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심히 준비할 파트너쉽 비자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세심히 준비할 파트너쉽 비자

0 개 1,318 정동희

그 어떤 법조항도 세월에 따라 변하기 마련이지요. 뉴질랜드 이민법도 예외일 수 없습니다. 기본적인 틀은 유지하되, 수정 및 보완을 거치면서 점차 세련되어 가는 반면 때에 따라서는 신청자에게 상황이 불리하게 돌아가기도 합니다. 

세상사 살아가다 보면 모르는 게 약일때도 있지만 아는 것이 힘일 때도 있지요. 이민법에 대해서 만큼은 전적으로 후자가 옳습니다. “무지”는 큰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습니다. 몰랐으니 이해해 달라는 말에도 한계가 있고 정도가 있겠지요? 저처럼 합법적인 자격을 가진 이민법무사 또는 유자격자의 컨설팅을 받든 안 받든 파트너쉽을 통한 비자에 도전하는 분이라면 반드시 알아 두셔야 할 핵심 포인트만 콕콕 짚어 볼 저는 뉴질랜드 정부 공인이민법무사 제200800757호 정동희 이민법무사입니다.


f82067167523233de1e3fbe9e24e960e_1667958654_2527.png
 

비영주권 파트너쉽 비자의 스폰서 자격


문 : 파트너쉽 기반 하에 비영주권 비자를 신청하는 경우, 스폰서하는 사람이 제출해야 하는 이민부 폼이 따로 있나요?

답 : Form for Partners Supporting Partnership-Based Temporary Entry Applications (INZ 1146) 이라는 이민부 폼이 존재하는데요. 이 폼은 파트너쉽에 기반하여 비영주권 비자를 신청하는 분의 스폰서(파트너)가 작성하여 필수로 제출해야만 하는 폼입니다. 


문 : 제 파트너가 뉴질랜드 워킹 홀리데이 비자 소지자입니다. 이런 경우, 비영주권 파트너쉽 비자를 신청할 수 있습니까?

답 : 불가능합니다. 파트너가 아래의 비자 중 하나를 소지한 경우엔 파트너쉽에 기반한 비자를 신청하지 못하게 되어 있답니다.


● Essential Skills where the employment has been assessed as being paid below the median wage (see WK3.5.1), or lower-skilled if the visa application was made before 27 July 2020, unless WF3.1.1 below applies; or

● Foreign crew of fishing vessels (see WJ); or

● a Working Holiday Scheme (see WI2); or

● Recognised Seasonal Employer (RSE) Work Instructions (see WH1); or

● Supplementary Seasonal Employer (SSE) Instructions (see WH3); or

● Silver Fern Job Search Instructions (see WL2); or

● Skilled Migrant Category Job Search Instructions (see WR5);

● domestic staff of diplomatic, consular, or official staff (see WI4).

● Accredited Employer (see WA4) where the remuneration of the employment has been assessed as below the median wage


문 : 파트너쉽 비자라면 파트너와의 진실된 관계에 관한 증명이 가장 중요하며 동거기간이 핵심일 듯 해요. 함께 살아온 기간에 대한 미니멈이 정해져 있나요?

답 : 비영주권 비자를 신청하는 경우, 동거기간에 대한 규정은 따로 명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동거 기간에 대한 법조항은 파트너쉽 영주권 비자를 신청하는 경우에 한합니다. 


문 : 저희는 1년 넘게 같이 살아 왔으나 flatmate로만 증명이 가능한데 이것도 괜찮습니까?

답 : 아래의 조항은 동거로 인정되지 않는 원칙들입니다.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조언은 전문가에게 구해 보시기 바래요.


Living together does not include:

● time spent in each other’s homes while still maintaining individual residences; or

● shared accommodation during holidays together; or

● flatmate arrangements; or

● any other living arrangements that are not reflective of the factors set out at E4.5.35(a).



문 : 신청자의 신원 관련 조항 중에 Bona fide applicant라는 부분도 무척 중요하다고 들었습니다만….

답 : Bona fide applicant 조항을 쉽게 보면 절대 안 됩니다. 아래는 파트너쉽을 통한 비영주권 비자에 관련된 이민법 조항입니다.


A bona fide applicant for temporary entry is a person who:

genuinely intends a temporary stay in New Zealand for a lawful purpose; and

in the opinion of an immigration officer is not likely:

● to remain in New Zealand unlawfully; or

● to breach the conditions of any visa granted; or

● to be unable to leave or be deported from New Zealand (see E5.10).


 그간의 경험으로 볼 때 위의 이민법에 대한 저의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신청자의 진실됨과 신뢰도에 대해서 이민관이 만족해야 한다.”


실례로, 워크비자 신청서에 과거 1회의 음주 운전 사실에 대한 내용을 기재하지 않았던 것이 문제가 되어 기각으로까지 이어질 뻔한 일이 있었습니다. 결국, 신청자의 솔직함에 대한 심사가 의외로 큰 관건이 될 수 있다는 말이 되겠지요? 특정 서류나 경로를 통하여 드러날 수 있는 교통 범죄, 기타 범죄, 특정 국가로부터의 추방, 비자 기각 사실 등에 대한 정보를 비자 신청서에 기재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상상 이상입니다.


문 : 두 사람의 진실된 관계에 대한 증명 외에 뉴질랜드 파트너는 어떤 부분에 대한 심사를 받아야 하나요?

답 : 신원조회와 신체검사 등의 신청자 본인에 대한 증명에만 주로 집중하는 나머지, 파트너쉽 관계에 있는 스폰서링 파트너(영주권, 비영주권 비자에 대한 스폰서를 하는 뉴질랜드 비자 소지자)의 자격에 대해서는 간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스폰서 금지 5년법”입니다. 지난 5년 이내에 파트너쉽과 연관된 스폰서를 제공하거나 스폰서를 제공받은 적이 있으면 파트너쉽 관련 비자는 불가능하다” 라는 것이 5년 금지법의 핵심이죠. 물론, 언제나 예외는 존재하며 과거의 파트너쉽 비자가 어떻게, 어느 단계까지 진행되었는가 라는 부분도 면밀히 살펴야 할 부분입니다. 


문 : 뉴질랜드 시민권자와의 파트너쉽 워크비자를 신청하는데 스폰서의 자격 요건 중 하나인 “12개월 이내 영주권 신청 필수” 조항의 적용을 받게 되나요?

답 : 다음의 법조항을 참조하시기 바래요.


A partner may only be granted a temporary entry class visa, if an immigration officer is satisfied that:

● if their partner is a New Zealand citizen or residence class visa holder, their partner will be eligible to support a partnership-based residence class visa application within 12 months of the grant of the visa



“향후 12개월 이내에 파트너쉽 영주권 신청의 스폰서가 될 자격이 있는 자”여야 한다는 것이죠. 


해외 거주 시민권자의 영주권 파트너쉽 비자 


문 :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뉴질랜드 시민권자입니다. 해외 거주기간동안 파트너를 만나서 진실된 관계를 이어오고 있는데요. 물론, 지난 12개월 이상 함께 거주하고 있습니다. 듣기로는, 바로 영구영주권 신청도 가능하다고 하던데…맞나요?

답 : Permanent resident visa(영구 영주권)을 바로 신청하려면 아래와 같은 관련 이민법 조항을 모두 만족시켜야만 합니다.


A principal applicant may be granted a permanent resident visa (RA1.5) if:

● they meet all the other criteria for a residence class visa under the Partnership Category; and

● they have a New Zealand citizen partner who has been residing outside New Zealand for a period of at least five years at the time the application is made; and

● the couple have been living together in a genuine and stable relationship for at least five years at the time the application is made.

To meet the requirements of a(ii) above, the New Zealand citizen partner must either be

● outside New Zealand at the time the application is made; or

● have been in New Zealand for less than three months after residing outside New Zealand for at least five years at the time the application is made.


여기서 핵심은요. 파트너쉽 영주권 신청서 제출 당시에 스폰서인 뉴질랜드 시민권자가 해외에서 지난 5년 이상 파트너와 함께 거주해 왔어야 만 한다는 것입니다. 또한 영주권 신청서 제출 당시에도 뉴질랜드 국경 외에 체류하고 있는 상태이거나, 설령 뉴질랜드에 체류중이더라도 입국 3개월 이내여야만 한다는 조건이 있습니다. 


문 : 아아…. 5년이라면…그러면 5년의 기간 동안 뉴질랜드에 단 하루라도 체류한 적이 있으면 자격이 안 되나요?

답 : 각 1년중에 3개월 미만으로 뉴질랜드에 체류한 경우는 예외입니다. 즉, 5년간 매년 3개월은 뉴질랜드, 나머지 9개월은 한국에 체류해 왔다면 자격요건을 충족시킨다는 말이지요. 그러나, 케이스마다 예외적인 일이 있을 수 있으니 일반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뉴질랜드 공인 이민법무사 또는 그에 준하는 자격을 가진 유자격자에게 전문상담을 의뢰하시면 보다 정확한 자격판정을 받게 될 수 있습니다. 


문 : 위의 “5년법” 조항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는 아예 영주권 신청 자체가 불가능한가요?

답 : 영구영주권 신청자격이 안 된다고 해서 그냥 영주권인 Resident visa의 신청이 불가한 것은 아닙니다. 보통 영주권을 받으신 후에 2년간 영구영주권의 조건을 잘 만족시키면 그 때 가서 영구영주권으로 전환이 가능합니다.



▲ 위의 정보는 이민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필자 개인의 견해와 해석을 밝힌 것이므로, 실제적용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필자는 이 글의 실제 적용에 대해서는 아무런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참으로 지루한 역사

댓글 0 | 조회 716 | 2022.12.20
최고의 인재는 과거시험을 통해서 식별할 수 있기를 누구나 기대했다. 그러나 세종 초년에는 과거제도 역시 본래의 목적에서 멀리 벗어나 있었다. 세종 즉위년(1418… 더보기

한 해가 저물 때

댓글 0 | 조회 656 | 2022.12.20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이쯤에서하나님께서 물으십니다올 해성경을 얼마나 읽었는지가 아니라읽다가 얼마나 내가 부끄러웠는지주일이면 교회에 빠짐없이 갔었는지가 아니라설레며… 더보기

우버드라이버는 고용된 직원인가 2

댓글 0 | 조회 3,433 | 2022.12.20
스마트폰 앱을 통해 자사 소속의 차량이나 공유된 차량을 승객과 중계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인 우버의 드라이버를 독립계약자로 봐야 하는지 아니면 피고용인으로 봐… 더보기

학교에서 노트 필기를 잘하는 방법

댓글 0 | 조회 711 | 2022.12.20
교실에서 노트 필기를 잘 하는 것은 기본적인 기술입니다.노트 필기는 학습 내용을 이해하고 기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여 시험을 잘 볼 수 있도록 합니다. 매우 … 더보기

어깨 통증이 있는 경우

댓글 0 | 조회 910 | 2022.12.20
어깨 통증의 원인은 다 스트레스와 자세라고 봐야 됩니다. 어깨가 아플 때 보면 목의 경추가 비뚤어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혈액순환이 잘 안되면 모세혈관을 막… 더보기

김치의 날(Kimchi Day), 김치 예찬

댓글 0 | 조회 1,118 | 2022.12.16
마름달 스무이틀날(11월 22일, 순우리말 표기)은 김치산업의 진흥과 김치문화를 계승•발전하고 국민에게 김치의 영양적 가치와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2020년에 제… 더보기

레이디 해밀턴

댓글 0 | 조회 1,341 | 2022.12.07
인물은 역사를 만들고 역사는 그러한 인물들이 만들어낸 결과의 축적으로 앞으로 나아간다. 20세기 세계를 지배한 대영제국의 근대사에서 국가적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는… 더보기

무관심을 뛰어넘어, 사회를 변화시키는 단체 리커넥트

댓글 0 | 조회 1,171 | 2022.12.07
지난 몇 년 동안 뉴질랜드는 코로나 사태, 생활비 증가, 안전 문제 등으로 인하여 사회적인 어려움 가운데 있었습니다. 어려운 상황으로 인하여 개인과 커뮤니티들의 … 더보기

GOLD 인생

댓글 0 | 조회 1,475 | 2022.12.07
지금이 내 인생에 있어서 황금시대인가? 황금 카드를 준다고 하니 말이다. 오는 크리스마스 날이 D-day이다. 그런데 영 기력이 없다. 기력이 넘쳐나야 황금시대를… 더보기

혼유 사고 대처법

댓글 0 | 조회 1,881 | 2022.12.07
요즘은 전기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가 대세지만 아직은 내연기관차에 비율이 높습니다.뉴질랜드는 특히 모든 주유소가 셀프 주유이기에 직접 스스로 기름을 넣어야 하는데… 더보기

꽃 한 송이 글자 하나 붓다

댓글 0 | 조회 758 | 2022.12.07
흐르는지 머물렀는지알 수 없는 섬진강사람들 걸음 따라흔들렸던 구례 오일장정신을 바짝 깨우는장엄한 화엄사붓끝에서 피어나는전심전력의 아름다움걸어도 걸어도, 걷고 있어… 더보기

금쪽같은 내 비자를 위한 숙지사항

댓글 0 | 조회 1,565 | 2022.12.07
뉴질랜드 영토에 합법적으로 체류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 바로 비자입니다. 무비자 입국이라 하더라도 뉴질랜드 입국과 동시에 비자가 주어지게 되지요. 흔히 E… 더보기

남몰래 흘리는 눈물

댓글 0 | 조회 877 | 2022.12.07
Down by the sally gardenW.B. Yeats갈대밭 저 아래에서 내 사랑과 나 만났네.그녀는 조그맣고 하얀 발로 갈대밭을 거닐었지.그녀는 내게 사… 더보기

FIFA 월드컵, 스포츠 도박 그리고 웰빙

댓글 0 | 조회 793 | 2022.12.07
2002년도의 국민적 대 단합의 월드컵을 기억하고 있는 분들이 대부분일 거라 생각됩니다. 이번 월드컵에서도 많은 국민들이 모여서 한국 팀을 응원하는 영상들을 보게… 더보기

칼로 무 자르듯

댓글 0 | 조회 782 | 2022.12.07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나오고 어떤 단어들에 대해 맞춤법 표기가 바뀌어 국어시간을 끝낸 지 오래된 나로서는 가끔 어줍은 경우를 본다. 익었던 말들이 표준말이 아니라… 더보기

그린 주변의 벙커 플레이(20-40m)

댓글 0 | 조회 614 | 2022.12.06
기본사항벙커는 핀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어려운 것 같다. 지면은 모래로 되어 있어 볼을 정확히 가격하기 어렵고 클럽의 페이스를 오픈하면 할 수록 탄도로 인해 거리감을… 더보기

허리통증 없이 안전하게 코어운동 하는 법!

댓글 0 | 조회 829 | 2022.12.06
최근 출산한 여성회원들을 포함해 손목과 허리가 약한 회원들로부터 플랭크나 손목에 무리가 되는 코어운동을 따라하기 힘들다는 피드백을 받았는데요, 그래서 최근 제 한… 더보기

푸틴의 협박과 한-러 관계의 미래

댓글 0 | 조회 801 | 2022.12.06
올 것이 왔다라고나 할까요? 체코와 폴란드 등을 통한 우크라이나에의 간접적/우회적 한국 무기 수출에 대한 푸틴의 최근 협박 발언은, “언젠가 터질” 일이었습니다.… 더보기

어떻게 하면 방학 기간을 가장 잘 보낼 수 있을까요? (2)

댓글 0 | 조회 778 | 2022.12.06
지난 호에 이어서 방학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팁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3. 마지막 순간까지 모든 숙제를 남겨두지 마십시오.대부분의 선생님은 - … 더보기

몸은 부분이 전체를 대표할 수 있다

댓글 0 | 조회 718 | 2022.12.06
인체는 항상 부분이 전체를 대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손이 전체를 대표할 수 있습니다. 손으로 보고, 듣고, 말하고 할 수가 있습니다. 머리가 그렇고, 발이… 더보기

동절기 코로나 재유행 불가피

댓글 0 | 조회 1,460 | 2022.12.03
미국과 유럽에서도 올겨울 코로나(COVID-19)와 독감(Influenza), RSV(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 등 세 가지 감염병(感染病)이 동시에 유행하는 … 더보기

돈이 운다구요

댓글 0 | 조회 1,139 | 2022.11.22
돌고 도는게 바로 돈 이어서 그 호칭도 돈 이란 말인가.수없는 사람들의 손과 손으로 옮겨 다니는 것 이기에 위생적으로 보면 더럽기 짝이없는게 돈이다. 그렇더라도 … 더보기

고독이 주는 선물

댓글 0 | 조회 1,095 | 2022.11.22
이달 초에 한국에서 오클랜드로 이사 온 동생이 한국 화장품을 보내 왔다. 그 화장품들 중에는 지인에게 선물할 화장품도 있었다. 동생 심부름도 할 겸 오클랜드에서 … 더보기

지적 파륜(破倫)

댓글 0 | 조회 702 | 2022.11.22
문명은 전체가 다 지적(知的) 산물이다. 문명의 모든 것은, 심지어 예술까지 의도를 가지고 하는 생각의 결과로 태어나기 때문이다. 지적이라는 말은 감각, 관습, … 더보기

철부지

댓글 0 | 조회 713 | 2022.11.22
가끔 연세 지긋하신 어르신들께서 아직 사리분별이 서툰 젊은이들을 ‘철부지’라 지칭하실 때가 있습니다. 움직여야 할 때 움직이줄 모르고 멈춰야 할 때 멈출 줄을 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