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은행 기준금리 다시 한 번 2.5%로 동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중앙은행 기준금리 다시 한 번 2.5%로 동결

0 개 2,138 코리아포스트
■ 환율

NZD는 지난(10월 26일 ~11월 1일) 모든 주요 통화에 대해 하락세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USD대비 76센트에서 71센트까지 급격히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71센트 하락 후 다시 72센트 대를 회복하며 조정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시장이 뉴질랜드 기준금리의 인상에 대한 예상을 낮춘 반면, 호주 등 해외 시장의 분위기가 출구전략을 예상보다 빨리 시행하리라는 전망에서 비롯된 것이며 또한, 달러 캐리 트레이드로 인한 자산 시장의 급격한 버블화 현상을 우려하는 목소리로 위험 자산에서 급격히 달러 회기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미국 시장은 제반 경기 지표 및 기업 실적이 혼조를 보이며 주식 시장이 오르고 내림을 반복하고 있으나, 최근 하락 및 조정 폭이 지난 1년 기간 중 가장 큰 폭이어서, 시장 참여자들이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업용 부동산의 부실 문제와 지방 및 중견 은행의 파산 소식이 잇따라 전해지며 뉴질랜드 달러와 같은 캐리 트레이드의 주요 타겟 통화의 하락 폭이 커졌다. 이와 관련하여 시장에서는 미국 경기회복의 지속성 여부와 관련 우려하는 듯 보이며, 이러한 시장의 초조함이 USD와 일본 엔화의 상승을 유도하고 있다. 뉴질랜드와 호주 시장 또한 특별한 한 주를 보였다. NZD는 호주 소비자 물가 지수의 실망스러운 조사발표와 더불어 AUD와 함께 하락하였다. NZD는 지난 주 뉴질랜드 중앙은행의 금리 정책 발표에 있어 중앙은행 총재가 저금리 기조를 당분간 지속적으로 유지하겠다는 발표로 한층 더 하락 압력을 받았다. 하지만, 호주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0.25% 상승하고, 12월에도 추가 상승 가능성을 보임으로서 NZD 대비 AUD는 상승하였고, USD 대비 하락폭이 NZD에 비해서는 적었다. 11월 4일 기준, NZD는 원화 대비 853원, USD 대비 $0.7229, AUD 대비 $0.8004선에서 마감되었다.

■ 금리

뉴질랜드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2.5%로 동결하였으며, 중앙은행의 알란 볼라드 총재는 시장 금리의 상승과 관련 중앙은행의 금리 정책에 비해 빠른 금리 인상 반영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또한, 현재 시장의 예측과는 반대로 중앙은행은 아직 통화정책 부양책 철회와 관련 시급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으며, 2010년 중반까지는 현재 기준금리를 유지할 것이라는 태도를 비췄다. 이로 인해 뉴질랜드 금리는 조정을 보이며 하락하였다. 호주 중앙은행은 지난 화요일(11월 3일) 기준금리를 0.25%p 추가 인상하며 3.5%로 인상하였다. 경제가 플러스 성장으로 돌아섰고, 원자재 가격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인해 원자재 수출 비중이 높은 호주로서는 빠른 출구 전략을 구사하여 인플레이션을 막으려 하고 있다. 실업률 예상도 급격히 줄어드는 등 경기 회복세가 상당히 빠르다고 발표되었다. 시장은 다음 12월 호주 기준금리 발표에서 재차 0.25%p 인상을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뉴질랜드와 호주의 빠른 금리인상에 대한 예상감소는 사실 미국 시장 등 해외 시장의 더블딥 우려에 대한 시장의 금리 하락에서 온 것이고, 각국의 유동성 부양책 및 캐리 트레이드 등으로 인한 자산 가치의 급격한 상승을 우려함에 따른 분위기가 금리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 3사분기 가구당 노동자 수 조사

지난 6월 분기 동안 실업률은 5%에서 6%로 대폭 상승하였다. 3%의 경기 수축률을 고려해 볼 때 지난 두 분기에 걸친 1.8%의 취업률 하락은 예상에 비해 상당히 긍정적인 발표였다. 기업들은 직원수를 감량하기 보다는 기업 운영비용 감량, 일정 급료 인상 방지 등 다른 방법으로 이 시기를 극복해가는 듯 하다. 경기가 6월 분기를 지나며 안정세를 보이는데 이어 기업의 고용 의지 또한 향상되기 시작하였으나 여전히 취업률의 지속적인 감소는 숙제로 남아있다. 현재 예측되기로는 3사분기에 걸친 고용률은 0.2% 하락할 것이며 실업률은 6.3%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저조한 노동 시장이 새로운 취업인구의 증가를 감당할 수 없음을 고려해 볼 때, 다음 18개월간 실업률은 계속하여 7% 선까지 상승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80] 우리 아이는 잔소리를 해야만…

댓글 0 | 조회 1,694 | 2005.09.28
‘저는 Intermediate 1학년에 다니고 있는 아이를 둔 엄마입니다. 저희 아이는 공부하는 것을 너무너무 싫어 합니다. 아이가 공부를 하게끔 하려면 잔소리를… 더보기

뉴질랜드 중앙은행 내년 말까지 동결 예상

댓글 0 | 조회 2,103 | 2011.12.23
■ 환율 지난 주 초반, 뉴질랜드 달러는 유럽 정상회담 전의 수준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선에서 거래되었다. 하지만, 뉴질랜드 달러는 지난 주 목요일 유럽 중앙은행이… 더보기

뉴질랜드 중앙은행 기준금리 다시 한 번 동결

댓글 0 | 조회 2,491 | 2011.12.13
■ 환율 지난 주, 뉴질랜드 달러는 주요 국가들의 중앙은행들이 미국 달러의 유동성을 위한 계획 발표 직후, 미국 달러 대비 2센트 상승하여 강세를 보였다. 이번 … 더보기

뉴질랜드 소매 지출 럭비 월드컵에 급성장

댓글 0 | 조회 2,396 | 2011.11.22
■ 환율 지난 주, 뉴질랜드 달러의 방향은 지속적으로 해외 시장의 움직임에 좌우되고 있다. 지난 금요일, 뉴질랜드 달러는 시장의 분위기가 향상됨에 따라 미국 달러… 더보기

EU 정상 회담에 시장은 희망적

댓글 0 | 조회 2,142 | 2011.11.09
■ 환율 지난 주 초, 뉴질랜드 달러는 하락세를 보였으며, 국내 지표의 저조와 시장의 리스크 기피 현상에 뉴질랜드 달러에 하락 압력을 증가하였다. 하지만, 뉴질랜… 더보기

NZ 럭비 월드컵 기대에 못미치는 경제 파급효과

댓글 0 | 조회 2,429 | 2011.10.26
■ 환율지난 주, 뉴질랜드 달러는 미국 달러 대비 굉장히 상승세를 보였으나, 이번 주 월요일 오전에는 미국 달러 대비 $0.80 윗선에서 거래되며 다시 하락하였다… 더보기

뉴질랜드 국가 신용등급 한 단계 하락

댓글 0 | 조회 2,386 | 2011.10.11
■ 환율지난 주, 뉴질랜드 달러는 주 초부터 미국 달러 대비 79센트로 상승하며 강세를 보였으며, 이는 유럽 채무 문제들이 구제안들에 의해 완화되며 국제 시장의 … 더보기

NZ 중앙은행 내년 3월경 기준금리 인상 예상

댓글 0 | 조회 2,875 | 2011.09.27
■ 환율이번 주 역시 최근 들어 계속된 미국 달러 정리 현상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열렸던 유럽 재정부 장관 회의에서 건의된 유럽 부채 현상 대책안에 대… 더보기

오클랜드 부동산 시장 주춤

댓글 0 | 조회 3,672 | 2011.09.13
■ 환율지난 주, 뉴질랜드 달러는 유럽의 경제, 재정적 상황이 지속적으로 악화되며 유로화 대비 서서히 상승세를 보였다. 유로화는 유럽 중앙은행이 긴축 정책을 완화… 더보기

NZ 중앙은행 9월경 기준금리 인상 예상

댓글 0 | 조회 2,726 | 2011.08.09
■ 환율지난 주, 미국 달러는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며, 미국의 채무 한도에 대한 미연방정부의 협상 해결이 지체되며 미국 달러는 추가 하락을 보였다. 8월 1… 더보기

예상보다 활발한 경제 성장에 NZ 기준금리 12월 인상 예상

댓글 0 | 조회 3,048 | 2011.07.26
■ 환율지난 주, 뉴질랜드 달러는 미국 달러 대비 주 초에는 해외 시장의 약세가 뉴질랜드 달러에 대한 수요를 높이며 강세를 보였지만, 뉴질랜드 달러는 주 중반 강… 더보기

뉴질랜드 대출 활발하게 회복되며 상승세

댓글 0 | 조회 2,872 | 2011.07.12
■ 환율지난 주, 뉴질랜드 달러는 예상보다 저조하게 발표된 무역 지표와 그리스의 구제안에 대한 우려에 하락 압력을 받았다. 하지만, 그리스의 정부는 긴축 정책안을… 더보기

뉴질랜드 경기 회복 시기 지진 여파로 지연 예상

댓글 0 | 조회 2,892 | 2011.06.28
■ 환율뉴질랜드 달러는 지난 주 미국 달러에 비교하여 $0.822선에서 거래되며 한 주를 시작하였으나 크라이스트쳐치의 또 한번의 지진으로 인해 당일 오후 바로 $… 더보기

뉴질랜드 중앙은행 기준금리 다시 한 번 동결

댓글 0 | 조회 2,821 | 2011.06.14
■ 환율뉴질랜드 달러는 지난 주 높은 수준을 기록하며 특히 초반 며칠간 미국 달러에 비교하여 $0.825선으로 거래되었고, 지난 주 수요일 1센트 하락하여 이번 … 더보기

뉴질랜드 중앙은행 내년 초까지 금리 동결 예상

댓글 0 | 조회 3,094 | 2011.05.24
■ 환율뉴질랜드 달러는 지난 주 미국 달러에 비교하여 하락세를 보이며 한 주를 마감하였다. 이는 지난 주 투자가들이 미국 달러를 매도하던 분위기가 뒤바뀌며, 매입… 더보기

뉴질랜드 중앙은행 기준금리 동결

댓글 0 | 조회 3,314 | 2011.05.10
■ 환율뉴질랜드 달러는 지난 주 계속하여 약세를 보이고 있는 미화 달러에 비교하여 $0.80 선 수준에서 거래되었으며, 주 후반부에 접어들며 $0.81 가까이로 … 더보기

식료품과 유가 상승에 세계 인플레이션 압력

댓글 0 | 조회 2,881 | 2011.04.27
■ 환율NZD는 지난 주 꾸준히 상승하며 일본 엔화를 제외한 모든 통화에 비교하여 상승하였으며 이번 주에 들어서며 USD에 비교하여 2011년 최고치에서 0.5센… 더보기

유가 인상에 따른 전체적인 물가 상승 예상

댓글 0 | 조회 2,905 | 2011.04.12
■ 환율지난 주 뉴질랜드 달러는 대부분 주요 통화 대비 강세를 보이며 높은 선에서 거래되었다. 뉴질랜드 달러는 지난 주 초 이틀 간 비교적 안정된 선에서 거래되었… 더보기

일본 재해에도 불구하고 환율은 건재할 듯

댓글 0 | 조회 3,640 | 2011.03.22
■ 환율뉴질랜드 달러는 지난 주 미국 달러 대비 $0.724와 $0.744 선 안에서 거래되었으며, 이번 주에 들어서며 $0.74에 약간 못 미치는 수준으로 여전… 더보기

지진 여파로 뉴질랜드 중앙은행 기준금리 인하 예상

댓글 0 | 조회 3,464 | 2011.03.08
■ 환율지난 화요일, 크라이스트쳐치의 심각한 지진 여파로 인해 뉴질랜드 달러는 모든 주요 통화와 비교하여 하락하였으며 계속하여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비록,… 더보기

뉴질랜드 소매 판매 여전히 저조

댓글 0 | 조회 2,884 | 2011.02.22
■ 환율지난 주 초반, NZD/USD는 해외 시장의 강세에 힘입어 계속된 강세를 보였다. 예상치 못한 미국 실업율의 감소와 강세를 보인 4사분기 실적 발표가 시장… 더보기

호주 달러 미국 달러보다 강세

댓글 0 | 조회 3,059 | 2011.02.08
■ 환율지난 주, 뉴질랜드 달러는 1월 31일 발표된 경제 자료의 약세와 지난 주 목요일 중앙은행의 기준 금리 동결에도 불구하고, 모든 통화에 비교하여 약간의 상… 더보기

뉴질랜드 중앙은행 기준금리 9월까지 동결 예상

댓글 0 | 조회 2,897 | 2011.01.25
■ 환율최근 몇 주간 환율 시장의 최대 관심사는 유럽의 국채 문제였다. 유로환은 계속되는 하락 압력을 받고 있으며, 지난 주 NZD/EUR 환율은 $0.56에서 … 더보기

기대에 못 미쳤던 2010 뉴질랜드 경제 회복

댓글 0 | 조회 2,788 | 2011.01.14
2010년 한 해는 뉴질랜드도 주요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불안정한 경제 회복세의 연속이었다. 서방 국가들의 불균형한 경제 활동과 개도국과 아시안 국가들의 활발한 회… 더보기

NZ 중앙은행 내년 중반까지 기준금리 동결 예상

댓글 0 | 조회 2,690 | 2010.12.21
■ 환율지난 주, 뉴질랜드 중앙은행은 저금리 유지 상태가 시장에 그리 큰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한 점을 발표하며 유감을 표하였다. 이로서, 금리 인상 시기에 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