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 침술 이어받아 환자들 돕고 싶어요" - 소냐 리 침구사

"아버지 침술 이어받아 환자들 돕고 싶어요" - 소냐 리 침구사

0 개 7,660 코리아포스트
 /인/터/뷰/

"어렸을 때부터 아버지를 붙들고 줄을 서서 침 놓아 달라며 하소연 하는 사람들을 많이 봐왔어요. 심지어 친척집에 방문하기만 해도 아버지가 온다는 소문을 듣고는 동네 사람들이 목이 빠지게 기다리고 있을 정도였지요. 사람들은 아버지에게 성의를 표하기 위해 잡곡, 김치, 계란 등을 가져다 주었고 우리 집에 김치가 바닥나는 일은 거의 없었어요.(웃음)”이러한 아버지의 모습을 보고 자란 덕분일까? 환자들이 아버지의 손을 거쳐 가면 회복되는 모습을 보면서 아버지의 훌륭한 침 기술을 물려 받아야 겠다는 생각이 간절해 졌다고 하는데... 침구사라는 외길을 걸어온 소냐 리(40) 원장님과 그녀의 아버지이자 스승인 이순용(77) 선생님을 만나 침구학과의 인연에 대해 나누어 보았다.

문 앞에서 필자를 반갑게 맞아 주는 소냐 리 원장님이 선뜻 악수를 청하더니 “반갑습니다. 그런데 손이 왜 이렇게 차가워요? 침 한방 놔 줘야겠네요.”라며 빙그레 웃는다. “보통 환자들과 처음 대면할 때 악수를 해보고, 그들의 피부 톤을 살펴보게 돼요. 손이 차가운지, 피부색이 누렇게 떴는지 등 표면적으로 1차적인 것들을 확인할 수 있어요. 한 마디로 직업병이죠.(웃음)” 두 아이의 엄마라는 사실이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젊음을 유지하고 있는 소냐 원장님은 최근 개인적인 가족사로 새롭게 이주한 홈 클리닉 때문에 정신없는 하루를 보내고 있다. “혼자서는 도저히 안 되겠어 호주에 계시는 아버지께 SOS를 요청했지 모에요. 보통 일 년에 한 두 번씩 부모님을 초청하는데 부모님이 오시면 얼마나 큰 도움이 되는지 몰라요. 아버지가 뉴질랜드에 오기만을 손꼽아 기다리는 교민들도 많을뿐더러 아버지의 침 기술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우기 때문이에요. 어머니는 손녀들을 돌봐 주시고 집안 일을 도와주세요.”

혼자서 침술원을 운영하고 어린 두 딸들을 키우는 막내 딸이 그저 안타깝기만 하다는 이순용 선생님은 이러한 내 딸이 남몰래 얼마나 고생을 했겠느냐며 금새 눈시울을 붉힌다. 이 선생님께 침구학에 열정을 갖게 된 계기가 무엇이냐고 묻자 그는 “한국에서 유도 7단 공인이었는데 유도술을 동기로 침구학에 큰 관심을 갖게 되었어요. 1970년대 침구학이 한국에서는 환영받지 못하는 의학으로 인식되자 이에 크게 낙담하고 1979년 가족과 함께 호주로 이민을 갔죠. 호주에서 침대 6개만 놓고 침술원을 개업해 90%의 외국인 손님들을 대상으로 침을 놓았죠. 입 소문이 얼마나 빠르던지 호주 유명 사업가들에서부터 고관들까지 소개를 받아 침을 맞으러 오는 환자들이 크게 늘어났어요. 어쩔 때는 예약환자들이 넘쳐서 못 받을 때도 있을 정도였어요.” 이 선생님을 보기 위해 해외에서도 예약 방문하는 환자들도 많았고, 반대로 몸이 불편한 고관들이 해외에 나갈 때는 이 선생님에게 부탁해 함께 출장을 요청하는 일도 빈번했다고 한다. 이 선생님께 고통을 하소연 하는 사람들은 대부분이 부인병과 중풍 등 고질병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었다. 무리하게 체력을 소모하는 일도 있고 아픈 환자들을 대하면 금새 피곤해질 법도 하지만 이 선생님은 “나는 환자를 돌보는 게 얼마나 좋은지 몰라요. 나는 침술에 미쳐서 하루라도 환자를 안 보면 견디지 못하는데 요즘 젊은 사람들이 이런 데 미치려고 하나요? 몇 년 전부터 호주에서는 침구학을 배우기 위한 대학생들에게 가르침을 주고 있죠.”라고 말한다.



현재 이 선생님은 호주에 거주하고 있지만 침술원 운영은 안하고 오로지 소냐 원장님을 돕기 위해 뉴질랜드에 가끔 방문해서 진찰에 응하고 있다. 원래는 소냐 원장님의 둘째 오빠가 아버지의 가업을 이어 가기 위해 침술학과에 입학했으나 환자에 대한 두려움이 있었는지 침술학과를 도중 하차하고, 당시 물리학과를 다니고 있었던 소냐 원장님이 아버지의 신기에 가까운 특별 침 기술을 전수받기 위해 아버지 몰래 침술학과로 전과했다고 한다. 침술학과 마지막 학년이 되어서야 아버지가 알게 되었다고… 호주에서 침술학과 4년 대학교를 졸업한 후 뉴질랜드에서 침술원을 개업한 소냐 원장님은 “나를 믿고 건강을 맡기는 환자들에게 너무 감사하고 점차 회복하는 모습을 보여 주어서 기쁩니다. 비록 내 몸이 힘들지만 여러 환자들이 건강해지는 모습에 일을 하면서 가장 큰 보람을 느끼고 있습니다. 아버지가 와 계시는 동안에는 아버지의 침술을 전수받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아버지의 훌륭한 기술과 나만의 노하우를 잘 혼합해 환자들을 치료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어요.”라고 말한다.

“두 명의 어린 딸들이 있는데 우리 딸들은 어렸을 때부터 침도 자주 맞아 봤고, 할아버지와 저를 대상으로 간단한 침도 놓아 주곤 해요. 제가 아프다고 하면 ‘엄마 내가 침 놔줄까?’ 하고 달려오는 딸을 보면 기특하기도 하고 나중에 아버지와 저의 뒤를 이을 수 있을까 라는 기대를 해 보기도 합니다.”

각박한 이민사회에서 정착하기 위해 바쁘게 생활하고 있는 이민 1세대들을 위해 소냐 원장님은 “몸이 조금 불편해도 ‘좀 있으면 곧 괜찮아 지겠지’ 라는 마음으로 참다가 병이 더 깊어질 수가 있는데 병은 발견했을 때 바로 잡아 줘야 그 치료기간이 최소화 됩니다. 병을 키우다 보면 치료기간도 길어지고 회복도 힘들어지게 되죠. 또한 침으로 환자들을 회복시킬 수도 있지만 이들이 섭취하는 음식과 긍정적인 마음도 굉장히 중요합니다.”라고 당부한다. 부정적인 생각을 갖게 되면 우울증이 생기고 이로 인해 병이 더욱 깊어질 수도 있다는 것이 그녀의 말. 요즘은 옛날처럼 전염병으로 앓는 사람들보다는 라이프스타일로 인해 발생하는 병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규칙적으로 알맞은 음식을 섭취하고, 적당한 운동도 하는 것이 제일 좋은 보약이 아닐까 싶다.

이 순용 선생님은 “교민들에게 꼭 소개해주고 싶은 민간요법이 있어요. 요새 감기로 고생하는 사람들을 꽤 많이 접하는데 취침 전 마스크를 착용하고 잔다면 기관지에 찬 바람이 들어가는 것을 최소화시켜 감기에 큰 도움을 얻을 수 있을거에요. 간단하고 쉬운 민간요법이기 때문에 한 번씩 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라고 전했다. 이 선생님은 막내 딸을 두고 호주로 가는 발걸음이 차마 떨어지지 않지만 잘 견뎌 낼 수 있을 거라고 믿고, 서로 멀지 않은 나라에 살고 있으니 손녀들과 딸이 보고 싶을 때는 자주 왕래할 계획이라며 인터뷰를 마무리 했다.



이강진 기자 reporter@koreapost.co.nz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업체탐방] NZ 최대 IT 전문 교육기관 - AMES IT ACADEMY

댓글 0 | 조회 5,110 | 2009.11.09
IT 산업은 뉴질랜드에서 가장 필요로 하고 많은 개발과 인력을 요구하는 업계이다. 장래성과 고수입 그리고 부족직업군이라는 이유로 유학 후 이민 신청이 가능한 업종으로 유망받고 있다. 그러므로 현지 뉴질랜드인들 뿐만 아니라 많은 이민자들과 유학생들이 IT 업계로의 진출을 원하고 있다. IT 전문 분야로 진출을 원하는 사람들은 많지만 실질적으로IT 업계의 특성상 관련된 분야의 전문기술과 자격증, 실무 경력이 없다면 IT 취업은 쉬… 더보기

오클랜드 매씨 대학교 - 엄 영 재즈학과 강사

댓글 0 | 조회 7,044 | 2009.10.27
 /인/터/뷰/365일 휴가라고는 챙겨 지내본 적이 없었으며, 나라에서 설날이니 추석이니 하며 공식적으로 휴가를 정해주었음에도 불구하고 쉴 수 없었던 삶. 밤샘 작업을 하는 날들은 허다했고, 새벽 1시에 일이 들어와도 로봇처럼 일어나서 작업을 서둘러 해야 했다. 한국에서 연세대학교 작곡학과를 졸업한 후 방송음악작곡가로 4년 정도의 시간을‘전쟁’속에서 지내야 했던 엄 영씨. 어린이 만화 프로그램이나 특집 프로그램에서 만나 볼 수… 더보기

[업체탐방] 우리의 전통 문화예술 - 서예교실

댓글 0 | 조회 4,921 | 2009.10.27
우리 전통 문화이자 예술인 서예를 익히고 즐기며 서양문화권인 뉴질랜드에서 이색적 문화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서예교실”을 소개하고자 한다. Glenfield에 있는 한우리교회의 문화센터가 운영하는“서예교실”의 회원들은 자신들의 완성을 위하여 땀을 흘리며 즐거움과 보람을 거두고 있다.2006년 10월에 시작해 이제 3년이 된 이 교실은 현재 15명의 회원들이 그윽한 먹 향기 속에서 서예에 열정을 기울이고 있다. 그 동안 지도해 … 더보기

멜리사 리 국회의원 - 문 소영 보좌관

댓글 0 | 조회 7,395 | 2009.10.16
/인/터/뷰/지난 2008년 11월 뉴질랜드에 한국인 최초 여성 국회의원이 탄생해 뉴질랜드 교민들뿐만 아니라 한국 및 해외 동포들에게 세계 한인 정치인으로 스포트라이트 받으며 화려하게 정치계에 입문한 멜리사 리(한국 명, 이지연) 국민당 국회의원. 그리고 그녀의 뒤에서 민원에 관련된 모든 일을 수행하며 멜리사 리 의원을 보좌하는 교민 자녀 1.5세대 문 소영(25) 보좌관. 지난 몇 년 동안 한인 행사가 있으면 한복을 곱게 차… 더보기

[업체탐방] NZ 자연 화장품의 선두 두자 - CNS 주식회사

댓글 0 | 조회 5,218 | 2009.10.12
푸른 자연과 때묻지 않은 아름다움. 뉴질랜드에 사는 교민이라면 누구나 자랑스러워 하는 세계적인 자랑거리이다. 지난 2001년 오클랜드에 설립된 CNS 는 지난 9년간 뉴질랜드 자연의 아름다움을 담은 각종 천연 화장품과 기능성 화장품을 제조, 뉴질랜드 내수 시장은 물론 해외 시장에 널리 공급해 오고 있다. CNS 는 지난해 7월 오클랜드 남부 타카니니에 최신 설비의 공장을 신축, 이전하고 그 동안의 여러 제품명을 통합, 사업영역… 더보기

세계 최대 스포츠웨어 Footlocker - 매니저 트레이너 신 민영씨

댓글 0 | 조회 6,060 | 2009.10.12
/인/터/뷰/ 매장에 가지런하게 디스플레이된 예쁜 운동화들과 스포츠 의류들, 소비자들의 지갑이 열릴 만한 반짝이는 아이템들, 환하게 웃는 얼굴, 그리고 직원들 인사관리에서부터 고객관리까지 세계 최대의 스포츠웨어 매장 Footlocker 뉴질랜드 본점인 퀸스트리트 매장을 비롯해 뉴마켓과 핸더슨 매장을 관리하는 뉴질랜드 교민 1.5세대 신 민영(26)씨. 대학교 2학년 때 아르바이트로 시작한 캐주얼 워커 포지션에서 현재는 20여명… 더보기

[업체탐방] 남십자성 어린이 예술단 - 제 12회 정기 연주회

댓글 0 | 조회 5,009 | 2009.09.21
남십자성 어린이 예술단은 1997년 4월 창단, 올해로 12회 정기공연을 갖는다. 음악에 재능이 있으며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9~16세의 교민 자녀 및 유학생 자녀들로 구성된 남십자성 어린이 예술단은 합창음악과 한국 고전 무용, 악기연주를 통하여 한국인의 우수한 문화를 뉴질랜드 사회에 소개하고 청소년들에게는 꿈과 사랑을 키워 주고 있다. 남심자성의 공연은 그 자체가 한국문화 퍼레이드다. 곱게 차려 입은 단복과 한복의 아름다움에 … 더보기
Now

현재 "아버지 침술 이어받아 환자들 돕고 싶어요" - 소냐 리 침구사

댓글 0 | 조회 7,661 | 2009.09.07
/인/터/뷰/"어렸을 때부터 아버지를 붙들고 줄을 서서 침 놓아 달라며 하소연 하는 사람들을 많이 봐왔어요. 심지어 친척집에 방문하기만 해도 아버지가 온다는 소문을 듣고는 동네 사람들이 목이 빠지게 기다리고 있을 정도였지요. 사람들은 아버지에게 성의를 표하기 위해 잡곡, 김치, 계란 등을 가져다 주었고 우리 집에 김치가 바닥나는 일은 거의 없었어요.(웃음)”이러한 아버지의 모습을 보고 자란 덕분일까? 환자들이 아버지의 손을 거… 더보기

[업체탐방] 창립 5주년… 한인 로타리 클럽

댓글 0 | 조회 4,525 | 2009.09.07
한인 로타리클럽(정식 명칭: Rotary Club of North Shore Inc.)의 창립 5주년을 축하하며 로타리 활동을 돌이켜 보고 교민 여러 분들의 참여 확대로 발전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로타리클럽은 1905년 Paul P. Harris 라는 미국의 청년 변호사가 시작하여“초아(超我)의 봉사(Service above Self)”라는 이상으로 지난 104년간 발전해 왔으며, 세계 200여 개국에서 3만여 개 클럽과 … 더보기

뉴질랜드 하나투어 - 곽 용민 대표이사

댓글 0 | 조회 6,820 | 2009.08.24
/인/터/뷰/뉴질랜드 관광산업은 자연과 관광을 알맞게 접목시킨 친환경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있으며, 뉴질랜드 전체 경제에 여행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10%나 된다. 각종 미디어 업계에서는 뉴질랜드를 “100% Pure”라는 문구와 함께 남반구 가장 밑에 위치해 있는 신비롭고 자연과 가장 가까운 나라로 광고하고 있다. 다운언더(Down Under)와 클린그린(Clean-Green)이라는 말이 너무나도 잘 어울리는 나라 뉴질랜… 더보기

[업체탐방] 재 뉴질랜드 한의사 협의회

댓글 0 | 조회 6,966 | 2009.08.24
- 재뉴질랜드 한의사 협의회 발족 동기는 무엇인가요.회원들간의 친목, 자질향상을 위한 교육, 한의학의 발전을 위한 학술연구, 보다 나은 한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회원 간의 협력, 지역사회에 대한 봉사 등을 목적으로 발족하게 되었으며, 지난 7월 21일 글렌필드 소재 제중한방병원에서 발기인총회를 갖고 발족했습니다. 정관을 결정하고 컴패니 오피스에 등록할 때 까지 임시회장에 이 난우 제중한방병원 원장을, 부회장에 김 택만 월오… 더보기

스탠포드 대학 석사 장학금 수여자 - 김 이안 군

댓글 0 | 조회 8,261 | 2009.08.10
/인/터/뷰/로토루아 남자고등학교(Rotorua Boys’High School) 마지막 학년을 Dux(최 우수 졸업자)로 졸업하고, 오클랜드 대학교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Biomedical Engineering) 학과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해 정부에서 후원하는 장학금 제도인 Fulbright Scholarship을 받은 김 이안 군이 오는 9월 중순 경 미국의 스탠포드 대학교에서 석사과정을 시작하러 유학 길에 오르게 된다. … 더보기

[업체탐방] 사회개발부 산하 Korean Women's Coffee Club

댓글 0 | 조회 4,084 | 2009.08.24
뉴질랜드 사회개발부(The Ministry of Social Development)가 주관하는 한국여성들을 위한 Korean Women’s Coffee Club(KWCC)의 회원가입 대상은 뉴질랜드에 거주하고 있는 모든 한국여성이며, 그 목적은 Network의 구성을 통해 각 회원간의 정보공유와 Community 참여를 통한 뉴질랜드의 성공적인 삶을 추구하는데 있다. 2009년에 결성된 KWCC는 뉴질랜드 사회개발부의 적극적인… 더보기

전직 육상국가대표 감독, NZ에서 새로운 도전 - 도호영 트레이너

댓글 0 | 조회 6,515 | 2009.07.28
/인/터/뷰/전직 높이뛰기 국가대표 선수, 육상국가대표 감독 8년 등 범상치 않은 경력을 소유하고 있는 도호영(50)씨가 화려한 경력을 등에 지고 뉴질랜드에 온 지도 벌써 7년이 되었다. 2002년 육상 감독으로 국가대표 선수팀을 이끌고 2002 부산아시안게임을 준비하기 위해 전지훈련을 온 곳이 바로 뉴질랜드였는데, 뉴질랜드의 좋은 공기 덕분일까? 2002 부산아시안게임 남자높이뛰기에서 한국 국가대표 선수들은 금메달과 은메달을… 더보기

뉴질랜드 교민 1세대 최초 부부변호사 - 안병국, 서정아 변호사

댓글 0 | 조회 8,986 | 2009.07.17
/인/터/뷰/이민 박람회가 한창이던 1995년, 두 부부는 이민답사를 전제로 약 2 주간의 뉴질랜드 여행길에 오른다. 그로부터 3 개월 후인 1995 년 9 월 쌀쌀하기만 했던 어느 봄날의 문턱, 그 봄날의 시작처럼 그들은 안정된 생활을 뒤로 한 채 무엇하나 보장되지 않은 나라 뉴질랜드로 새로운 삶을 선택한다. 후회할지도 모르는 상황에 처 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했지만 그러한 상황 역시 두 부부가 노력으로 극복해야 할 과정일… 더보기

[업체탐방] Bridge International College

댓글 0 | 조회 3,745 | 2009.07.13
Bridge International College는 뉴질랜드 최대도시인 오클랜드 시내 중심인 퀸스트릿에 위치하여 극장, 카페, 쇼핑몰, 라이브러리등 다양한 문화공간과의 접근이 편리하다. 브릿지에는 세계 각지 12 개국에서 온 90 여명의 학생들이 모여 영어를 공부하는 문화 교류의 장소이며, 나라와 문화를 연결하는 가교 (Bridge)의 역할을 한다.◇ 교사진브릿지에서는 성공적인 영어 학습의 가장 중요한 관건은 교사라는 신념하… 더보기

NZ 국내최초 AUT '골프학과' 개설 - 돈 최(최동수)씨

댓글 0 | 조회 5,833 | 2009.06.22
/인/터/뷰/뉴질랜드에 이민 온 지도 벌써 15년 째. 1994년 한국에서 운영하던 소규모의 무역업을 그만두고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찾기 위해 설레는 마음으로 가족과 함께 바다건너 오게 된 뉴질랜드였건만…… 막상 비행기에서 발을 내리니 앞으로 어떻게 정착해야 할지 막막 했다던 돈 최(한글명 최동수)씨. 이번 호에서는 그를 만나 가슴 쓰라리면서도 즐거웠던 이민 이야기를 들어보았다.한 달 가족 생활비 2천불 미만(4인 기준), 영… 더보기

[업체탐방] AIS ST Helens 아카데미

댓글 0 | 조회 3,943 | 2009.06.22
1990년에 개교한 AIS St. Helens는 1,000여명이 넘는 학생들이 공부하고 있는 뉴질랜드 최대의 사립 학교이다. 1990년 시티에서 어학원으로서 첫 출발을 했던 AIS St. Helens에는 현재 석사, 학사, Diploma, Certificate 과정이 있으며, Mt. Albert 지역에 있는 두 개의 캠퍼스를 통해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1997년, AIS St. Helens는 뉴질랜드 정부로부터 교육수… 더보기

세상을 카메라 렌즈에 담다 - 김윤태, 이인혁 포토그래퍼

댓글 0 | 조회 5,552 | 2009.06.08
/인/터/뷰/세계적으로 최첨단 과학기술이 발달되고 보급률도 높아지면서 우리는 쉽게 미디어와 접하고 정보를 빠르게 구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디지털 카메라 기술의 고속 발달로 일반사람들도 쉽게 사진을 찍을 수 있으며, 취미활동으로 또는 전문적으로 포토그래퍼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카메라는 우리의 추억을 간직하기 위해 가장 유용하게 쓰이는 매개체이며, 예술적인 면에서는 렌즈를 통해 세상을 바라보고… 더보기

[업체탐방] Online English for New Zealand

댓글 0 | 조회 5,226 | 2009.06.10
뉴질랜드로 이주한 많은 사람들이 뉴질랜드에서 영어하는 것을 매우 어렵게 느낀다. 'Migrant English'는 무료 온라인코스로 영어를 배우연서 동시에 뉴질랜드 생활에 관한 유용한 정보 또한 얻을 수 있다. 뉴질랜드에 살고 있는 많은 이주자들은 영어를 배우고자 하지만 생계유지를 위해 혹은 가정생활 때문에 학교나 학원에 가서 영어공부를 할 수 없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나 'Certificate in Migrant Engl… 더보기

<코리안 가든> 10년간의 봉사 뒤 NZ 땅에 탄생된 한국의 문화

댓글 0 | 조회 4,527 | 2009.10.27
/인/터/뷰/뉴질랜드 오클랜드 타카푸나에 위치한 Barry's Point 공원에 한국의 아름다운 전통문화를 대표할 코리안 가든이 설립된다는 소식에 뉴질랜드 동포, 현지인들뿐만 아니라 바다 건너 우리 조국에서도 환영과 기쁨의 메시지가 전해지고 있다. 뉴질랜드 헤럴드지와 노스쇼어 타임즈지에서는 코리안 가든 트러스트의 토지사용허가권 발급 결정과 한국식 가든 설립에 대해 큰 관심을 갖고 보도하기 시작했으며, 한국에서는 YTN 뉴스방송… 더보기

[업체탐방] 뉴질랜드 기타 앙상블

댓글 0 | 조회 4,548 | 2009.05.25
뉴질랜드 기타 앙상블은 현재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교민 자녀 및 교민으로 이루어진 클래식 기타 앙상블이다. 1998년 뉴질랜드 남 십자성 예술단의 특활 활동으로 시작하여 2005년 4월까지 오클랜드 타운홀, 아오테아 센터, 교회, 양로원 및 오클랜드 기타협회에서 다수의 공연을 가졌으며 오클랜드 기타협회 주최 콩클에서 합주부분을 3회 연속 우승한 바도 있다. 2005년 5월부터 남 십자성 예술단에서 독립하여 1년에 1~2회 단독공… 더보기

여자들의 로망직업 승무원 - Pacific Blue 항공 박지영씨

댓글 0 | 조회 9,065 | 2009.05.11
/인/터/뷰/언제나 환한 미소를 유지하며 단정한 유니폼을 입고 푸른 하늘을 비행하는 스튜어디스는 여성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동경해볼 만한 직업이 아닐까 싶다. ‘하늘의 꽃’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스튜어디스는 여전히 인기 직업으로 자리잡고 있는데 현재 오클랜드에 있는 Pacific Blue 항공의 유일한 한국인 박지영씨(26)를 만나 여성들이 선호하는 스튜어디스 직업의 세계를 함께 살펴보았다. 국내선 비행을 마치고 불… 더보기

[업체탐방] 음악이야기 7080 밴드

댓글 0 | 조회 6,132 | 2009.05.11
탐/방/인/터/뷰사람이 살아가는 즐거움 중에 음악을 꼽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마음을 평화롭게도, 기쁘게도, 슬프게도, 사랑스럽게도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음악이기 때문이다. 뉴질랜드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하기 위한 사람들의 모임 “음악이야기”가 2008년 7월12일 퀸스트리트에 있는 챔피언 노래방에서 정식으로 오픈되었다. 처음 모임의 명칭은“뉴질랜드 실용음악 동호회”라고 가칭되었으나 후에 회원들의 정식 모임에서 “음악이야기… 더보기

불경기 속 취업, 노력만이 가능 - 한동엽 경찰관

댓글 0 | 조회 6,252 | 2009.04.27
/인/터/뷰/세계적인 경기침체가 뉴질랜드에도 강타하면서 대학교를 졸업한 후에도 일자리가 없어 해외로 이주하거나 앞으로의 취업을 위해 더 높은 학위와 자격증을 취득하려는 젊은이들을 주변에서 많이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다. 뉴질랜드 실업률은 갈수록 증가하고 앞으로도 1만8천여 명의 실직자들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꾸준한 준비와 노력으로 오클랜드 경찰청에서 근무하게 된 신입경찰 한동엽(24)씨를 만나 불경기 속에서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