 2011.09.14
영주권 승인은 첫 발을 내딛는 모든 이민자들이 꼭 받고 싶어하는, 없어서는 않될 뉴질랜드 거주를 보장받는 기본서일 것입니다. 하지만 너무 받고 싶은 나머지 앞뒤가… 더보기

INTERIM VISA (임시비자)

댓글 0 | 조회 7,340 | 2011.09.14
이제 신묘년 토끼해가 밝았습니다. 올해엔 지난 몇 해 동안 뒷 걸음질했던 뉴질랜드 경제가 훌쩍 앞으로 뛰어 교민 경제도 함께 환하게 웃을 날을 기대해 봅니다. 작… 더보기

이민법 무엇이 바뀌었나?

댓글 0 | 조회 7,984 | 2011.09.14
지난 달 22일 이민성이 주최한 신(新)이민법에 대한 설명회에 참관하여 정리한 내용과 지금까지 이민성 공식홈페이지를 통해 발표된 주요내용들 중에서 지난 3회에 걸… 더보기

신(新) 이민법 개요(Ⅲ)

댓글 0 | 조회 4,351 | 2011.09.14
이번 호에선 새로이 제정되어 29일부터 발효되는 이민법(The Immigration Act 2009)의 개요에 대한 마지막 설명을 보실 수 있습니다. 수색체포 권… 더보기

신(新) 이민법 개요(Ⅱ)

댓글 0 | 조회 7,691 | 2011.09.14
지난 호에 이어 29일부터 시행하게 될 신(新)이민법에서 크게 변동되는 사항들에 대한 설명을 보실 수 있습니다. 보증인 책임 강화신이민법이 발효되면 관광/학생/영… 더보기

신(新) 이민법 개요(Ⅰ)

댓글 0 | 조회 7,816 | 2010.10.28
다음 달 29일을 기점으로 현재의 이민법(1987에 제정)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며 새로 제정된 이민법(The Immigration Act 2009)이 발효되어… 더보기

장기사업비자(Ⅳ)

댓글 1 | 조회 3,303 | 2010.10.13
3회에 걸쳐 승인을 위해 갖추어야 할 3대요소에 대해 설명드렸으니 이제 장기사업비자 취득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아셨을 것입니다. 이 번호에선 장기사업비자를 어떻… 더보기

첫 관문 입국심사(Ⅱ)

댓글 0 | 조회 2,915 | 2010.09.29
지난 호에 이어 공항 또는 항만을 통해 뉴질랜드에 첫 발을 내딛기 전에 반드시 거처야 하는 입국심사에 대한 설명을 보실 수 있습니다. 입국목적재입국영주권(Retu… 더보기

첫 관문 입국심사(Ⅰ)

댓글 0 | 조회 3,572 | 2010.09.15
한국여권을 소지한 경우 일반적으로 3개월 동안 무비자(비자를 사전에 받지 않고)로 뉴질랜드 여행이 자유롭습니다. 대부분 3개월 관광퍼밋(Visitor’s Perm… 더보기

취업비자 (Ⅳ)

댓글 0 | 조회 4,680 | 2010.08.25
영주권 취득을 위한 자격요건을 갖추지 못한 경우 가장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는 대안은 다름 아닌 취업비자(허가)의 취득일 것입니다. 지난 3회에 걸쳐 취업비자를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