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폭력

가정폭력

0 개 4,311 KoreaPost


본 인터뷰는 Family Violence Coordinator Senior Sergeant Raelene Larson 담당 형사와 가정폭력에 관한 대화이다.

Jessica: 방학과 연말 축제 기간이 다가오고 있는데요. 가정 폭력에 관한 사건 들이 보통 이 시기에 더 많이 발생하나요?
 
Raelene: 그렇습니다, 저희의 경험으로는 12월에서 2월 사이의 기간이 가정 폭력에 관한 사건 접수가 늘어나는 시기입니다. 새 학기가 시작되는 2월은 교복과 학용품 구입으로 인한 경제적인 중압감이 더해지는 때이기도 합니다.

Jessica: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Raelene: 사람들은 크리스마스 선물들을 구매하고, 방학 한 아이들을 포함해 평소보다 더 많은 가족들이 집에 머물러야 하는 등등의 이유로 추가적인 비용이 들어가야 하기에 경제적인 중압감이 듭니다. 또한 급격히 늘어난 구매자들에 비해 할인 판매되는 물건의 양은 한정되어있는 요소 또한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며 휴가기간 전까지 주어진 업무를 끝내려 하며 스트레스를 받기도 합니다.

이 기간 동안 사람들은 더 많은 파티에 참석하게 될 것이며 따라서 음주량도 늘어나게 될 것입니다. 또한 과도한 음주는 가정 폭력 발생의 주요 요인 중 하나입니다.

Jessica: 그렇다면 한국인들은 더 심한 경제적인 중압감을 얻을 수가 있겠네요. 크리스마스, 아이들 방학 그리고 개학후에 바로 새해를 맞이하게 되니까요. 예산이 한정되어 있는 가정들한테는 더 큰 스트레스이겠네요. 이런 가정들에게는 어떤 조언이 필요할까요?

Raelene: 꼭 돈을 쓰는 방향으로만 생각하지 마시고 많은 돈을 들이지도 않으면서 가족끼리 충분히 의미 있는 다른 방법도 찾아보았으면 합니다.  예를 들어 아이들을 공원에 데려간다든지 바닷가로 소풍을 가는 방향으로요. 비싼 선물을 구매하는 것보다는 가족이 다같이 케익을 굽는 방법도 있지요. 저희 가족은 아이들 선물을 먼저 챙겨주고 주위 어른들 선물을 사는데, 어른들끼리는 와인 혹은 중고 책을 사기로 서로 동의를 하지요 그리고 서로 구매한 선물들을 크리스마스 나무 아래에 놓습니다. 파티가 끝날 즈음 어른들은 한 명씩 와서 나무아래에 놓여진 선물들을 골라갑니다. 결국 한 명도 빠짐없이 선물을 받게 되는 셈이지요. 이런 경우 부담 없는 크리스마스를 보낼 수가 있게 됩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거의 모든 사람들이나 단체들이 크리스마스의 진정한 의미에 대해 희미하게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선물에 중점을 둘 것이 아니라 종교적인 기념 혹은 가족끼리의 화목한 시간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Jessica: 아시아인의 경우, 이들은 대부분 바쁜 일상에 익숙해져 있는데요, 이러한 가정들이 가정폭력에 관련되어 있다는 표시는 어떻게 파악할수 있을까요?

Raelene: 신체적 학대는 바로 표시가 나지만 정신적 심리적인 학대는 쉽게 구분이 가질 않습니다. 심리적 학대는 대게 상대방이 보통 하지 않은 일을 억지로 시키기 위해 압박을 가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자신의 배우자의 행동을 제한 시키는 것인데요. 친구들 혹은 가족들과 연락을 하지 못하게 한다거나, 돈을 함부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한다거나 하는 것도 가정폭력에 해당합니다. 또 다른 예를 들자면, 협박 혹은 위협하는 행위인데요, 내가 시키는 대로 하지 않으면 자살할거야, 당신을 죽여버릴 거야, 아이들을 데려 가던지 다치게 할거야 등 이러한 협박적인 행동도 가정폭력에 심리적 학대로 해당됩니다. 이런 부모들의 아이들 또한 심리적 학대로부터 고통을 받습니다. 왜냐하면 아이들이 목격하는 것마다 이들의 삶에 영향이 갈 것이며 이러한 것들이 정상이라고 생각되어 나중에 자신의 후대들에게도 똑같이 대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Jessica: 한국인들이 자신의 배우자가 자신들한테 소리를 질렀다 해서 경찰을 부른 경우가 있었는데요, 물리적인 학대도 없었고 벽을 부수거나 물건을 부수지도 않고 그냥 심하게 논쟁을 한 것 이었는데 경찰을 불러야 할 필요가 있었을까요?
 
Raelene: 네, 이런 경우 또한 심리적, 감정적인 학대가 될 수 있습니다. 만약 자신이 누군가로부터 두렵다거나 위협을 받는다는 느낌이 든다면 바로 경찰에 신고 하셔야 합니다. 가정폭력이 일어나는 가정들 중 20%만이 경찰에 신고를 하는데요. 경찰은 피해자에게 물리적인 학대가 없었거나 다치지 않았었더라도 그 상황에 개입하여 도울 수 있는 권한이 있습니다.

Jessica: 가정폭력이 신고되어 경찰이 출동한 후 정확히 어떻게 일이 진행되나요?

Raelene: 무슨 일이 있었는지 따로, 혹은 다 같은자리에서 물어볼 수도 있습니다. 다같이 있을 때 이야기를 함으로써 각자의 이야기가 맞는지 알아내며 범죄를 저질렀는지 또한 알아낼 것입니다. 만약 범죄행위가 있었다면, 피의자를 체포하고, 단순한 언쟁이었다면 범죄로 단정짓지 않습니다. 하지만 일이 잘 진행되지 않을 것을 감지하면 조언도 해주고 도와 줄 수도 있습니다. 저희 Prevention First에서는 가정폭력이 늘 발생하는 가정에게 이러한 어려움을 덜어 주기 위해 도와줄 수 있는 서비스가 있다는 정보를 알려드리고 싶습니다.

Jessica: 경찰 측에서는 물리적 학대는 없지만 가정폭력을 당하고 있는 이들에게 어떤 종류의 도움을 줄 수가 있나요?

Raelene: 이들에게 절대로 자신은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알려 드리고 싶습니다. 경찰 홈페이지에서 도움을 드리는 기관과 조언들을 찾을 수가 있습니다 http://www.police.govt.nz/safety/home.domesticviolence.html 집안에서 일어나는 가정폭력으로부터 아이들과 피해자들을 어떻게 지켜내는지에 대한 정보들을 제공합니다. 만약 더 심한 경우가 생기더라도, 그 상황을 잘 헤쳐나갈 수 있도록 이 홈페이지에서는 여러분이 이미 가지고 있는 안전 계획이 무엇이든 간에 더욱 보강 시켜줄 것입니다. 특별히 아이들이 있는 가정의 경우, 안전 계획이 무엇인지, 그리고 아이들이 안전 계획을 아는 것이 자기자신의 안전을 지키는 방법이라는 것을 숙지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Jessica: 가정폭력 범죄 중 살인사건이 난 경우는 몇 프로나 되나요?

Raelene: 50%입니다. 이 확률은 수년간 꾸준히 일관되어왔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사람들에게 가정 학대나 가정 폭력 초기에 경찰에 신고하길 권면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래야 피해자와 가해자 양 측 모두 도움을 줌으로써 더 심각한 범죄로 번지는 것을 최소화 시킬 수 있기 때문이지요.

Jessica: 노인들의 관한 가정폭력에 대해 얘기해보도록 하지요. 몇몇 자녀들이 그들의 부모를 이 나라로 모시고 온 다음 방치해버리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것 또한 가정폭력으로 간주되어지기도 하나요?

Raelene: 가족들이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모시고온 노부모에게 적절한 의료 치료를 드리지 못하고 방치한 사건이 있습니다. 만약 모시고 온 노부모가 병에 걸릴 시 즉시 의사에게로 데려가 주어야 하지요, 하지만 이들에게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방치한다면 가정 학대로 간주합니다. 만약 그 가족이 수당을 받고 있는 사람이라면 경찰이나 Ministry of Health 그리고 WINZ에서 개입할 수 있는 권한이 생깁니다. 물론 경찰이 개입하는 건 맨 마지막 수단 이지요. 만약 노부모에게 치료가 필요한데도 가족이 아무런 손을 쓰지 않는다면 WINZ에서 개입함과 동시 노부부가 받는 수당에서 돈을 빼 적절한 치료를 받는데에 쓸 것입니다. 이러한 문제가 있을 시, Health Department에 연락하여 조언과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Jessica: 종종 자녀들이 부모에게 난폭하게 대한다는 신고를 받았었는데요, 이것 또한 가정 학대로 간주하는지요?

왜냐하면 뉴질랜드에는 아이들의 안전을 보호하는 법이 매우 잘 되어있기 때문에 청소년들이 이것을 자신의 부모에게 남용하기도 하는데요. 예를 들자면 부모들이 원하지 않는 남자친구나 여자친구랑 교제를 하기 위해서 라든지요.

Raelene: 이런 청소년들의 행동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가정학대는 배우자와의 관계와 가족간의 관계 내에서 간주 됩니다. 플랫메이트와의 관계에서는 가정학대가 성립이 되지 않습니다. 경찰은 부모가 원하는 방향을 따라 줍니다. 그들의 자녀가 잘못을 저질렀을 시 체포 시킬 것인지, 아니면 간단한 경고조치를 취할지 부모가 원하는 방향대로 경찰이 따라주지요. 하지만 만약 자녀들이 바깥 어디서든 범죄를 저질렀을 시엔 즉시 체포될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부모들은 학교측에서 아이들에게 어떤 문제가 있는지 찾아내주길 바라지요. 만약 학교에 가질 않고 집에만 있는다면, 분명 무언가가 이 아이들을 괴롭히고 있을 가능성이 높겠지요. 부모들은 Child Youth and Family, 경찰내의 Youth Services로부터 조언과 도움을 얻을 수 있으며 부모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배우게 될 것 입니다.

Jessica: 부인이 너무 폭력적이고 난폭하다고 호소하는 남성들이 있는 반면에, 현장에 출동된 경찰들은 주로 여자들의 말을 믿고 들어주는 경향이 있는 것 같은데요.

Raelene:  만약 범죄가 발생했다면 체포하기에 충분한 증거가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유죄 판결을 받으려면 범죄 증거의 수위가 높아야 합니다. 만약 경찰이 왔는데 남녀가 각각 다른 이야기를 한다면 경찰로써는 무슨 일이 일어났었는지 알기가 아주 어렵지요. 만약 증거가 불충분하다면 사건을 범죄가 아닌 Domestic으로 보고 할 것이고, 사람들은 피해자와 범죄자는 아니지만 기록에 남게 됩니다.

Jessica: 더 하시고 싶은 말씀이 있으신가요?

Raelene: 만약 자신이 처해 있는 상황에 가정학대인지 아닌지 확실치가 않으시다면 111에 신고하셔서 알려주십시오. 저희가 직접 방문하여 볼 것입니다. 신고 접수가 피해자, 이웃 혹은 아이들에게로부터 왔든지 간에 모든 가정폭력 범죄는 최우선순위로 간주 합니다. 경찰이 방문하면 이들이 알아서 조사하도록 하십시오, 만약 단순한 언쟁이라면 모든 정보들이 저희 시스템에 기록 되고 보관 될 것입니다 그리고 신고를 하시면 하실수록 그 집안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하나씩 알아가게 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특히 아이들이 개입된 사건에는 저희들이 최 우선 순위로 간주하여 즉시 도움을 드리러 갑니다. 가정 폭력을 미리 방지하는 것이 더 큰 사고가 일어나는 것을 막습니다. 우리의 목표는 이런 가정폭력을 시달리는 가정들을 미리 발견하여 도움을 줌으로써 더 큰 사고가 나는 것을 막는 것입니다.

만약 당신 혹은 당신의 주변 이웃이나 친구들 혹은 가족들이 가정폭력에 시달리고 있다면 111에 전화로 신고해 주십시오. 특히 초기단계에서 신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Crimestoppers(크라임 스토퍼) 0800 555 111이나 웹사이트 www.crimestoppers-org.nz 를 통하면 익명으로 신고 할 수 있습니다. 

Rakesh Naidoo 경찰관과 인터뷰

댓글 0 | 조회 5,716 | 2013.12.24
교민 여러분 즐거운 성탄절과 2014년 새해에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지난 10월 30일 웰링턴 경찰본부 소속인 소수민족 지원 조사관인 Rakesh Naidoo 경찰관과 인터뷰을 가졌다. 그는 작년 3월부터 주로 마오리, 퍼시픽 아일랜드 및 소수 민족을 대상으로 그들의 애로사항을 접수하고 해결하기 위해 전국 곳곳을 자주 방문하여 조사하고 해결하기 위한 바쁜 일정을 소화하고 있었다. 그는 한국인들과의 소통을 위해 노력하고 … 더보기

오는 12월 18일부터 새로 주류법 개정안

댓글 2 | 조회 7,423 | 2013.12.11
본 인터뷰는 Alcohol Harm Reduction Manager인 Senior Ross Endicott Davies 형사와의 인터뷰이다. 한 해가 저물어 가면서 직장, 사교모임 또는 가정에서 잦은 식사와 파티가 생긴다. 특히 음주 사고 발생이 많은 시점이라 몇가지 주의사항을 이야기 나누었다. 첫째, 오는 12월 18일부터 새로 주류법 개정안이 실효에 들어가는데 On Licenses 즉 주류들을 판매하는 술집, 바, 식당들은… 더보기

연세 농구 교실 감독, 이재훈 씨

댓글 0 | 조회 9,476 | 2013.12.10
한국 학생들은 쇠 젓가락으로 콩을 쉽게 잡는 것과 같이 감각이 뛰어나 좋은 슛 터가 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졌다. 또한 특유의 우리 민족이 가지고 있는 강한 정신력을 가지고 있어 현지 코치들의 칭찬을 많이 받고 있다. 농구를 좋아하는 학생이라면 혼자 하는 농구 보다는 학교에서 또는 클럽 팀에서 자신 있게 포기하지 않고 계속 부딪혀 도전 한다면, 교민 학생들 이름이 TALL BLACK, TALL FERN(국가대표 팀)에 오르는 … 더보기
Now

현재 가정폭력

댓글 0 | 조회 4,312 | 2013.12.02
본 인터뷰는 Family Violence Coordinator Senior Sergeant Raelene Larson 담당 형사와 가정폭력에 관한 대화이다. Jessica: 방학과 연말 축제 기간이 다가오고 있는데요. 가정 폭력에 관한 사건 들이 보통 이 시기에 더 많이 발생하나요? Raelene: 그렇습니다, 저희의 경험으로는 12월에서 2월 사이의 기간이 가정 폭력에 관한 사건 접수가 늘어나는 시기입니다. 새 학기가 시작되… 더보기

JK 김제윤 카이로프랙틱

댓글 0 | 조회 9,693 | 2013.11.27
카이로프랙틱이 뉴질랜드 한인 사회에 알려진것도 벌써 10여년이 넘었다. 그러나 실생활에서 보면 카이로프랙틱이 정확히 무엇인지, 그 역할이 무엇인지 등에 대해 잘 모르고 계시는 교민분들이 적지 않다. 이에 jk 김제윤 카이로프랙틱 원장은 교민분들의 카이로프랙틱에 대한 이해증진과 jk 카이로프랙틱에서 주로 시행하고 있는 TRT (Torque Release Technique)를 소개해 드림으로써, 교민여러분들께 질병없이 건강하고 행… 더보기

법정변호사 Barrister, 성 태용 씨

댓글 0 | 조회 7,800 | 2013.11.26
큰 꿈을 가지고 뉴질랜드로 왔지만 무심코 작은 법률을 위반하여 뉴질랜드에서 쫓겨나거나 가지고 있던 재산을 전부 빼앗길 위기에 처한 분들을 자주 본다. 이런 분들은 이미 각종 상담 비용으로 대부분의 돈을 지출하고 모든 수 를 다 사용하신 후 최후의 보루로 찾아오시는 분들이다. 법정변호사로 일하면서 가장 보람 있는 일은 이런 벼랑 끝에 있는 분들을 구제하는 일이다. 에이전트와 변호사 항소 비용으로 많을 돈을 지출하였지만 결국 이민… 더보기

오클랜드 세종학당-정말 잊을 수 없어요. 한국 사랑해요!

댓글 0 | 조회 4,367 | 2013.11.26
“한국 너무 좋아요!!” “정말 잊을 수 없을 것 같아요. 한국 사랑해요..” 뉴질랜드에서 태어난 줄리앙과 필리핀 이민자인 진은 지난 10월 4일부터 10월 10일 까지 한국을 방문해서 평생에 잊지 못할 추억을 간직하고 돌아 왔다. 이들은 오클랜드 세종학당에서 한국어를 공부해 온 학생들로 우수학습자로 선발이 되어서 한국 정부로부터 항공료와 모든 숙박. 행사 참여비등 모든 비용을 지원 … 더보기

District Road Policing Manager Regan James

댓글 0 | 조회 2,333 | 2013.11.21
지난 10월 30일 District Road Policing Manager Regan James씨와 인터뷰를 가졌다. 2013년 11월 1일부터 새롭게 아동 안전장치 법률이 개정되었다. 모든 운전자는 자동차에 탄 어린이를 안전하고 올바르게 앉혀야 한다. 이 개정법을 통해 자동차에 탄 어린이의 사망과 중상을 줄일 수 있다. 아동 안전장치 설치는 항상 제조업체의 지침을 따라야 하며, 뒷좌석이 유아와 어린이의 카시트 설치에 가장 안… 더보기

비지니스 컬리지

댓글 0 | 조회 3,014 | 2013.11.13
▶ 골프로 비지니스를 배우라. (Learn about Business in Golf Courses) 골프에 대한 관심과 열정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뉴질랜드의 골프 환경에 대해서 최고의 찬사를 아끼지 않으리라 믿습니다. 그렇다면 골프에 대한 그 열정을 계속 키워나가도록 힘을 솟고 있는 뉴질랜드 교육 시설은 얼마나 될까요? 현재 AUT와 Business College 두 학교만이 공식 NZQA 승인된 골프학과를 가지고 있으며… 더보기

아동발달 지원센터, 김임수 씨

댓글 0 | 조회 5,649 | 2013.11.12
자녀가 장애를 가지고 있다면 그 가정은 분명 조금 다른 삶의 길을 걸어갈 것이다. 특히, 언어와 문화가 다른 이민자 가정의 경우, 그 여정은 더욱 힘들 수도 있을 것이다. 아시안 장애가정의 부모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서로의 공동체를 결성하고 함께 격려하는 모습을 바라보는 것도 큰 기쁨이 아닐 수 없다. 현재, 한국, 중국, 인도, 난민 공동체에서 장애가족의 그룹이 형성되어 함께 정보를 공유함은 물론, 향후 자녀들의 미래를 위한 … 더보기

Alcohol Harm Reduction

댓글 0 | 조회 3,920 | 2013.10.30
본 인터뷰는 Auckland City District의 Alcohol Harm Reduction 담당인 Jason Loye형사와의 대화 내용이다. Jessica: Alcohol Harm Reduction 부서에서는 대게 어떤 일들을 맡아서 하고있는가요? Sgt Loye: 저희 부서에서는 모든 Liquor License(주류판매허가증)의 지원서를 받습니다. 저희가 받는 지원서 종류에는 On-Licenses 즉 주류들을 판매하는 … 더보기

가족치료사 Social worker, 봉원곤 씨

댓글 0 | 조회 4,733 | 2013.10.22
뉴질랜드의 복지정책과 지원들은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수준에 있다. 그 중에서 장애와 연관된 지원들과 서비스들은 놀랄 정도로 많이 있다. 만약 내가 살고 있는 환경에 어떠한 문제가 있다면 마음에 문을 열고 전문가들을 찾아가 목소리를 내고 도움을 청할 때 뉴질랜드 사회복지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사회복지사로 일을 하면서 가장기억에 남은 시기라면 Child Youth and Family Service에서 일을 했던 시기 이다. 이 땅… 더보기

OPSM Hurstmere Rd. 안과 • 안경원

댓글 0 | 조회 8,211 | 2013.10.22
한국과는 다른 뉴질랜드 안과·안경원 시스템. OPSM Hurstmere Rd는 이 곳의 안과 시스템을 알리고 교민분들의 눈건강과 시력을 책임지고자 한다. 1. 뉴질랜드 안과 시스템은 어떻게 다른가? 이 곳 뉴질랜드는 optometry라고 불리는 안과와 안경원이 함께 있다. 이 곳에서 optometrist 또는 검안사라고 하는 분들이 눈에 관해서는 GP 혹은 가정의 같은 역할을 담당한다. 이분들은 시력검사는 물론 안압검사를 비롯… 더보기

Child Abuse and Sexual Crimes Unit 담당 형사인 Ric…

댓글 0 | 조회 3,115 | 2013.10.14
지난 9월 18일 시티 경찰서에서 Child Abuse and Sexual Crimes Unit 담당 형사인 Richard Corbidge 경찰관과 인터뷰를 가졌다. 그가 최근 여성들의 성폭행 사례를 들어 정부에서 발행한 정보와 예들로 글을 작성하였다. 최근에 성폭행을 당했거나, 현재 신변에 위험에 처해 있는 경우 111로 전화하여 경찰에 신고한다. 얼마 전 또는 수년 전에 당한 성폭행이라도 신고할 수 있다. 경찰에 성폭행 범… 더보기

유희 국악원 단장, 이성재 씨

댓글 0 | 조회 5,188 | 2013.10.08
추석 달맞이 국악공연은 그야말로 신명 그 자체였다. 가장 먼저 “비나리”가 흥을 돋웠다. 사물놀이는 무대를 한 바퀴 돌아 박진감 넘치는 우리의 소리로 공연장을 찾은 관람객은 물론 외국인들도 함께 하며 “얼씨구 좋다. 얼쑤!”를 연호하며 추임새를 넣는가 하면, 어깨춤을 추는 교민들과 외국인들로 한인문화 회관은 그야말로 신명의 한 판 춤사위가 벌여졌다. 뉴질랜드 하늘아래 울려 퍼진 우리의… 더보기

AIS St Helen- 뉴질랜드 최대 사립대학교 졸업식

댓글 0 | 조회 4,639 | 2013.10.08
뉴질랜드 최대 사립대학교 졸업식 전통과 수준 높은 교육을 제공하는 AIS St Helen의 2013년 졸업식이 지난 9월 13일 The Bruce Mason Center에서 개최되었다.이번 졸업식에는 New Zealand Qualification Authority (NZQA) 의 Chief Executive Dr. Karen Poutasi 께서 초대연사로 참석하셨으며, 졸업생과 초대 손님 등 총 600여명이 참석 한 가운데 성… 더보기

[오클랜드 경찰서 24시] Victim Focus

댓글 0 | 조회 2,657 | 2013.09.30
Victim Focus는 Police Model 하에 Policing Excellence 업무 중 하나이며, NZ Police Prevention First(미리 예방) 전략 중 하나이기도 하다. 오클랜드시의 피해자들을 관리하는 Scott Leonard 상사와 인터뷰를 하였다. Jessica: 상사님, 피해자들을 위해 따로 부서를 설립한 이유가 무엇인지요? Scott: 범죄자들만 상대하는 것 뿐만 아닌 범죄로부터 피해를 입은 … 더보기

한솔문화원 이사장, 이난우 씨

댓글 0 | 조회 5,160 | 2013.09.24
한솔문화원은 뉴질랜드 교민들께 ‘문화’를 매개하는 역할을 맡고자 한다. 책은 적극적으로 짬을 내어 읽지 않으면 자꾸 멀어 진다. 일상의 시시콜콜한 문제들에 대해서만 생각과 이야기를 한정하다 보면, 더 큰 틀에서 나의 삶을 풍요롭게 할 수 있는 문화에서 스스로 소외될 수 밖에 없다. 이에 한솔문화원은 책을 기반으로 삼아 다양한 인문학 및 예술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교민들 스스로가 삶에 새로운 활력과 자양분을… 더보기

New Zealand Asia Association Inc

댓글 0 | 조회 4,583 | 2013.09.24
“ NZAA, 2013Viva Eclectika 경연대회 ” NZAA 에는 30명 이상의 다양한 문화의 배경을 가진 위원회들이 봉사 하고 있다. 한국인 위원회로는 April Shin, 화가 신혜경씨가 한국인 커뮤니티, Viva Eclectika 에 참여하여 다른 민족과의 좋은 소통을 이루기 위해 봉사하고 있다. 신혜경씨 지난 4월 알렉 산드라 파크에서 열린 컨퍼런스에서 Cultural fusion: Sha… 더보기

Criminal Investigation의 Aaron Pascoe 형사와 인터뷰

댓글 0 | 조회 3,086 | 2013.09.18
지난 8월 15일 오클랜드 시티 경찰서에서 Aaron Pascoe 형사와 Jessica Phuang과의 인터뷰을 가졌다. Aaron은 Criminal Investigation Branch Financial Crime Unit의 Senior 형사이다. Aaron이 요즘 자주 발생하는 금전 피해사례을 설명하였다. 첫번째로, 최근 해외송금 피해가 많다고 한다.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것 중 PayPal과 Western Union라는… 더보기

조이플 오케스트라 지휘, 하찬호 씨

댓글 0 | 조회 5,630 | 2013.09.10
조이플 오케스트라는 단지 음악만을 가르치려는 의도 보다는음악을 통해 세상과 자기자신을 소통하는 역할을 가르치고 나누기 위한 목적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지금은 1등이 아니지만 언젠가는 3등이 되고 또 열심히 하다 보면 언젠가는 1등이 보인다는 것을 아이들이 배우고 있다. 조이플 오케스트라의 창단 목적 중 하나를 찾아 가고 있다! 지난 2011년에 3명의 아이들을 무료로 바이올린을 가르쳐주면서 “조이풀 오케스트… 더보기

Intueri Edcation Group

댓글 0 | 조회 3,756 | 2013.09.10
NZ,최대 사립대학 교육 구룹 설립 지난 27일 Intueri Education Group 이 설립행사와 설명회를 개최했다. Intueri 그룹은 요리, 호스피탈리티의 8년 연속 최고 교육상 수상의NSIA(North Shore International Academy), 명실공히 뷰티 테라피 최우수 학교 Elite School of Beauty and Spa Therapy,헤어, 메이크업, 뷰티테라피, 특수분장에 이른 다양한 학… 더보기

아리랑 오케스트라 기획, 한예은 씨

댓글 0 | 조회 6,037 | 2013.08.27
“이제는 인사동이 아닌 뉴질랜드에서 아리랑이 울려 퍼질 것이다”. 교민들에게는 감동과 추억을 선사 할 것이고 뉴질랜드 시민들에게는 조금 이나마한국을 알리는 시작이 될 것이다. 많은 교민들이 참여해서 다 같이 뜨거운 무엇인가를가슴 속에서 느꼈으면 좋겠다! 오는 9월14일 아리랑 오케스트라 퍼포먼스 공연이 오클랜드에서 열린다. 음대 학생들과 음악을 사랑하는 교민들이 모여 하나된 모습으로 아리랑과 애국가를 연주… 더보기

화로-스테이크 하우스

댓글 0 | 조회 8,011 | 2013.08.27
오클랜드에서 최고급 숯불구이 전문점으로 유명한 ‘화로’가 새롭게 오픈한 타카푸나에 스테이크하우스를 찾았다. 허스미어 로드 (Hurstmere Rd) 북쪽 거리에 조성된 상점거리를 따라 걷다 보면 “STEAK” 간판의 스테이크하우스를 쉽게 찾을 수 있을 수 있다. 화로 스테이크하우스의 문을 열고 들어서자 고깃집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가 느껴진다. 일행끼리 둘러 앉아 삼삼오오 고기를 굽는 … 더보기

Onehunga지역 경찰서 Don Allan 경찰관을 만나다

댓글 0 | 조회 4,412 | 2013.08.24
지난 7월 10일 Onehunga 지역 경찰서에서 Don Allan 경찰관과 Jessica Phuang과의 인터뷰를 가졌다. 특히 이 지역에는 교민들이 많이 알고 있는 Dress Mart가 있어 교민들의 방문이 많은 지역이다. Dress Mart 주변에는 크고 작은 샵들이 많다.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이지만 주변에 한국인이 운영하는 12 샵이 있다고 한다. 필자도 처음 뉴질랜드 와서 지인들에게 Dress Mart을 들었다. 한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