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과 민족/국민주의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인터넷과 민족/국민주의

0 개 741 명사칼럼

저는 인터넷을 1997년부터 정기적으로 사용해 왔습니다. 1990년대 중반, 박사 학위 논문 자료를 수집했을 때에는, 인터넷 사용법을 아직 몰라서 가야사 관련의 일체 논문들을 국립 중앙 도서관에서 하나 하나 일일이 찾아내서 제 손으로 복사하는 등 전혀 다른 방식의 삶을 살았던 것이죠. 요즘 같아서는, 2-3시간 내에 데이타베이스에서 다 내려 받아 챙길 수 있는데, 그 때 논문 자료 수집은 5개월 걸렸습니다. 인터넷이 삶을 바꾼 많은 사례 중의 하나죠. 


06dfbc8ed538c44a24684554c41c3f9c_1676427609_1484.png
 

​인터넷의 어린 시절이라고 할 1990년대를 생각해보면, 그 때만 해도 인터넷을 “세계화” 담론과 대개 결부지어 논했던 것을 기억할 수 있습니다. “네티즌”, “누리꾼”들에게는 어떤 “세계성”, “탈영토성” 등을 기대했던 것이고, 그걸 그 당시에 유행했던 “유목” 담론과 또 연결시키기도 했습니다. 인터넷으로 무장한 새 세대가 특정 국가나 민족에 속하지 않는, 각종의 경계선들을 자유자재로 월경할 수 있는 “보편인”이 될 것을, 그 때 많은 사람들이 기대했습니다. 이건 “탈민족”, “탈국가” 등과 궤를 같이 하는 걸로 이해되며, 종합적으로 “탈근대”로 개념화되곤 했습니다. “국경 없는 인터넷”은 그 “탈근대”의 상징 그 자체이었죠. 


러시아라는 초대형 근대 국가가 그 이웃나라에 대해 18세기나 19세기에 있었을 법한 “영토적 침략”을 벌이고, 그 이웃나라에서는 전형적인 “애국적 국민 동원”이 이루어지고, 서방의 국민 국가들이 러시아와의 관계들을 최소화하면서 그 이웃나라를 지원하고 있는 지금에 와서는, 그 “탈근대”에 관한 그 당시의 기대들은 그야말로 “春夢”, 아름답지만 아무런 현실성이 없었던 일개의 “꿈”으로 느껴집니다. 1990년대 대기업 위주의 세계화 와중에서 좀 다르게 보였지만, 실질적으로는 우리는 자본주의적, 국가적 “근대”를 한 치도 벗어난 적이 없었습니다. 저처럼 한 나라에서 태어나고 다른 나라의 국적을 타고, 제3의 곳에서 일하는 자의 내지 타의의 “월경인”들은 물론 존재하지만 예외적 경우에 속합니다. 우리 동시대인들의 대부분은 여전히 “국민”들이고 네이션, 국가에 대한 비교적 확고한 소속 의식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인터넷은 그 의식을 강화시킬 뿐이죠. 


일단 인터넷에는 “국경”이 없진 않죠. 한국 네티즘은 원칙상 국내에서 북한 사이트를 접근할 수 없습니다. 북한은 아예 다수의 네티즌들이 국내망인 광명망만을 접속할 수 있으며, 중국에서는 상당수의 외국 사이트와 SNS 등이 차단돼 있습니다. 러시아도 페북을 접근 차단시키며, 요즘 유튜브 접근 차단 등을 논의하는 중입니다. 서방에서는 중-러-북 사이트를 접속할 수 있지만 예컨대 페북에서 공유하려 하면, “이 사이트는 .....의 정부의 통제를 받는다”는 꼬리표가 붙을 겁니다. 그 내용을 그대로 신뢰하지 말란 이야기죠. 반대로 CNN이나 BBC 기사를 공유하면 아무런 꼬리표가 나타나지 않을 겁니다. 신뢰해도 된단 무언의 표시인 셈이죠. 그러니 인터넷이 전혀 영토성이나 국경이 없다는 이야기는 사실과 다릅니다. 이미 가상 공간도 다 영토화돼 있죠. 



그 영토화는, 그 이용 패턴들이 국적별로 다르다는 것에서 나타납니다. 한국 네티즌이 네이버 같은 국내 포탈이나 카카오, 아니면 페북의 한글 내용 위주로 온라인 생활을 할 확률이 높습니다. 반대로 중국이나 러시아 네티즌 중에서는 페북 이용자들은 극소수 (주로 재외 체류자)입니다. 중국인이라면 微信, 그리고 https://us.weibo.com/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가 하면, 러시아인들은 vk.com이나 ok.ru로 갈 겁니다. 그러니 페북 등 서방 SNS을 중심으로 해서 러시아의 침략 행위를 비판하는 여론의 폭풍이 일어나도, 서방 SNS 자체에 노출되어 있지도 않은 대부분의 러시아인들은 그 사실을 눈치채기가 쉽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vk.com이나 ok.ru의 내용이야 당국의 “관리”를 계속 받는 것이지요. SNS 아닌, 일반 뉴스 포탈로도, 대개의 러시아인들이 dzen.ru 처럼 당국의 촘촘한 통제를 받는, 한데 이와 동시에 러시아 국내 사용자들의 구미에 최적화돼 있는 포탈로 가는 것이지, news.google.com으로 가지 않습니다. “국내인 구미에 최적화돼 있는”가의 여부 이외에 중요한 부분은 “언어”가 차지합니다. 러시아의 인구 중에서 영어 능통자들은 약 5%에 불과합니다. 한데 러시아보다 훨씬 더 미국 언어나 문화에 노출돼 있는 한국이라 해도, 별 불편없이 영문 등 해외 포탈이나 SNS 등을 한글이 아닌 영어 등 외국어로 할 수 있는 인구는 과연 전체의 10%를 넘을 수 있을까요? 결국 “언어”야말로 인터넷에 새겨진 가장 넘기 힘든 “국경”으로 기능하는 것 같습니다. 


결국 지금 인터넷이란 “상상의 공동체”로서의 네이션, 내지 국민에의 소속 의식을 차라리 강화시키면 강화시키지, 약화시키지 않습니다. 자본주의 말기의 위기가 깊어질수록 각종의 퇴영적인 군사적 애국주의, 국민주의 등등이 계속 더더욱더 기승을 부릴 것이고, 인터넷은 오히려 그 애국주의의 만연을 더 도와주고 있을 겁니다. 인터넷 이상으로 더 큰 문제는, 민족/국민주의를 상대화시킬 수 있는 “계급” 담론이 너무나 약화됐다는 사실이죠. 사실 단순한 “매체”인 인터넷보다는 이 사실이야말로 제일 큰 문제입니다....


06dfbc8ed538c44a24684554c41c3f9c_1676427645_1027.png
 

■ 박 노자


오슬로대학교수, 한국학자, 칼럼니스트


소련의 레닌그라드(현재의 상트페데르부르크)에서 태어나 자랐고, 본명은 ‘블라디미르 티호노프’다. 2001년 귀화하여 한국인이 되었다. 레닌그라드 대학 극동사학과에서 조선사를 전공했고, 모스크바 대학에서 고대 가야사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노르웨이 오슬로 대학에서 한국학과 동아시아학을 가르치고 있다.


한국 사회에 대한 비판적인 칼럼들을 묶은 『당신들의 대한민국』 으로 주목받았으며, 『주식회사 대한민국』 『비굴의 시대』 『당신을 위한 국가는 없다』 『전환의 시대』등은 이 연장선상의 저작이다. 『거꾸로 보는 고대사』 『우리가 몰랐던 동아시아』 『우승열패의 신화』 『러시아 혁명사 강의』 등을 통해 역사 연구자로서의 작업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사비로 천도했다”는 문장에서 학생들이 헤매고 있어요

댓글 0 | 조회 893 | 2023.04.11
■ 서 부원오늘도 역사 수업을 하다가 교실이 꺼질 듯 한숨을 내쉬게 된다. 강의에 대한 이해는커녕 교과서에 나오는 기본적인 단어의 뜻조차 모르는 아이가 많아서다.… 더보기

건망증은 왜 생길까?

댓글 0 | 조회 679 | 2023.04.11
건망증을 일으키는 원인을 살펴보면,첫번째는 많은 생각들과 고민들로 인하여 비위가 손상되거나, 심화(心火)가 인체의 아래부위로 잘 내려가질 못해 신수(腎水)와 서로… 더보기

웨지 샷(Wedge Shot) 임팩트

댓글 0 | 조회 626 | 2023.04.11
웨지의 어드레스는 소문자 ‘y’의 자세가 가장 이상적이라고 앞에서 설명했다. 클럽페이스가 로프트가 있고 강력한 다운 블로샷을 구사하기 위해 볼의 위치가 우측으로 … 더보기

환골탈태

댓글 0 | 조회 976 | 2023.04.11
석 달이 다 되어가는 여행을 마치고 집에 돌아왔다. 갑자기 아버지께서 위독하시다는 전갈을 시작으로 예정에도 없었던 여행을 시작하게 된 것이다. 다행히 아버지는 내… 더보기

호박

댓글 0 | 조회 752 | 2023.04.11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나 어릴 적부터호박이라고 호박꽃이라고놀려대는 말이었지살면서 알아진 것은아이 낳고 붓기 빼는 데는늙은 호박이 최고애호박이 안 들어간된장찌게는 … 더보기

사랑해 메간

댓글 0 | 조회 790 | 2023.04.11
눈길을 운전하던 일가족이 교통사고를 당했고 뒷자리의 어린 딸만 살아남았다. 하나뿐인 이모가 이 아이를 키우기로 자처하고 데려오지만 눈앞이 캄캄해 진다. 육아 경험… 더보기

대장암(大腸癌, Colon Cancer)

댓글 0 | 조회 1,645 | 2023.04.07
“보라! 우리는 기쁨에 넘쳐 자유의 횃불을 올린다. 보라! 우리는 캄캄한 밤의 침묵에 자유의 종을 난타하는 타수의 일익(一翼)임을 자랑한다...(중략)...보라!… 더보기

자금 운용(cashflow)과 이익(profit) 중 어떤 것이 더 중요한가요?

댓글 0 | 조회 1,113 | 2023.03.28
자금운용과 이익은 모든 비즈니스에 있어 가장 중요한 재정 지표 중 두 가지입니다. 자금운용과 이익 둘다 회사의 재무 성과와 관련이 있지만 서로 다른 것을 측정합니… 더보기

동학농민운동의 목적은 무엇이었을까?

댓글 0 | 조회 726 | 2023.03.28
큰 틀에서 보면, 동학농민운동은 1894년 음력 1월에 점화되어 1895년 3월에 일단락되었어요. 14개월에 걸쳐 숨 가쁘게 많은 일이 일어났지요. 그때의 여러 … 더보기

스님과 두런두런 보물찾기

댓글 0 | 조회 689 | 2023.03.28
승보종찰 순천 송광사 (僧寶宗刹 順天 松廣寺)송광사는 고려시대 보조지눌 국사를 포함해 지금까지 16분의 국사를 배출해 불법승(佛法僧) 세 가지의 보물 중 스님이 … 더보기

지금 세상이 나는 좋다

댓글 0 | 조회 754 | 2023.03.28
때만 되면 어김없이 불러다 치료를 해 주는 안과병원. 그렇게 지금까지 수년동안 눈을 잘 지켜주어 밝게 살아가고 있다. 최첨단 기술좋은 시대에 살고있으니 행운이 아… 더보기

친구들과 같이 공부하는 법 (2)

댓글 0 | 조회 623 | 2023.03.28
지난 호에 이어 그룹 학습을 통하여 가장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한 주요 팁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3. 공부 시간을 정하고 정기적으로 휴식을 취하십시오.대부분의 … 더보기

꿈꾸는 당신

댓글 0 | 조회 573 | 2023.03.28
시인 마 종기내가 채워주지 못한 것을당신은 어디서 구해 빈터를 채우는가내가 덮어주지 못한 곳을당신은 어떻게 탄탄히 메워떨리는 오한을 이겨내는가헤매며 한정없이 찾고… 더보기

워킹홀리데이 비자, 그 잡채

댓글 0 | 조회 1,965 | 2023.03.28
한국 국적자에게 할당된 연간 3,000명의 뉴질랜드 워킹홀리데이 쿼터가 순식간에 채워지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던 코로나 바이러스시대가… 더보기

버킷리스트

댓글 0 | 조회 730 | 2023.03.28
(1) 영어설교 통역하기*이번 주일 설교도 힘들었는데 영어 설교 통역은 그저 희망으로 남겨야 하나!(2) 고스톱 배우기 *아버지께서 금지시킨 화투를 당신 안 계신… 더보기

웨지 샷(Wedge Shot) 다운스윙의 이해

댓글 0 | 조회 748 | 2023.03.28
긴 클럽의 다운스윙은 전환(Transition)의 단계를 거쳐 축적된 파워를 손실없이 임팩트로 가져가는 역할이다. 여기에 파워와 스피드를 더 올려주기 때문에 다운… 더보기

고용법 개정 동향

댓글 0 | 조회 1,030 | 2023.03.27
2018년 고용관계법이 크게 개정된 이후 뉴질랜드 정부는 지난 몇 년간 고용 관련 법률을 점진적으로 개정해 왔습니다. 5일에서 10일로 늘어난 병가, 가정폭력의 … 더보기

100Reps 올인원 전신 다이어트에 도전하는 날!

댓글 0 | 조회 690 | 2023.03.27
제 수업을 꾸준히 듣는 줌라이브 수업 회원들과 유튜브 구독자들로부터 듣고 있는 긍정적인 피드백 중 하나가 체중과 눈에 보이는 신체의 변화인데요, 체중이 줄어든 것… 더보기

맑은 기운, 탁한 기운

댓글 0 | 조회 884 | 2023.03.27
기운은 맑고 탁함에 따라 정기(精氣)와 탁기(濁氣)로 나뉩니다. 정기는 맑고 밝고 온화해서 사람을 편안하게 하는 기운이고, 탁기는 매연같이 탁한 기운입니다.탁기를… 더보기

췌장암(膵臟癌)

댓글 0 | 조회 977 | 2023.03.24
<73세에 시작한 마라톤 88할(세)때까지 달린다>란 제목의 책자를 발간한 필자의 고등학교 동창생 L박사(행정학)가 지난 2월에 췌장암(膵臟癌) 말기 … 더보기

자녀들의 문제로 고민하세요?

댓글 0 | 조회 1,415 | 2023.03.15
- 학부모 지원 그룹과 도박의 종류아시안 패밀리 서비스의 무료 상담의 대상은 도박자나 도박자의 가족들 그리고 도박자가 주변인으로 있는 분들입니다. 보건복지부에서 … 더보기

신 노인시대를 어떻게 즐길 것인가?

댓글 0 | 조회 1,765 | 2023.03.15
“아는 것은 좋아하는 것만 못하고 좋아하는 것은 즐기는 것만 못하다. 知之者 不如好之者, 好之者 不如樂之者” 공자의 논어에 나오는 말이다. 공자는 한번뿐인 인생을… 더보기

신권위주의, 외로운 이들을 사로잡는 지배전략

댓글 0 | 조회 812 | 2023.03.15
▲ 일러스트레이션 김대중우크라이나 침공을 포함해 최근 러시아의 상황을 지켜보는 외부자들이 놀라는 한가지 사실이 있다. 합리적인 이유를 찾기 힘든 푸틴의 높은 지지… 더보기

달을 기다리는 마음으로 산다는 것

댓글 0 | 조회 700 | 2023.03.15
강진 무위사 ‘달빛 명상’달이 뜨는 산, 달 아래 마을달의 아이들이 뛰놀고무위사 극락보전이아름답게 빛나는 순간이다둥글게 달이 떠오르고세상의 모든 존재들이충일하게 … 더보기

어서와, 파트너쉽 비자는 처음이지

댓글 0 | 조회 3,488 | 2023.03.15
한국적인 정서상, “파트너-partner”라고 하면 조금 생소할 수 있습니다만, 뉴질랜드 이민부가 이해하는 파트너는 좀 더 포괄적인 의미입니다. 합법적으로 결혼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