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친화 사회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치매친화 사회

0 개 1,747 박명윤

지난 4월 초에 이순재와 정영숙 등이 주연한 로맨스 영화 <로망>이 개봉되었다. 이창근 감독의 이 영화는 결혼 45년차인 75세 조남봉(이순재 분)과 71세 이매자(정영숙 분)는 동반 치매에 걸린 노부부의 삶의 애환이 스며있으며, 고령화 치매사회를 담담히 직시하고 사랑이라는 따스한 솔루션(solution)을 환기하는 작품이다. 

 

89f78d3db5259c180f9dbfaecd93d1b3_1561163031_2767.jpg
 

남봉은 매일 라디오를 듣는 택시 운전기사이며, 매자는 가정주부로서 여느 부부와 같이 평범하다. 백수이자 박사 출신인 아들, 학원강사로 일하는 며느리, 그리고 손녀와 한 집에서 살아간다. 어느 날 매자에게 갑자기 치매가 찾아 온뒤, 설상가상으로 남봉에게도 치매가 온다. 두 사람은 현재 기억은 잊혀가고 과거의 기억이 선명해진다. 영화는 현실적인 이야기를 통해 부부의 사랑을 일깨워주며 노년 부부의 아릿한 로맨스로 감동을 전해 준다. 

 

로망(프랑스어: roman, 영어: romance)은 본래 라틴방언을 의미하는 언어를 뜻하는 단어다. 문학으로의 로망은 12-13세기 중세(中世) 유럽에서 중세 문학의 한 종류로 좁은 의미로는 중세기사의 모험과 사랑을 담은 이야기이고, 넓은 의미에서 이러한 특징을 아우른 전기적(傳奇的)ㆍ모험적ㆍ공상적인 통속소설(通俗小說)을 이른다. 한편으로 ‘로망’ 이란 단어는 이상과 욕망을 녹여낸다는 특징에서 따와서 낭만(浪漫)의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노망(老妄)은 늙어서 망령되게 행동하는 것으로 치매(Dementia)의 속된 말이다. 우리나라도 고령사회로 접어들면서 모든 사람이 나이가 들면서 겁내는 것이 치매이다. 보건복지부 중앙치매센터가 발간한 ‘대한민국 치매 현황 2018’에 따르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치매 환자수는 70만5473명으로 전년도 66만1707명보다 4만명 넘게 늘었다. 치매 유병률(有病率)도 2017년 10%로 나타나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이 치매를 앓고 있다. 

 

중앙치매센터는 치매 환자가 2024년 100만명, 2039년 200만명, 2050년에는 300만명이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치매는 한번 걸리면 오래가는 질병이기에 유병률이 쉽게 떨어지지 않으며,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치매 환자 숫자가 계속 누적해서 올라가고 있다. 치매 환자 1인당 연간 관리 비용은 2074만원이며, 국가 치매 관리 비용은 14조6000억원이다. 

 

통계청의 ‘2017년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치매에 의한 사망자는 총 9291명으로 남성 2699명, 여성 6592명으로 나타났다. 치매 사망률은 여성 10만명당 25.7명, 남성은 10.6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2.4배 높았다.  

 

여성의 치매 사망률이 크게 높은 이유는 여성의 평균 수명이 더 길기 때문이다. 그리고 여성이 남성보다 치매 진행 속도가 빠른데, 진행 속도가 빠를수록 사망 위험이 높아진다. 또한 학력(學歷)은 치매의 보호인자로 작용하는데, 과거에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충분한 교육을 받지 못해 치매와 치매로 인한 사망위험이 여성이 더 높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치매인 71만 시대를 맞아 <치매인 위드, DFC 행사>가 지난 5월 10일 서울 청계천광장에서 열렸다. ‘DFC’란‘Dementia Friendly Society’의 약자로 ‘치매 친화 사회’를 뜻하는 말이다. 이 행사는 한국치매협회(Korean Association for Dementia)가 주관하고 보건복지부가 후원했다. 그리고 중앙치매센터, 서울형데이케어센터, 치매길벗잡이단, 고령자치매작업치료사회, 치매 환자 가족 등이 참여했다. 

 

청계천광장 현장에서는 치매환자와 함께 팔찌, 책갈피 만들기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또한 시민과 함께 청계천을 걸으며 공감대를 형성하는 자리도 마련했으며, 치매 상식 등을 맞추는 퀴즈쇼도 진행했다. 이 행사는 치매어르신이 기피와 소외의 대상이 아니라 우리와 같은 친숙한 사람이라는 인식을 깊게하고, 우리와 함께 더불어 살 수 있는 따뜻한 배려의 치매 친화적 사회를 조성하기 위하여 개최되었다. 

 

일본에서는 2004년부터 공식 문서에서 ‘어리석고 미련하다’는 뜻인 치매라는 병명 대신 인지증(認知症)이라는 객관적인 용어로 바꿔 부르고 있다. 이제는 일반인도 ‘인지증’이라는 말을 사용하며, ‘치매’란 단어를 입에 올리는 경우는 적다. 일본 정부가 추산하는 치매 환자는 약 600만명이며 2025년에는 7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 

 

일본은 이런 치매환자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치매환자에 대한 인식을 바꿔나가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2015년부터 전 부처가 ‘신오렌지 계획’이라는 이름으로 ‘치매 환자와의 공존 정책’을 합동으로 추진하고 있다. 즉 치매 환자가 걱정하지 않고 생활할 수 있도록 ‘치매 친화 지역’을 만드는 정책이다. 

 

일본 NHK 방송이 2017년에 치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바꾸기 위해 이틀간 ‘특별식당’을 열었다. ‘치매 환자에게 관용을 베풀며 함께 살자’는 행사가 폭발적인 관심을 얻은 후 각종 기관과 회사에서 치매 환자들이 종업원으로 나오는 행사를 열고 있다. 치매 환자에게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거나 혜택을 주는 ‘치매 카페’도 전국에 약 5천여 개 있으며, 치매 환자를 도우려는 자원봉사자들이 전국에 ‘치매 스포터(spotter)’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다. 

 

민간단체 ‘주문을 잘못 알아듣는 식당(Restaurant of Mistaken Orders)’는 ‘치매 환자도 보통 생활을 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자’는 취지에서 부정기적으로 행사를 진행한다. 일본 도쿄 도심 후생노동성 식당에서 65-91세의 치매 환자 7명이 지난 3월 4일부터 이틀간 손님을 안내하고, 음식을 주문받아 전달했다. 행사 취지에 공감한 손님들은 주문한 것과 다른 음식이 나와도 다들 불평없이 웃으며 식사했다고 한다. 식당 특별종업원(치매 환자)들이 잘못 알아들은 비율은 37%를 차지했으나, 손님들 99%가 ‘괜찮다’과 응답했다. 또한 손님 중 95%가 “치매 환자에 대해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됐다”고 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KBS-1TV를 통해 <KBS 스페셜> ‘주문을 잊은 음식점’ 2부작이 8월 9일과 16일에 방송되었다. ‘치매’를 소재로 한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내용은 이연복 총괄셰프와 개그우먼 송은이가 매니저가 되어 경증치매 어르신 5명과 이틀간 음식점을 운영하는 스토리로 구성되었다.

 

‘주문을 잊은 음식점’은 치매 어르신들의 구구절절한 삶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이들과 함께 음식점을 운영하는 모습을 발랄하게 보여주었다. 이 다큐멘터리를 통해 치매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과 공포를 갖은 사람들을 안심시키고 치매환자들과 쌓았던 벽을 허물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매니저로 모든 것을 총괄한 송은이는 “살면서 체득해오신 게 자연스럽게 나오더라. 제가 섣불렀구나 생각했다.”고 말했다. 

 

건망증(健忘症), 경도인지장애(輕度認知障碍), 치매(癡呆)의 차이점은 예를 들어 식당에서 식사 후에 식당 주인이 ‘손님, 계산 안 하셨어요’ 라고 말했을 때 “깜박했네” 하면 건망증, “내가 계산을 안 했나?” 하면 경도인지장애,“내가 왜 계산을 해야 해?” 하면 치매인 경우다. 경도인지장애란 인지기능과 기억력은 떨어졌지만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능력은 보존된 상태를 말하며, 3분의 1 정도는 나중에 치매로 진행된다. 학습이나 운동 등 인지기능 개선요법으로 기억장애를 현저히 줄이고, 치매 발현 시기를 늦출 수 있다. 

 

보건복지부 중앙치매센터에서 권장하는 <치매예방수칙 3.3.3>은 다음과 같다. 3권(勸:즐길 것)은 운동(일주일에 3번 이상 걷기), 식사(생선과 채소를 골고루 챙겨 먹기), 독서(부지런히 읽고 쓰기)이며, 3금(禁:참을 것)은 절주(술은 한 번에 3잔보다 적게 마신다), 금연(담배는 피우지 않는다), 뇌손상 예방(머리를 다치지 않도록 조심한다)이며, 3행(行:챙길 것)은 건강검진(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3가지를 정기적으로 체크한다), 소통(가족과 친구를 자주 연락하고 만난다), 치매조기발견(매년 보건소에서 치매조기검진를 받는다) 등이다. 

 

세대별 <치매 예방 액션플랜>은 청년기(靑年期)에는 하루 세 끼를 꼭 챙겨먹으며, 평생 즐길 수 있는 취미로 운동을 하며, 머리를 다치지 않도록 조심한다. 장년기(壯年期)에는 생활습관에서 오는 질병은 꾸준히 치료하며, 우울증은 적극 치료한다. 노년기(老年期)에는 매일매일 뇌신경을 자극하는 치매예방운동을 하며, 여러 사람들과 자주 어울리며, 매년 보건소에서 치매조기검진을 받는다. 

한국치매협회는 ‘치매는 예방가능한 질병입니다’를 일반인에게 알리고 있다. 우리가 치매환자에게 “당신은 우리 사회에 계속 존재하고 있고, 당신은 언제나 얼마든지 작은일이던 더한 큰일이던 해 낼 수 있습니다” 라고 말해주는 사람이 한 사람씩 늘어난다면 ‘치매 친화 사회(Demenia Friendly Society)’를 조성할 수 있다.

 

6. 기적의 오토파지 금식과 디톡스

댓글 0 | 조회 408 | 2024.05.28
1. 오토파지의 정의오토파지는 그리스어이고, 의미는 자가포식이다. 이것은 세포 내의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나 사멸된 세포 쓰레기를 먹어 치우는 세포의 고유 기능을 지… 더보기

72근의 정(精)을 아껴라

댓글 0 | 조회 250 | 2024.05.28
인간은 태어날 때 몸을 에너지화 할 수 있는 자원을 무한정 부여받지는 않습니다. 에너지는 유한하기에 인간이라고 해서 마냥 받을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그래서 받는 … 더보기

나이 들면 뭐가 중헌디?

댓글 0 | 조회 812 | 2024.05.25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성인에게 일주일에 최소 150분 이상 중등도 강도의 운동을 할 것을 권장한다. 또 근력 운동과 균형 운동은 적어도 일주일에 두 번… 더보기

5. 장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식습관과 운동

댓글 0 | 조회 1,011 | 2024.05.20
1. 장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식습관장이 회복되기 위해서 노력을 해야 하며, 약 66일간만 노력하면 습관이 들어 (뇌 습관 회로가 바뀜), 쉽게 평생 좋은 식습관… 더보기

선거와 이미지

댓글 0 | 조회 389 | 2024.05.15
“정치는 국민의 마음을 읽는 예술이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그렇게 볼 때 지난 4월10일 한국의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은 58%의 국민 속에 자리를 잡았고 … 더보기

가스 안전에 관하여

댓글 0 | 조회 404 | 2024.05.15
안녕하세요, 넥서스 플러밍의 김도형입니다. 오늘은 뉴질랜드에서의 가스 에너지 사용 및 관련 안전 지침에 대해 말해보고자 합니다.뉴질랜드는 주요 에너지원 중 하나로… 더보기

멀어도 멀지 않은 길

댓글 0 | 조회 202 | 2024.05.15
스페인에서 온 연인의 범어사 템플스테이그런 길이 있다.분명 긴 시간을 내야만 도착지에 이를 수 있는 길인데떠올리는 것만으로도 설레고 기다려지는 길.길에 오르기 시… 더보기

종자

댓글 0 | 조회 170 | 2024.05.15
시인 최 재호울음 그친 하늘이 다시 내게로 온다짓눌렸던 평온을 쓰다듬어희망의 늦잠을 깨우며거리엔 청소 끝난 하수를 흘려 보내듯그 눈물로 긴 여정 끝의 내 더러운 … 더보기

알고 나면 속 시원한 학생비자

댓글 0 | 조회 586 | 2024.05.15
뉴질랜드에서 학업을 시작하고자 하면, 그에 걸 맞는 비자상태를 득한 상태에서 가능하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상황에 접하게 되는 순간, 소위 … 더보기

Pink Shirt Day

댓글 0 | 조회 594 | 2024.05.15
2024년 5월17일(금요일)은 핑크셔츠데이(Pink Shirt Day) 입니다. 핑크셔츠데이는 뉴질랜드에서 일어나는 괴롭힘을 근절하고자 만든 날입니다. 뉴질랜드… 더보기

잔인한 5월

댓글 0 | 조회 544 | 2024.05.15
‘그니까요 쌤~ 제가 자~알 알아 들었다니까요~ 잔소리는 이제 그마~~안~~’누가 선생이고 누가 학생인지 헷갈릴 정도로 Y의 목소리는 평온했습니다. 이미 이렇게 … 더보기

4. 유익균을 늘리고 유해균을 억재하는 식사와 생활 습관

댓글 0 | 조회 950 | 2024.05.14
1. 유익균이 좋아하는 음식과 습관들유익균은 주로 섬유질을 좋아한다. 유익균은 섬유질을 분해하여 다른 좋은 물질들을 만드는 일을 한다. 충분한 섬유질을 먹지 않으… 더보기

두 죽음의 방식: 홍세화와 서경식

댓글 0 | 조회 576 | 2024.05.14
▲ 왼쪽부터 고 홍세화 장발장은행장, 고 서경식 일본 도쿄경제대 명예교수. 한겨레 자료사진지난 4월20일 오후에는 2023년 12월18일 세상을 뜬 재일 디아스포… 더보기

우리 명상은 철저한 내공

댓글 0 | 조회 185 | 2024.05.14
명상에는 크게 외공(外功)과 내공(內功)이 있습니다. 외공이란 기운을 밖으로 발산해서 무술을 하거나, 병을 고치거나 하는 것으로서 기공(氣功)은 거의 다 외공입니… 더보기

쓰레기통을 내어 놓다가

댓글 0 | 조회 1,063 | 2024.05.14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고양이 발걸음도 들리려는 밤쓰레기통 내어 놓다가밤하늘이 고와그대로 먼 길 떠나한 사흘쯤 걸어얼기설기 사립문발끝걸음 들어서면토방에 놓인 신발 … 더보기

지출 내역 절약하기

댓글 0 | 조회 438 | 2024.05.14
사업을 운영하는 것은 항상 특정 비용 또는 ‘지출’을 발생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큰 규모의 가족 사업이건 소규모 신생 기업이건 비용, 경상비 및 공급업체 청구서가… 더보기

아이가 밥을 잘 먹지 않고 잔병치레가 잦나요?(1)

댓글 0 | 조회 200 | 2024.05.14
일반적으로 허약아란 몸이 야위고 자주 잔병치레를 하며, 힘이 없고 밥을 잘 먹지 않으며, 매우 신경질적인 아이를 말한다. 하지만 겉보기에는 튼튼하지만 물렁물렁한 … 더보기

건강을 위해 맨발로 걷는다

댓글 0 | 조회 483 | 2024.05.11
‘한 번도 안 해 본 사람은 있어도, 한 번만 해본 사람은 없다’는 신발을 벗고 맨발로 걸어 본 사람들의 이야기다. 맨발걷기에 좋은 계절인 4-5월을 맞아 전국 … 더보기

박노자 “성공만 비추는 한국식 동포관, 숨은 고통과 차별 외면”

댓글 0 | 조회 932 | 2024.04.24
▲ 노르웨이 오슬로대 인문학부 교수이자 귀화한 러시아계 한국인인 박노자(48) 교수2001년 러시아에서 한국으로 귀화한 박노자 노르웨이 오슬로대 인문학부 교수에게… 더보기

4월

댓글 0 | 조회 360 | 2024.04.24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까까머리 학창시절에나는 4월에서야 겨울 내복을 벗었다입은 내복이 덥다고 느껴질 때교회친구 여자아이들은흰 카라에 학교 뱃지 빛나는목련처럼 예쁜… 더보기

강화된 워크비자와 무슨 상관?

댓글 0 | 조회 1,764 | 2024.04.24
일요일이었던 지난 4월 7일, 이민부는 전격적인 발표를 통하여 워크비자와 관련된 이들을 큰 혼란에 빠뜨렸습니다. 주말이지만, 어쩔 수 없이 제게 연락을 준 분들도… 더보기

척추가 튼튼해야 건강이 유지됩니다

댓글 0 | 조회 584 | 2024.04.24
일상생활에서 어떤 특정한 동작을 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몸을 어떻게 움직이는 것이 좋은 지 생각하지 않고 무심코 행동하는 편이다. 사소한 것 같지만 이렇게 몸을… 더보기

어떤 종이컵 모닝커피

댓글 0 | 조회 687 | 2024.04.24
이른아침 부지런히 외출준비를 서두른다.평소에는 아침을 거르고 점심을 겸해서 느직히 아점을 먹는다. 그런데 꾸역꾸역 밥을 먹으려니 고역이었다. 빈 속으로 나갈수 없… 더보기

공부가 나를 망쳤다 2

댓글 0 | 조회 482 | 2024.04.24
지난 시간엔 사회학자 엄기호님의 글을 바탕으로 맹목적이고 성적지향적인 공부가 우리 학생들에게 장기적으로 미치는 부정적이 영향에 대해 이야기 해 보았습니다. 간략하… 더보기

내 사랑으로 네가 자유롭기를

댓글 0 | 조회 236 | 2024.04.24
엄마와 딸의 춘천 청평사 템플스테이이영미 씨에게 춘천 청평사는 첫사랑 같은 절이다.서울에서 엄마이자 아내, 직장여성으로바쁘게 살아가는 영미 씨는스무 살, 성년이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