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바리스타와 사랑에 빠진 여자! 허 지혜

커피, 바리스타와 사랑에 빠진 여자! 허 지혜

0 개 5,198 김수동기자

 

9f51e6c2f610cd3683c600c736bb44df_1540350649_6728.jpg
 


커피와 바리스타, 사랑에 푹 빠져 있는 한인 여성이 있다. 호주 바리스타 챔피언, 남편을 만나서 시작한 커피 사랑은 이제 직업이 되었고 전문가가 되었다.  지난 2014년 뉴질랜드 전국 바리스타 대회, 금상 수상과 함께 현재 뉴질랜드 바리스타 대회 심사위원으로 활동, The Gateau House 총 매니저로 근무하면서 커피 사랑에 푹 빠져 있는 슈퍼우먼 허지혜(Sarah Her)씨를 만나 보았다. 


9f51e6c2f610cd3683c600c736bb44df_1540350661_5475.jpg
커피와 사랑에 빠졌다. 조금 우습게 들릴지는 몰라도 바리스타와 사랑을 했다. 호주 바리스타 챔피언 경력이 있는 남편을 만나서 사랑을 하게 되고 결혼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커피와 익숙하게 되었다. 하지만 커피의 섬세한 맛을 끌어내는 일은 정말 쉽지 않아 지금까지도 많은 공부와 노력을 하고 있다. 커피를 배우기 시작하고 조금 욕심이 생겨서 바리스타 대회에 도전을 해보았다. 커피 대회를 준비할 당시 함께 트레이닝하고 대회 참가하는 동료들이 대략 10여명이었다. 코치가 남편이다보니 동료들의 눈치가 보여 레슨을 받는 것 자체가 너무 힘들었다. 바리스타 대회 3개월전부터 남편은 여러 명의 학생과 대회준비를 위해 새벽까지 트레이닝을 했다. 그때 당시 1살이 안된 아들이 있어 항상 등에 업고 다른 참가자들의 트레이닝을 어깨 넘어 보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래서 한번 할때의 트레이닝이 매번 너무 귀했고 진지하게 실습을 했다. 사실 연습 양 보다도 이미지 트레이닝을 더 많이 머리 속에 그림을 그리며 익숙해졌다. 대회 준비기간 막바지에는 아이를 등에 업고 눈치를 보며 연습하는 내 모을 바라보며 덜컥 눈물을 나왔다. 시간은 흐르고 대회날짜가 다가오면서 사실 입상은 생각하지 않고 그냥 열심히 내가 했던 그대로 경험으로 생각하고 대회에 임했다. 평소 하나에 집중하면 다른 것들을 잘 못 보고 듣지를 못하는 성격이 대회 때는 많은 도움이 되었다. 떨릴 법도 한 큰 대회장소에서 오로지 본인의 커피와 심사위원 한 명 밖에 보이지 않았다. 편안한 마음으로 실수 없이 완벽하게 끝낼 수 있었다. 행운도 따랐다. 감사하게도 본인의 참가 모습을 보고 월드 바리스타 챔피언 출신(David Borton)이 갑자기 대회장으로 들어와서 내가 만든 커피 맛을 보면서 큰 호평을 해주었는데 심사 위원들에게 큰 인상을 남기는 행운으로 금상을 받을 수 있었다. 대회출전 후에는 트레이닝에 전념하였다. 그래서 입상한 경험과 노하우로 많은 학생들을 대회에 출전시키고 취직도 도와주고 있다. 

 

 

끊임없는 도전 정신으로 노력 

바리스타는 본인이 좋아하는 커피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현재의 트렌드에 맞게 사람들의 맛을 찾아낼 줄 알아야 최고의 바리스타이다. 그 트렌드를 알려면 커피의 원료 맛을 정확히 알아야 한다. 트렌드에 맞게 커피콩을 선택하여 맛을 내는 바리스타라면 끊임없이 고객들의 입맛을 끌어낼 수 있다. 하지만 커피의 원료인 커피콩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다. 원료의 맛을 알기 위해서는 많은 경험으로 맛을 보고 판단할 줄 알아야 좋은 원료를 선정할 수 있다. 본인의 경우 역시 좋은 원료를 선정하기 위해 커피로 유명하다는 커피점은 거의 모두 방문을 했다. 그리고 어떤 커피콩을 쓰는지 물어보고 직접 로스터하는 곳에 전화하여 커피콩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지방은 물론 웰링턴까지도 일년에 3~4번은 방문을 했다. 오클랜드에도 좋은 커피원료가 많이 있지만 커피콩의 본점은 웰링턴에 많이 있다는 이유로 웰링턴을 방문해서 하루에 7~8군데의 카페를 돌아다니며 롱 블랙을 마시며 맛을 보고 평가를 했다. 커피콩을 결정하고 나면 그 맛을 내기위해 연습하고, 그 이후에는 어떻게 하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지 연구를 굉장히 많이 했다. 

 

 

바리스타 대회, 심사위원으로 활동

대회 입상을 한 후 조금 욕심이 생겼다. 선수로 출전하는 것도 좋지만 심사 위원으로 활동하는 것이 또 하나의 도전으로 자리 잡았다. 대회 시상식이 끝날 때쯤 대회 주최자의 추천으로 생각 하지도 못한 도전을 바로 하게 되었다. 심사위원은 필기시험을 보고 지역심사 경력과 시니어 심사경력을 모두 갖추면 심사위원의 자격이 주어진다고 하였다. 그래서 협회장에게 이메일을 계속 보내면서 기회를 달라고 부탁했다. ‘두드리면 열린다’는 말이 현실로 다가왔다. 계속되는 문의에 답변이 왔다. 먼저 지역(Regional)심사의 기회를 받아서 해밀턴 지역의 심사를 했다. 작은 시작이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시니어(Senior)심사의 조건이 충족이 되면서 현재는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남편의 도움으로 도전에 성공

사실 이 모든 것은 남편의 도움이 없었다면 절대 해낼 수 없었다. 대부분 심사는 주말에 열리기 때문에 풀타임으로 일하는 남편에게 주말까지 아이를 맡기고 심사위원으로 참가한다는 것이 쉽지는 않았다. 하지만 남편은 그때마다 내가 열정을 쏟고 싶어하는 것이 생겨서 좋다며 응원을 끊임없이 해주었고 덕분에 앞만 바라보며 계속 나아갈 수 있었다. 또한 남편을 통해서 다양한 커피 콩의 본연의 맛을 배울 수 있었고, 그 덕분에 커피콩의 맛을 찾아내는 세밀함을 좀더 빠르게 느낄 수 있었다. 아직도 배우는 중에 있지만, 아무래도 항상 곁에서 맛을 같이 보고 평가를 해주는 사람이 있다는 것이 바리스타로서 큰 조력자를 곁에 두어 항상 고맙게 생각 하고 있다.

 

 

워킹 맘으로 활동

아이와 함께 워킹 맘으로 일을 하고 무언가를 위해 도전한다는 것은 너무 힘든 일이었다. 하지만 그만큼 시간을 쪼개서 생활해야 하고 한번의 시간도 낭비할 수가 없었다. 그러기에 더 간절하고 더 집중력 있게 소중하게 생각하며 살았다.  지금도 지난 2015년 첫번째 바리스타 대회 심사위원으로 활동할 때의 기억이 생생하다. 새벽 6시부터 시작된 심사위원 미팅을 시작으로 3박4일동안의 행사를 해야 했다. 그때 당시 심사위원의 자격을 충족하기 위해서 모든 심사를 해야 했다. 새벽6시에 도착하여 모든 일정을 마쳐 밖을 나왔을 때는 저녁 7시였고, 하루에도 500잔의 커피 맛을 보는 강행군을 했다.  

 

 

바리스타 대회 심사 기준에 대해서

2015년부터 NZ Culinary Fair 심사위원으로 활동하며 Columbus national barista 심사도 하고 있다. 심사는 Sensory와 Technical 두가지로 크게 나누어 가장 큰 점수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Sensory이다. 많은 참가자들이 대부분 우유로 만들고 그림을 그리는 것에만 치중을 하는데, 아트대회가 아닌이상 바리스타 대회에서는 큰 비중을 차지 않는다. 가장 중요한 것은 커피콩의 로스트 된 과정 그대로 내려(Shot) 맛을 뽑아내는 것이다. 가끔 참가자들이 본인의 커피콩을 들고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대회에 사용할 커피콩의 맛을 심사위원에게 꼭 설명을 해야하며, 설명한대로 맛이 나올경우 굉장히 큰 점수가 더해지지만, 그렇지 않을경우 오히려 점수에 좋지 않은 영향이 될 수도 있다. 또한 15분안에 12잔의 커피(Espresso 4잔, Flat White 4잔, Latte 4잔)를 만들어 심사위원에게 설명하여 제출해야 하며 모든 청소를 마쳐야 한다. 실수가 없다면 정해진 시간이 충분하지만 만약 실수가 있을 경우 시간안에 모두 완벽하게 한다는 것이 힘들기 때문에 많은 연습과정이 필요 하다.   

 

글, 사진: 김수동 기자

The Gateau House - 김보연 제과, 뉴질랜드 명품 케이크 성장

댓글 0 | 조회 8,479 | 2018.11.28
김보연 제과, 뉴질랜드 명품 케이크 성장The Gateau House는 지난1996년 <김보연 주문 케이크>를 시작으로 현재 오클랜드 전역에 7개의 지점을 보유하고 교민이 운영하는 케익 전문 회사이다. 본점은 보타니에 전문 생산 공장을 갖추고 케이크, 디저트, 한국 빵 등 150 여종의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총 80여명의 직원 중 25여명이 전문 제과인력으로 근무하고 있다. 우리 교민은 물론 중국, 인도 등… 더보기

내 자동차 기본 점검은 내 손으로, 조 홍래

댓글 3 | 조회 4,192 | 2018.11.14
기술의 발전으로 자동차의 기계적 결함이 현저하게 줄면서 상대적으로 자동차 운전자의 의무와 같은 기초적 취급소양이나 응급조치에 대한 기본적 상식에 많은 관심을 갖지 않는다. 운전자의 대부분은 자동차 관리는 정비사가 하고 운전자는 운전만 하면 된다는 위험한 생각을 하고 있다. 자동차 일상점검 응급조치와 자동차 일반상식 등을 익힘으로 소모품의 교환주기를 바로 알면, 경제적인 자동차관리에 도움을 주게 된다. 교민 자동차 정비 업소, … 더보기

오클랜드 신포니에타 오케스트라

댓글 0 | 조회 2,194 | 2018.11.14
음악을 통하여 다민족, 다문화의 화합과 교류​<오클랜드 신포니에타> 오케스트라는 다수의 음악을 통하여 다민족 다문화의 화합과 교류 및 해외 정상급 연주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수준 있는 정통 클래식 프로그램을 지향하는 단체를 목표로 2016년 창단되었다. 현재 비영리단체로 등록되어 있으며, 현 KBB Music Festival 회장이자 전 오클랜드 대학교의 교수로서 수 많은 음악교사들을 가르친 Dr Trevor Thwa… 더보기
Now

현재 커피, 바리스타와 사랑에 빠진 여자! 허 지혜

댓글 0 | 조회 5,199 | 2018.10.24
커피와 바리스타, 사랑에 푹 빠져 있는 한인 여성이 있다. 호주 바리스타 챔피언, 남편을 만나서 시작한 커피 사랑은 이제 직업이 되었고 전문가가 되었다. 지난 2014년 뉴질랜드 전국 바리스타 대회, 금상 수상과 함께 현재 뉴질랜드 바리스타 대회 심사위원으로 활동, The Gateau House 총 매니저로 근무하면서 커피 사랑에 푹 빠져 있는 슈퍼우먼 허지혜(Sarah Her)씨를 만나 보았다.​커피와 사랑에 빠졌다. 조금 … 더보기

법무법인, JC Legal

댓글 0 | 조회 4,565 | 2018.10.24
믿을 수 있는 로펌, 뉴질랜드 모든 일반 법률 업무​믿을 수 있는 로펌, 법무법인 JC Legal은 항상 교민들께 힘을 실어 드리고자 오늘도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 민형사 소송, 행정 소송에서부터 비지니스 매매, 부동산 등기업무까지, JC Legal은 뉴질랜드의 모든 일반 법률 업무를 다루고 있다. 특히 JC Legal은 이민 전문 변호사 (Marshall Bird) 가 이민 항소는 물론 불법체류까지 해결하는 차별화된 이민 법… 더보기

뉴질랜드 사랑에 빠진 남자! 김 병만

댓글 2 | 조회 10,611 | 2018.10.09
<정글의 법칙>으로 사랑을 받고 있는 ‘병만 족장’ 김병만 씨가 뉴질랜드를 찾았다. 뉴질랜드는 마음을 안정시켜 주는 제2의 고향 이라고 주저 없이 이야기 하면서 뉴질랜드 사랑에 푹 빠져있다. 얼마전 큰 사고를 경험했지만 넘어지지 않는 오뚝이 같이 포기하지 않고 건강한 모습으로 다시 나타나 우리를 놀라게 했다. 그의 끊임없는 도전과 한결같은 열정은, 우리들 누군가에게 삶의 용기를 선사한다. 방송이지만 극한 환경에 적응… 더보기

성 베드로 특수학교

댓글 0 | 조회 4,687 | 2018.10.09
장애우들이 예수님 사랑 안에서 꿈을 키우는 학교성 베드로 특수학교(St. Peter’s Special School of Auckland)는 2004년 10월 9일, 현재 교민 장애우들이 예수님 사랑 안에서 꿈을 키울 수 있고,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으며, 우리 모두가 함께 사랑을 실천하는 곳을 실현하자는 취지로, 오클랜드 성가정 성당 윤준원, 미카엘 신부님이 주체가 되어 설립되었다.성 베드로 학교는, 장애우 학생들의 특성에 … 더보기

아버지가 살아야 가정이 산다, 박기만

댓글 0 | 조회 3,575 | 2018.09.26
어깨가 무거운 우리네 아버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아버지가 바로 서야 가정이 바로 서고, 가정이 바로 서야 사회가 바로 서며, 사회가 바로 서야 나라가 바로 선다. 아버지 학교는 아버지를 바로 세우는 프로그램으로 이 사회를 바꾸며 세상을 변화시키려는 진정한 남성들의 회복 운동이다. “우리 가정을 위해 내가 먼저 변해야 한다”는 뉴질랜드 아버지 학교, 박기만 지부장을 만나 보았다.20대 후반, 꿈을 찾아 뉴질랜드에 가정을 꾸민지… 더보기

한국 영화제, 한인 1세대 이야기

댓글 0 | 조회 2,395 | 2018.09.26
이준섭 감독 ‘Our First Immigrants' 오클랜드, 해밀턴 상영​뉴질랜드 한인 1세대의 정착 스토리를 담은 영상이 스크린을 통해 관객을 찾아간다. 10월11일부터 14일까지 오클랜드 시내 Academy Cinemas에서 2018 Korean Film Festival이 열린다. 이번 영화제에는 지난해 작고한 영화배우 김주혁의 유작 <독전Believer>이 개막작으로 상영된 것을 비롯해 <조선명탐정 K… 더보기

넓은 세상을 위한 도전, 유엔(UN) 인턴, 곽 효린

댓글 0 | 조회 4,363 | 2018.09.12
자신의 꿈을 위해 끝없이 도전하고 있는 한인 여성이 있다. 뉴질랜드 이민 1.5세대, 빠른 적응으로 오클랜드 대학교 정치외교학, 경제학, 그리고 법학 학사를 마쳤다. 현재 교통부 (Ministry of Transport) 정책자문관 (Policy Advisor)으로 근무하고 있지만 더 큰 세상의 경험을 갈망하는 그녀의 도전은 멈추지 않고 계속되고 있다. 유엔(UN) 안전보안부 인턴으로 미국, 뉴욕에서 새로운 삶을 도전하고 있는… 더보기

뉴질랜드 한의사 협회 NZAOMD(New Zealand Association Or…

댓글 1 | 조회 4,120 | 2018.09.12
뉴질랜드에는 교민의 건강을 위해 노력하는 많은 한의사(Acupuncture & Herbalists)들이 있다. 뉴질랜드 등록기관인 Acupuncture NZ와 NZASA 에 등록된 한의사 중 가입을 신청하고 승인된 한의사를 회원으로 한 약칭, 한의사협회(NZAOMD: New Zealand Association Oriental Medicine Doctor 뉴질랜드 동양의학 의사협회)가 있다. 한의사협회의 회원들이 정기적으… 더보기

임은숙씨, '2018 뉴질랜드 최고의 요리사' 수상

댓글 0 | 조회 7,081 | 2018.08.26
8월 21일 오클랜드 시티에 있는 코넬 에듀케이션 그룹에서 특별한 행사가 있다고 해 현장을 찾았습니다. 바로 내셔널 호스피탈리티 챔피언쉽 참가 학생들의 시상식 및 축하 행사였는데요. 다른 학생들의 수상 소식과 함께 요리사 부문에서 이 학교에 다니는 임은숙씨가 뉴질랜드 최고의 요리사로 상을 받았다는 소식입니다. ▲임은숙씨 (Chef of the Year 2018 수상자)⊙ Jun KIM (General Manager, Opera… 더보기

뮤지컬 배우 꿈을 위해 도전, 윤 종현

댓글 3 | 조회 3,719 | 2018.08.22
뮤지컬 배우를 꿈꾸는 12세 한인 학생이 있다. 뮤지컬 “The Addams Family” 아들(Pugsley)역으로 선발되어서 총 12회 공연을 지난달 마무리했다. 아마추어 배우로서 아직은 많이 배워야하는 자세로 많은 연습과 좋은 무대경험이 되었다. 음악과 춤을 중심으로 공연하는 종합 예술의 무대, 뮤지컬 배우의 꿈을 키워가는 12세 한인 소년, 윤종현 학생을 만나 보았다.뮤지컬은 음악과 춤을 중심으로 공연하는 무대 종합 예… 더보기

리바이브 패밀리-가족치료, 부부상담 전문 서비스

댓글 0 | 조회 2,099 | 2018.08.22
리바이브 패밀리는 가족치료와 부부상담을 통해 건강한 가정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고자 만들어진 서비스이다. 뉴질랜드 현지 여러 기관에서 사회복지사 그리고 상담사로 일을 하면서 많은 경우 한사람의 문제가 그 사람 자체에게 있기보다는 가족관계에서의 어려움 혹은 주변 환경 속에 파생된 문제로 보게 되면서 가족치료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서비스를 시작하게 되었다. 가족치료, 부부상담, 개인상담을 하고 있고 상황에 따라 적합한 기관에 보내기… 더보기

KBS 전국노래자랑 세계대회 NZ 예선전 최우수 상, 윤 준석

댓글 0 | 조회 4,575 | 2018.08.08
KBS방송국과 재외동포재단이 공동기획, 재외동포들이 참여하는 ‘KBS 전국노래자랑 세계대회’ 뉴질랜드 예선전이 지난 21일 오클랜드 한인회관에서 열렸다. 총 36팀이 참여해서 그동안 갈고 닦은 노래실력을 마음껏 펼치며 열띤 경연을 벌인 이날 대회의 최종 우승자는 <설운도, 사랑의 트위스트>를 부른 윤준석(32세, 웨스트하버 거주) 씨에게 돌아갔다. 우승을 차지한 윤준석 씨는 뉴질랜드를 대표해서 한국에서 열리는 ‘KB… 더보기

The Compost Collective

댓글 0 | 조회 1,915 | 2018.08.08
순수 유기물 쓰레기 이용, 퇴비 만드는 방법을 알려주는 단체Compost Collective는 오클랜드 카운슬의 지원을 받아서 오클랜드에 거주하는 분들께 유기물 쓰레기를 이용해서 여러가지 퇴비 보카시, 재래식 퇴비, 지렁이를 이용한 퇴비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는 단체이다. Auckland Council에서는 Waste Management and Minimisation Plan - ‘쓰레기를 줄이자’ 라는 계획을 세웠다… 더보기

오클랜드 시니어 베이스볼 리그 협회

댓글 0 | 조회 3,019 | 2018.08.08
오클랜드 시니어 베이스볼 리그(Auckland senior baseball club), ASBC는 6개의 한인야구 팀들이 정기 경기를 하는 리그이다. 클럽리그가 만들어진 것은 4년전 정식으로 ASBC라는 비영리단체가 결성되었다. 그전에는 한인들이 주축이 되어 리그 경기를 했지만 여러가지 문제로 인하여 다른 클럽과 조인형식으로 이루어졌었다. 뉴질랜드에는 BNZ(Baseball New Zealand)이라는 상위기관이 있고 각 지역… 더보기

스포츠와 함께 건전한 한인 커뮤니티 만들어, 김범석

댓글 1 | 조회 3,263 | 2018.07.26
스포츠를 통해서 한인 커뮤니티 활동을 하고 있는 청년들이 있다. 프로선수들은 아니지만 한인 아마추어 농구팀으로 대회에 참여해서 좋은 성적과 함께 농구를 좋아하는 한인 청년들의 만남의 장으로 한국에 대한 사랑을 끝임없이 주고받고 있다. 힘들었던 1.5세대 이민 생활을 스포츠를 통해서 서로 의지하며 뉴질랜드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청년들이다. 오클랜드 한인 아마추어 농구팀, LOCKDOWN 김범석 주장을 만나보았다.축구 월드컵으로 … 더보기

맹진주양, 한국인 최초 '경제학 레벨3-뉴질랜드 전국 1등'

댓글 0 | 조회 6,806 | 2018.07.15
뉴질랜드에서 3년 차 유학을 하고 있는 맹진주 양이 한국인 최초로 경제학 레벨 3 뉴질랜드 전국 1등을 했다는 소식이다.맹진주 양은 고등학교 1학년 때 유학을 결심하고 뉴질랜드에서 11학년으로 처음 공부하게 되었으며, 3년 차 뉴질랜드에서 공부하고 있다. 그녀는 이번 년도에 학교 졸업과 동시에 유학 생활도 마칠 예정이며, 한국의 대학교에 진학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한국인 최초로 External ncea economic lev… 더보기

우리들의 진솔한 이야기, 힙합 뮤지션, 루 카스

댓글 0 | 조회 3,717 | 2018.07.11
한국의 힙합(K-Pop) 음악을 뉴질랜드 모던 힙합 음악과 접목을 시도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한인 10대 뮤지션들이 있다. 이들의 음악 베이스는 한국의 힙합(k-Pop)이지만 새로운 스타일의 음악을 만들어 뉴질랜드와 한국, 미국으로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한인 6명으로 구성된 <이네퍼크루>가 만들어내는 한국적 음악, 세계적인 뮤지션을 꿈꾸고 있는, 루카스(장우진)리더를 만나 보았다.​얼마전 뉴질랜드 라디오 방송 … 더보기

오클랜드 문학회

댓글 0 | 조회 3,955 | 2018.07.11
2012년, 네 사람이 시작한 오클랜드문학회(회장 최재호)는 현재 125명의 회원이 가입한 순수문학 동호회이다. 다양한 연령대의 회원들이 평소 생업에 종사하며 문학에 대한 관심과 열정으로 틈틈이 글쓰기를 하면서 문학적 역량을 키우고 이를 통해서 성숙할 수 있는 자아 성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강원국 작가 초청으로 좋은 반응을 얻어<대통령의 글쓰기> 저자로 유명해진 강원국 작가가 뉴질랜드 동포들과 함께 했다. 오클랜… 더보기

글쓰기로 마음을 움직이는 사람, 강원국

댓글 0 | 조회 2,919 | 2018.06.27
감동과 변화를 주는 글쓰기로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작가가 있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했고 대통령 비서실 연설비서관으로 청와대에서 8년간 지내며 김대중 대통령과 노무현 대통령의 연설문을 글로 표현했던 작가이다. <대통령의 글쓰기>의 저자로 알려지면서 더욱 유명해졌다. 우리의 삶 속에서 글쓰기 치유의 힘과 중요성을 어필하고, 글쓰기를 통한 성숙한 삶을 강조하는 등 재치 있는 이야기로 청중의 주목을 집중시키는 강… 더보기

마이랑이 아트 센터 Mairangi Art Centre

댓글 2 | 조회 3,151 | 2018.06.27
마이랑이 아트 센터(Mairangi Art Centre)는 27년 전 이스트 코스트 베이(East Coast Bays) 지역에서 많은 문화적 활동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던 주민그룹, Pat Hewson의 리드로 1991년 5월 설립되었다. 아트 센터 오픈을 위해 주민들이 10년 이상 기금 모금을 했으며 정성과 협력으로 만들어진, 주민들을 위한 아트 센터이다. 아트센터 건물은 역사적인 건물로 1953년에 마이랑이 전쟁 기념관으로 … 더보기

K-Pop, 한국문화를 키위들과 함께 배워요! 김민석

댓글 0 | 조회 3,337 | 2018.06.13
한국문화를 뉴질랜드 젊은이들과 함께 몸으로 느끼고 배워가는 청년이 있다. 5년전 K-Pop 동아리 활동을 시작으로 본인은 물론 뉴질랜드 현지인들까지 한국 사랑에 푹 빠져 있다. 한국문화에 대한 사랑은 음악으로 처음 시작했지만 한국 영화 그리고 한국음식, 문화에 대해 현지인들의 많은 관심으로 한국 알리기 영역을 넓혀 가고 있다. 하반기에는 한국 바베큐, 비빔밥 만들기, 한국어 교실 이벤트를 준비하고 있는 오클랜드 대학교 <… 더보기

CNSST FOUNDATION

댓글 0 | 조회 2,263 | 2018.06.13
아시안들을 위해 무료 사회 복지 및 카운셀링 서비스​CNSST FOUNDATION은 Chinese New Settlers Services Trust의 새로운 이름으로 팬뮤어 비지니스 허브에 위치하고 있으며 CNSST Foundation의 목적은 아시안 이민자들이 뉴질랜드 문화를 잘 이해하고 뉴질랜드에 아시안 문화도 잘 보급함으로써 뉴질랜드 다문화에 적응 및 기여를 잘 할 수 있도록 하고 뉴질랜드 내에 있는 아시안 단체 및 지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