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일류 전문적 부동산 에이전트를 지향하는 마리오 박

초일류 전문적 부동산 에이전트를 지향하는 마리오 박

0 개 6,354 KoreaTimes

올해 초부터 부동산 시장이 불황에 접어들면서 부동산 판매량이 크게 줄고 부동산 가격은 하락하는 등 언론에서는 부동산 경기 침체에 대해 여러 방면으로 보도 하고 있다. 내 집 마련의 꿈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부동산 시장에 큰 관심을 갖고 있을 텐데 언론의 보도와 주위사람들의 말로만으로는 판단을 하기가 혼란스러울 것이다. 이민의 문은 넓어질 기미가 안 보이고 올해 연말에 있을 총리선거로 사회는 혼란스러운데 과연 뉴질랜드 경기는 활력을 되찾게 될지 아무도 모르는 일이다. 그러나 교민들의 관심이 큰 부동산 시장의 궁금한 점들을 조금이나마 알아보기 위해 부동산 에이전트 Ray White의 NZ 엘리트 멤버이자 현재 밀포드(Milford) 지점 오너인 마리오 박(본명 박현수) 씨를 만나 최근 부동산 시장의 근황에 대해 인터뷰해 보았다.

이민을 오게 된 동기는 무엇인가?
1995년 1월 달, 한국의 경기는 좋았음에도 불구하고 뉴질랜드로 이민을 오게 됐다. 이민 오기 전 화학연구소에서 근무하고 있었는데 당시 영어의 압박이 큰 스트레스로 다가왔고 내 자녀들에게는 똑같은 문제를 되 물려 주고 싶지 않았기 때문에 자연이 아름다운 영어권 나라 뉴질랜드로 이민 오게 됐다. 처음 뉴질랜드에 도착했을 때 영어로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아 또 한 번 스트레스를 받았지만 블라인드 회사(Blind Company)에 취직해 현지인들과 부딪히고 현지사회에 융화되어 보니 영어가 조금씩 들리며 실력이 점차 발전했다. 하지만 처음 유니텍에서 6개월 과정의 컴퓨터 코스를 등록 했는데 영어가 안 들리다 보니 숙제가 있는 줄도 몰라서 다른 학생들은 모두 숙제를 낼 때 혼자서 못 낸 경우도 있었다. (웃음)

부동산 업계에서 근무하게 된 동기는?
앞서 말했듯 뉴질랜드에서 처음으로 취직한 곳이 블라인드 회사였다. 하루에 10~20군데 출장을 다니면서 경제를 보는 안목이 생기기 시작했는데 당시 비즈니스의 꽃은 부동산 에이전트로 최고의 사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뿐만 아니라 부를 축적한 사람들의 대부분은 세일즈 부분에서 최고가 되어 성공한 사람들이다. 꼭 부를 이루고 싶어서 부동산 시장에 발을 디딘 건 아니지만 부동산 시장에 매력을 느끼고 전문적인 한국인 부동산 에이전트를 만들어 봐야겠다고 다짐하게 됐다.

최근 부동산 시장의 근황은 어떠한가?
국가경제는 하락세와 상승세를 반복하며 서서히 상승하는 것이 이상적인 성장 곡선이므로 다시 회복될 것으로 믿는다. 2006년 12월 부동산 시장은 급상승하기 시작했고 2007년 5월까지 부동산 시장의 경기는 지난 10년 중 가장 힘있는 상승을 한 기간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 후 은행들이 모기지 이자율을 줄줄이 인상하고 정부에서 부동산 거품을 제거하기 위해 기준금리(OCR)를 높이면서 부동산 시장은 냉각기에 접어들었다. 현재 확실한 것은 수입보다 지출이 많고 유가는 고공행진으로 멈출 줄 모르며 모기지 이자율의 인상으로 많은 사람들은 주택 대출금을 갚느라 힘들어 하고 있다. 현재(5월 기준) 부동산 판매량은 작년 같은 달 대비 반 이상으로 줄었으며 부동산 값은 보합세를 이루고 있다.

향후 부동산 시장의 전망은?
최근 주요 은행들이 모기지 이자율을 인하시키기 시작하면서 개인적으로 올해 6월 안에 기준금리가 낮춰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경제는 예측만 할 수 있을 뿐 확실하게 단정 지을 순 없지만 기준금리가 낮춰진다면 부동산 시장도 차츰 회복 되고 경제도 안정될 듯 하다. 뿐만 아니라 올해 4월~5월 달의 부동산 매물 리스트는 크게 줄어드는 상황이고 현재 부동산 시장에는 수 많은 잠재 바이어들이 시간만 기다리고 있는 중이므로 스프링도 밟으면 다시 튕겨 올라오듯이 부동산 시장도 지금은 침체됐지만 곧 안정세를 되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분명한 것은 지난 30년 간 매 10년 마다 집 값은 항상 2배씩 올랐다는 것이 뉴질랜드 통계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부동산 시장을 포함한 뉴질랜드 경제는 정부에서 기준금리와 이자율을 언제 얼마나 낮추느냐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내 집 마련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조언을 한다면?
Panic Sale 을 노려라! Panic Sale은 대출금을 다 갚지 못해 스트레스를 받아 팔려고 내놓거나, 해외로 이주를 하기 위해 내 놓은 급매물을 말한다. 단 Panic Sale은 그 가격이 적당한지에 관한 전문적인 자문이 필요한 관계로 내 집 마련을 준비하는 사람들은 전문가와의 상담이 반드시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전문가들과 상담을 통해 자신이 경제적으로 감당할 수 있을 정도의 집을 구매하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무리한 주택구매는 평생을 대출금만 갚으며 스트레스 속에서 살게 되거나, 또 다른 Panic Sale의 희생자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일을 하면서 가장 보람을 느낄 때와 향후 계획은?
내 집을 마련하거나 투자를 목적으로 소유물을 구매하기 위해 찾아오는 고객들과 상담을 하며 이 사람들의 미래를 함께 나누고 도와주는 것 자체가 참 의미 있고 보람된 일이다. 특히 젊은 부부들이 내 집 장만을 하기 위해 찾아오면 이들이 집을 장만할 수 있는 안목을 길러 주고 적극적으로 열심히 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때 뿌듯함을 느낀다. 사실 물가상승으로 경제는 어렵지만 젊은이들이 내 집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면 내가 일하는 것이 보람되게 느낀다. 또한 부동산업 법률상 일반 고객들을 보호하기 위해 모든 부동산 에이전트는 부동산 협회의 컨트롤을 받고 있는데 고객보호 차원에서 고객들이 만족하는 매매가 이루어지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레이화이트 밀포드 지점을 중심으로 초인류 프로페셔널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민 부동산 에이전트를 양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앞으로의 계획이다.  

글 : 이강진 기자(reporter@koreatimes.co.nz)








[379] 1.5세대 최초 한인 음악치료사 최희찬씨

댓글 0 | 조회 7,302 | 2009.01.19
1.5세대 최초 한인 음악치료사 NZ Raukatauri Music Therapy Center의 최희찬씨 "음악치료는 정신적, 육체적으로 장애가 있는 분들에게 음악을 통해서 이들의 감정을 이해하고 이들의 장애를 음악으로 개선하는 것입니다.” 1994년 초등학교 4학년 어린 나이에 부모를 따라서 뉴질랜드로 이민 오게 된 최희찬씨. 그녀는 어릴 적부터 예능계에 관심이 많아 한국무용, 발레, 피아노, 바이올린 등을 배우며 남다른 재… 더보기

"방황시기도 많고 배운 것도 많은 나의 유학생활" - 조헌기씨

댓글 0 | 조회 5,755 | 2008.08.05
"문득 뉴질랜드로 유학의 발을 내딛지 않고 한국에서 계속 살았다면 지금 나의 모습은 어떨까? 라는 생각을 합니다. 1998년 IMF 외환위기로 어느 가정과 마찬가지로 저희 부모님도 경제적으로 힘들었지만 막내아들 졸업시키기 위해 끝까지 지지해준 부모님에게 너무 감사 합니다.”중학교 3학년 당시 한국은 과도한 사교육 열풍과 학업성적에 유난히 민감해 명문 대학교에 입학하고 의사나 변호사와 같이 끝에‘사’자 들어가는 직업을 구해야 하… 더보기

현재 초일류 전문적 부동산 에이전트를 지향하는 마리오 박

댓글 0 | 조회 6,355 | 2008.08.05
올해 초부터 부동산 시장이 불황에 접어들면서 부동산 판매량이 크게 줄고 부동산 가격은 하락하는 등 언론에서는 부동산 경기 침체에 대해 여러 방면으로 보도 하고 있다. 내 집 마련의 꿈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부동산 시장에 큰 관심을 갖고 있을 텐데 언론의 보도와 주위사람들의 말로만으로는 판단을 하기가 혼란스러울 것이다. 이민의 문은 넓어질 기미가 안 보이고 올해 연말에 있을 총리선거로 사회는 혼란스러운데 과연 뉴질랜드 경기는… 더보기

아이비리그 포함 9개 명문대 합격자 - 김은형 학생

댓글 0 | 조회 8,081 | 2008.08.05
영국 옥스포드 무 조건부 합격, 미국 아이비리그 세 대학교 동시 합격, SAT 영어, 수학 만점 자! 김은형양(19)을 수식하는 화려한 문구가 4월 초 미국대학 정시 발표가 나자 교민사회에 큰 기쁨으로 회자되었는데 이번 5월 23일, 김은형양의 고교 졸업식에서 가족과 주변 사람들에게 다시 한 번 큰 기쁨을 전달하게 되었다. 지난 2년 동안 매 학년말 Dux로 각 학년을 마감한 그녀가 이번 졸업 학년에서도 Dux(미국에선 최 우… 더보기

세계가 주목하는 그녀! 피아니스트 이미연씨

댓글 0 | 조회 5,210 | 2008.08.05
1982년 부산에서 태어난 피아니스트 이미연씨(25)는 8살 때 피아노를 처음 시작했고, 그녀의 음악적 재능을 발견한 피아노 선생님들은 피아노 전공과 함께 유학을 권장했다. 1995년 가족과 함께 뉴질랜드로 이민 온 그녀는 1997년 영국 로얄음악학교(Royal College of Music)에서 주최하는 그레이드 8 연주시험에서 성악을 포함한 모든 악기 부문에서 뉴질랜드 최고의 점수를 획득해 로얄음악학교로부터 장학금과 전 세… 더보기

중국 요령성에서 뉴질랜드 이민까지

댓글 0 | 조회 5,492 | 2008.08.05
-고려 BBQ 대왕의 정용복 대표-돈벌기 위해 이민가방 하나 들고 중국 요령성에서 뉴질랜드로 이민 온 정용복씨. 고향을 떠나 뉴질랜드에서 둥지를 틀 것이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다는 그는 시간이 자신을 여기까지 데려다 놓았다고 말한다. 1995년 3개월짜리 관광비자로 뉴질랜드에 처음 도착한 그는 중국 요령성과는 다른 환경 때문에 적응하는 시간도 꽤 필요했지만 정착할 때부터 현재까지 주변에서 도와주신 분들이 너무 많아 항상 감… 더보기

NZ Stamford Hotel의 연회장 슈퍼바이저 - 도정완씨

댓글 0 | 조회 4,917 | 2008.08.05
24시간 365일 고객들을 위해 분주히 움직이는 호텔리어. 이들은 국제적인 매너를 겸비하며 친절하고 편안한 서비스를 고객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밤낮을 가리지 않고 열심히 발로 뛰는 전문가들이다. 세계적으로 다양한 국가의 고객들이 호텔을 방문하기 때문에 외국어도 골고루 알고 있으면 호텔리어로 근무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화려한 조명아래 단정한 유니폼을 입고 고객들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텔리어들이 멋있어 보이지만 고객들이 … 더보기

[343] 우리는 그들을 '가족'이라 합니다

댓글 0 | 조회 3,760 | 2006.10.24
한국인으로서는 아주 드물게 정신장애우들을 돌보고 있는 일을 하는 사람이 있다. 한국에서는 12년 동안 컴퓨터 엔지니어로 일하다가 뉴질랜드에 온 지 이제 4년차인 B씨. 결코 쉽지 않은 일이며 쉽게 드러낼 수도 없는 직업 특성상 한마디 한마디 건네 주는 말들이 조심스러웠다. 모두 그가 돌보는, 아니 이 나라의 모든 정신장애자를 존중하고 배려하기 위해서다. "더 높은 삶의 질을 원해서랄까요?" 이민의 목적을 물었던 질문에 너무 형… 더보기

[281] 종일이네 가족이야기

댓글 0 | 조회 5,337 | 2005.09.28
작가 이인순씨가 10년간의 침묵을 깨고 뉴질랜드로 이민간 한국의 한 가족이 그 곳에서 당당 하게 뿌리내리며 살아가기까지 겪어야 했던 힘든 과정을 꾸밈없이 그려낸 '뉴질랜드로 이민간 종일이 네 가족'을 펴냈다. 주로 어린이를 위한 동화를 많이 썼으며 현재도 한국학교에서 동화구연 교사로 활동 중인 이인순씨를 만나 보았다. "창작동기라면 제가 이 나라에 와서 직접 잔디를 깎으러 다니면서 겪었던 일들을 다른 이들에게도 열어 보이고 싶…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