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 있는 청소년 상담사, 이현숙씨

열려 있는 청소년 상담사, 이현숙씨

0 개 6,743 김수동기자
1-14.jpg



사람들이 사는 곳에 갈등은 늘 존재한다. 사람에 따라 방법을 몰라서 갈등의 골이 깊어지도록 내버려두거나 같은 말과 행동으로 관계를 더욱더 나쁘게 하는 경우도 있다. 남이라면 안보면 그만일 수 있겠지만 가족은 그렇지 않다. 우리 아이들 마음에 무엇이 들어 있는지 들어주는 귀를 열어 둔다면 아이들 역시 마음에 문을 연다. 그리고 혹 더 나이든 자녀들을 둔 부모가 너무 늦어버려 서먹한 사이로 몇 년을 지내고 있다면 지금이라도 손을 내밀어 보자. 가족간의 화해는 늦는 법이 없고 사랑은 모든 허물을 덮는 다는 말이 진리임을 실현해 보기 바란다.


interview_title 셈플.jpg



뉴질랜드에서 살고 있는 많은 이민자들이 자녀들을 위해 어려운 이민생활을 선택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문득 뒤를 돌아보면 바쁜 이민생활 때문에 과연 우리가 꿈꾸는 가정 안에서의 질적인 삶이 실현되었는지 생각해 보아야 할 것 같다. 오히려 뉴질랜드 문화와 한국문화 가운데서 아이들은 방황하고 부모의 부재로 인해 아이들은 외로워 하고 있다. 이러한 청소년들을 도와 주고 상담을 해주는 교민이 있다. 오클랜드 소재 고등학교에서 상담교사로 일하면서 열린 청소년 상담소(Open Youth Service) 을 운영하고 있는 이현숙 씨를 만나 보았다.


한국에서 영어강사로 12년간 근무한 경력 덕분에 주변 지인들이 영어 개인수업을 부탁해 청소년들을 만날 기회들이 생겼다. 개인수업을 진행하면서 항상 밝고 고민이 없을 것 같은 한 학생이었는데 부모님에게 말하기 힘든 고민들을 하나씩 털어놓기 시작했다. 이 학생뿐만 아니라 사춘기에 접어든 많은 아이들이 많은 고민을 하고 생활한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면서 “어떻게 하면 아이들에  고민을 해결해 줄 수 있을까” 를 생각했다. 마침 그 당시 몇 년 동안 나에 앞으로의 삶이 내가 믿는 종교의 의미와 목적대로 이끌어지기를 바라면서 비전을 두고 몇 년을 기도하던 중이었다. 그러면서 참으로 고통 가운데 있는 아이들을 보면서 내 능력의 한계를 느끼고 더 그들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던 중 정식으로 공부를 통해 상담사 훈련을 받기로 결심하였다. 

청소년 문제 대부분 가정에서 출발
청소년들을 상담하는 일들은 일반 성인들 보다 상대적으로 힘든 일이다. 청소년들의 문제는 단지 그들 자신이 가질 수 있는 십대의 고민들 즉 친구나 이성관계, 학교생활, 공부의 어려움 그런 단일화된 고민이 아니라 문제의 대부분이 가정에서 출발을 하기 때문이다. 가정적 배경과 환경이 아이들을 힘들게 하는 경우들이 많기 때문에, 사실 상담실에서 여러 번의 상담을 통해 어느 정도 회복이 된다 해도 다시 가정으로 돌아가서 상처받고 힘을 잃고 돌아오기 때문에 참으로 무기력함을 느낄 때가 많다. 상담을 하면서 부모님들을 자주 학교로 초청해서 자녀들의 문제들을 나누는데 상담 교사가 먼저 힘든 자녀들을 문제를 돕겠다고 손을 내밀어도 부담스러워 하고 거부감을 느끼는 부모들이 많이 있다. 그리고 상담을 했다는 것을 알고 자녀들을 나무라는 경우도 있고 미리 자신의 부모 반응이 그럴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 아이들은 아무리 심각한 일들이 있어도 부모에게 알리는 것을 꺼려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 상황들이 상담을 하는 사람들을 어렵게 만든다.



이민 가정의 부모와 자녀들간의 갈등
사람이 사는 곳에 갈등은 늘 존재한다. 그러나 방법을 몰라서 갈등의 골이 깊어지도록 내버려두거나 같은 말과 행동으로 곪아 터지게 하는 경우도 있다. 남이라면 안보면 그만일 수 있겠지만 가족은 그렇지 않다. 솔직히 말하자면 자녀들에게 부모가 상처가 되고 갈등의 대상이 되는 가정들이 많고 특히 이민가정에서는 부모의 생활의 어려움으로 인해 두 가지 스트레스 군이 만만치 않게 대립하게 되고 아이들은 방으로 부모는 슬픔과 분통 안에 남는다. 사춘기가 시작되면 아이들은 저절로 자신만의 공간을 찾고 싶어하고 독립하려 하고 요즘 흔히 말하는 중2병처럼 자신이 세상의 중심이 된다. 안 그래도 부모의 시선으로 보면 꼴불견으로 변하는 아이들인데 다른 문제들 즉 성적저하, 인터넷 혹은 게임중독, 이성문제, 잦은 결석, 그리고 우울증 등등의 이슈들이 겹치면 사실 어느 부모나 부모 특유의 염려증으로 인해 작은 문제도 눈덩이처럼 커 보이고 잔소리를 하다가 화를 내고 급기야 해선 안 되는 체벌을 가하는 부모들도 많다. 그러나 이런 방법들로 자녀들의 문제들을 해결한 사례들은 많지 않다.  오히려 갈등을 심화하고 자녀들은 자신의 문제를 들여다 볼 기회도 없이 감정적인 소용돌이 속에 빠져들고 부모를 원망의 마음으로 보게 된다. 아이가 날뛴다면 부모는 잠잠해야 한다. 그리고 부모가 변해야 한다. 눈치를 보는 것이 아니라 당당하게 조언하되 사랑의 눈과 말로 자녀들이 넘어서는 안될 선들은 그어주고 기다려 주어야 한다. 그러나 부모가 늘 곁에서 기다려주고 믿어주고 참아주고 있다는 사실을 모른 척 할라 해도 할 수 없는 자녀들은 짧게는 몇 개월 길게는 몇 년이 지나면 그런 부모에게는 돌아간다. 부모 노릇이 힘든 건 그 만큼 인내의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한인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요인들
80개 항목에 달하는 스트레스 요인들 중에 가장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들만 간략히 추려보면 한국 이민 청소년들은 또래가 가지는 이성문제, 친구문제, 외모 콤플렉스, 그런 것들 보다 어려운 이민생활을 하는 부모를 보면서 미래에 대한 두려움과 경제적인 어려움, 부모의 요구로 인해 1등이 되어야 할 것 같은 압박감과 자유가 없음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고 있다는 점이다. 이민와서 언어적 어려움들로 인해 자녀들은 어른들의 세계에 빨리 발을 들여 놓는다. 자녀 들은  은행, 병원, 직장 등의 부모가 언어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장소들에 통역사로 동참하면서 자신의 개인적인 문제에 빠져있을 시기에 부모가 걱정 근심하는 부분들을 마음으로 떠안고 염려하고 있는 것이다. 많은 청소년들이 진로에 대해 흥미를 가지지 못하는 요즘의 세태는 어쩌면 이미 부모로부터 정해져 있는 소위 잘나가는 직업들을 목표로 삼으면서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찾을 필요도 없으니 공부나 세상 돌아가는 일이나 자신의 미래에 대해서 조차 흥미롭지 않게 되는 것이다. 세상에는 참으로 많은 직업군이 있는데 우리는 한국에서처럼 열 손가락 뽑힐 직업들 안에 아이들의 잠재력을 가두어둔다. 공부를 잘 하나 못하나 한인 청소년들의 과목 선택은 비슷하다. 세 과목의 과학과 수학…. 그 좁은 세상 안에서 아이들은 무기력증을 느끼고 학교에 오기 싫어하는 아이들이 늘어나고 잦은 결석의 문제가 스마트폰의 사용과 더불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화가 난다고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부수면서 아이들에게 트라우마가 생기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 마음에 무엇이 들어가 있는지 들어주는 귀를 열어 둔다면 아이들은 변한다. 그리고 혹 더 나이든 자녀들을 둔 부모가 너무 늦어버려 서먹한 사이로 몇 년을 지내고 있다면 가족간의 화해에는 늦는 법은 없고 사랑은 모든 허물을 덮는 다는 말이 진리임을 실현해 보기를 바란다.


상담을 두려워하지 말자!
이번 인터뷰를 통해서 꼭 말씀 드리고 싶은 것은 상담을 두려워하지 말라는 것이다. 상담은 비밀이 보장되고 친구에게 문제를 털어놓는 것과는 다르게 내 안의 많은 상처들과 문제들을 꺼내놓고 제자리로 정리해주고 버릴 것은 버리도록 도와주는 마음의 청소를 하는 것과 다름없다. 그 정리하는 과정에 필요한 것들이 무엇인지 버려야 할 것들은 무엇인지 길을 안내해주는 것이 상담사들이다. 쏟아내기만 하면 효과적으로 정리할 수 없어 또 다시 누군가에게 계속 하소연하게 된다. 몸을 위한 건강을 추구한다면 마음의 건강함 없이는 불가능하다. 아프면 병원을 가듯이 고민이 있다면 편안한 마음으로 상담을 해보기를 바란다.
openyouthservicenz@gmail.com
글,사진; 김수동 기자

퀸즈타운, 한국알리기 민간 외교관, 김숙자 씨

댓글 0 | 조회 7,232 | 2014.10.29
이민 초기 퀸즈타운, 교민 12명을 위한 한국 관련된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한식당을 운영 하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었다. 소수의 한인이 거주하는 관계로 한국과 관련된 것은 오클랜드에서 구해서 비행기로 공수 해야 했다. “ 퀸즈타운에 여행하는 외국인들과 뉴질랜드 현지 사람들에게 일본 식당이 아닌 나의 한국 식당으로 발 걸음을 돌릴 수 있게 해야겠다”는 나의 꿈이 이루어지면서 우리 문화와 음식을 세계인에게 알리는 것이 정말 기쁘… 더보기

Korean Community Wellness Society

댓글 0 | 조회 6,050 | 2014.10.29
“교민들의 보건복지를위해 최선다해” Korean Community Wellness Society(회장 홍진영)는 2001년 이곳 뉴질랜드 의료 보건, 복지 분야에 종사하는 분들이 서로의 정보를 교환하고, 현지 사회와 한국 교민사회를 보다 원활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자 만들어진 모임이다. 현재, 50명의 회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기적인 모임을 갖고 한인 공동체의 건강을 위한 활동을 시작하고 있다. 보건 복지 근무 경력자들로… 더보기

[오클랜드경찰서 24시] 피해자시 신고하기

댓글 0 | 조회 5,322 | 2014.10.29
뉴질랜드 경찰은 몇년간 여러 민족의 경찰관을 모집하였다. 몇회에 걸쳐 오클랜드 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아시안 경찰관들을 인터뷰할 예정이다. 오늘 저는 뉴질랜드 아시안 경찰관 중 아주 오래 근무한 Jimmy Jin Detective와 인터뷰하게 됨을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제가 Jimmy 경관을 알게된지도 벌써 10년째이며 나의 롤 모델이다. 특히 같은 중국인 동료여서 반갑다. 그는 중국에서 태어났으며 아주 많은 경험과 오랜 경력… 더보기

크라이스트처치 희망천사, 정신기 씨

댓글 0 | 조회 5,662 | 2014.10.14
택시 기사를 하면서 7년 동안 일요일마다 자비를 털어서 노숙자들에게 선행을 베푸는 한인 교민이 있다. 4명의 자녀를 뒷바리지 하고 매주 음식을 준비해 노숙자들에게 7년 동안 쉬지 않고 나누어 주기 시작한 것이 알려지면서 각종 뉴스에 집중을 받았다. “개인적으로 당시 너무 힘들게 생활 했던 상황이라 혼자서 햄버거를 구입해서 노숙자들을 만나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었다. 하지만 그들과 약속을 했고 약속을 기다리는 그들의 눈동자가 떠… 더보기

< 대한무도관>

댓글 1 | 조회 6,788 | 2014.10.14
매주 수요일과 금요일 저녁, 노스쇼어 알바니 Murrays Bay intermediate 농구코트. 이곳은 오동근 (6단) 관장의 지도를 받고 있는 이곳 검도 수련생들은 매주 저녁 학교와 직장을 마치고 찾는 수련생들로 가득하다. 수련생들이 도복으로 갈아입고 죽도를 손에 쥐기 시작하면서부터 도장 분위기가 바뀐다. 곧 쾅쾅대는 발 구름 소리와 기합소리가 체육관의 열기를 더해준다. 약 20명 가량의 수련생이 모두 동시에 호구를 쓰고… 더보기

타우랑가 한글학교 교장, 안영희 씨

댓글 0 | 조회 7,749 | 2014.09.23
한글학교를 찾아오는 아이들을 맞이하는 선생님들 얼굴에 웃음과 희망이 넘쳐흐른다. 한 나라의 국어는 민족의 정신과 문화를 담은 결정체라고 할 수 있다. 타국에서 자라나는 교민 학생들에게 우리 말을 가르치는 한글학교의 역할은 누군가 해야 하는 정말 중요한 일이다. 한국사람이 한국말을 모르고 한국의 역사와 전통을 모른다면 부끄럽지 않을까 생각한다. 또한 우리 주변에 있는 한국 사람이 우리에 것을 모르는 것도 내게는 역시 부끄러움이다… 더보기

오클랜드 한인학생회

댓글 0 | 조회 8,619 | 2014.09.23
오클랜드 대학교 한인 학생회 (Auckland University Korean Students’ Association; AKSA)는 1993년 결성된 뉴질랜드 내 가장 큰 규모의 한인학생회이다. 학생회는 오클랜드 대학교 내 한인 학생들이 더욱 즐겁고 편하게 대학생활을 할 수 있도록 화합과 교류의 기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준비된 사회인으로 졸업할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 현재는 약 400명의 회원이 있으며 그 … 더보기

[오클랜드 경찰서 24시] 차량내부 절도

댓글 0 | 조회 5,660 | 2014.09.23
▲ Senior Sergeant Michael Rickards 안녕하십니까? 노스쇼어 경찰서(North Shore Policing Centre)에서 소수민족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박 승욱 경관 입니다. 현재 한인들을 포함한 소수민족들을 대상으로 하는 특정 범죄형태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범죄 형태로 인해 뉴질랜드 특히 오클랜드에 거주하고 계신 교민 여러분, 학생, 방문자, 그외 여행자 여러분들께 사건의 심… 더보기
Now

현재 열려 있는 청소년 상담사, 이현숙씨

댓글 0 | 조회 6,744 | 2014.09.10
사람들이 사는 곳에 갈등은 늘 존재한다. 사람에 따라 방법을 몰라서 갈등의 골이 깊어지도록 내버려두거나 같은 말과 행동으로 관계를 더욱더 나쁘게 하는 경우도 있다. 남이라면 안보면 그만일 수 있겠지만 가족은 그렇지 않다. 우리 아이들 마음에 무엇이 들어 있는지 들어주는 귀를 열어 둔다면 아이들 역시 마음에 문을 연다. 그리고 혹 더 나이든 자녀들을 둔 부모가 너무 늦어버려 서먹한 사이로 몇 년을 지내고 있다면 지금이라도 손을 … 더보기

Victoria Park Medical Suites

댓글 0 | 조회 7,239 | 2014.09.09
지난 6월 30일 시티 빅토리아 Park 근방에 새롭게 GP Medical Centre 및 Family Doctor Clinic인 Victoria Park Medical Suites가 OPEN하였다. 건축가가 직접 전문 병원을 위한 설계로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장애인, 목발을 사용하는 환자 및 휠체어가 올라갈 수 있는 에스켈레이터를 따로 설치하였다. 현재 오랜경험과 경력을 갖춘 남, 녀 의사가 근무 중이다. Jeffry Wo… 더보기

MS 이매진컵 세계대회 우승, 도현철 씨

댓글 0 | 조회 5,824 | 2014.08.26
호기심과 재미로 시작하게 된 대회였지만 세계 1등이라는 큰상을 수상 하면서 평생 기억하게 될 소중한 학생시절의 추억을 만든 것 같다. 대회를 준비한 지난 6개월 동안 하루 하루들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정말 값진 시간들이었다. 또한 우리 모두가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도 알았다. 그 가능성을 위해 틈틈이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해서 자신의 개발과 학업에 더욱더 노력 할 것이다. 뉴질랜드 국기를 우승 트로피와 함께 미국… 더보기

Century 21 부동산 정경호씨

댓글 0 | 조회 4,640 | 2014.08.26
"고객을 먼저 생각하는 부동산 컨설팅” Century 21부동산 Botany 지점에서 3년째 근무하고 있는 교민 정경호씨가 올 2014년 상반기 통산 Century 21 뉴질랜드 전체 영업실적 1위를 기록 하면서 Platinum Awards를 수상했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정경호 씨는 수상 소감으로 “그 동안 아낌없는 지원과 관심을 보여주신 모든 고객과 교민들에게 진심으로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 고 밝히면서 또한 “… 더보기

[오클랜드 경찰서 24시] Tell us what you know, not who…

댓글 0 | 조회 4,400 | 2014.08.13
점점 많은 사람들이 Crimestoppers NZ을 통해 범죄 사례를 법정에 가기전에 제보하고 있다. 저는 이번에 Crimestoppers NZ 회장과 인터뷰를 통해 콜센터 일에 대해 알아 보았다. 저는 Crimestoppers NZ회장인 Mr. John Perham의 화려한 경력과 배경에 놀랐다. Mr. John Perham씨는 Crimestoppers NZ의 설립자이며 회장이다. 또한 Trans Tasman Business… 더보기

부시워킹 리더, 아이작 씨

댓글 0 | 조회 6,742 | 2014.08.12
산행에 참여하는 교민들 대부분 최선을 다해서 노력한다. 이런 교민들이 있기에 힘들지만 코스를 미리 답사 하면서 가능하면 중복되지 않는 산행 코스를 잡아 진행하고 있다. 혼자 산행 답사를 하다보면 갑자기 개가 달려 들어 깜짝 놀라는 경우도 있고 인적이 없는 산 중에서 두려움을 느낄 때도 있었다. 하지만 매주 산행을 기다리는 회원들이 건강을 찾고 즐거워하는 모습을 보면 정말 힘이 난다. 매주 최선을 다해 산행을 하면서 새로운 곳을… 더보기

새움터

댓글 0 | 조회 6,039 | 2014.08.12
정신건강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 새움터는 “새싹이 움트는 곳”이라는 뜻으로 한인 커뮤니티내의 정신건강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높이고, 정신 질병에 대한 편견과 오해를 줄여 건강한 한인 공동체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목적으로 2009년에 설립된 비 영리 단체 (Charitable Trust)이다. 새움터는 뉴질랜드 보건부의 Like Minds, Like Mine 프로젝트의 하나로 뉴질랜드 정신건강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 더보기

[오클랜드 경찰서 24시]불법약품 유통에서 멀리하라!!

댓글 0 | 조회 3,646 | 2014.07.23
오늘은 뉴질랜드 경찰소속 The Organised and Financial Crime Agency(OFCANZ) 부서 Ray van Beynen 사무관과 인터뷰 기회를 가졌다. Jessica: Ray 사무관님! 중국에서는 Contac NT은 감기약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왜 뉴질랜드로 반입하는 것이 불법인가요? Ray: 이 감기약은 에페드린(ephedrine)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메탐페타민(각성제: methamphetam… 더보기

IB 프로그램, 전과목 만점 이가은 씨

댓글 0 | 조회 11,290 | 2014.07.22
뉴질랜드에서 생활을 하면서 웬만한 어려움에도 쉽게 흔들리지 안을 강한 자신감을 얻게 되었고, 다른 사람이 아닌 나 자신만의 꿈을 찾게 되어 꿈을 위해 공부를 하게 되었다. 뉴질랜드 유학생활은 항상 내 한계와 맞대면하며 이를 극복해가는 과정을 반복했다. 어려운 일들을 해냈다는 것에 대한 자부심과, 나 자신이 또 한번의 한계를 넘었을때 너무나도 행복했던 기억이 난다. 포기하지 않고 최선을 다하는 것, 나 혼자만이 아니라 다른 사람… 더보기

원광한의원<합리적 진단과 동의보감에 근거한 치료>

댓글 0 | 조회 13,383 | 2014.07.22
한의학 박사, 원광한의원 김정근 원장 한국에서 원광대 한의학과를 졸업했다. 대학병원에서 임상수련을 하였고 석사, 박사 과정을 거치면서 공부를 해왔다. 또한 중의 학을 경험하기 위해 북경 중의의원에서 연수를 하였으며, 한국에서 한의사들과 함께, 때로는 양의사들과 같이 많은 세미나와 스터디에서 다양한 공부를 하였다. 특히 형상의학 부분은 창안자이신 지산 선생님의 수제자 중 한 분이신 박재형 선생님에게 5년간 사사를 받았으며, 침구… 더보기

[오클랜드 경찰서 24시] 신임 경찰 총장 Mike Bush

댓글 0 | 조회 3,848 | 2014.07.08
지난 6월 27일 새로 취임한 경찰 총장 Mike Bush을 알리고 축하하는 행사(Powhiri)을 미션베이에 위치한 뉴질랜드에서 최대 마오리 종족에 해당하는 Ngati Whatua종족 회관인 Orakei Marae에서 가졌다. 뉴질랜드 경찰 총장은 매 3년마다 교체되며, 고위 정부 인사들이 새로 취임시 마오리 종족을 존중하는 의미로 마오리 회관에서 취임 이벤트을 갖는다고 한다. 오전 8시 30분에 시작하여 오후 2시까지 진행… 더보기

마당한누리 패장, 원진희 씨

댓글 0 | 조회 5,200 | 2014.07.08
마당한누리 국악 공연을 통해서 뉴질랜드 현지인들에게 그리고 한인 교민들에게 한국 전통문화를 알리는 것과 강습을 통해 접해보지 못한 교민들에게 국악을 체험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주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 국악 음악 단체 이다. 힘든 외국 생활 속에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우리의 우수한 문화를 자라나는 후손들이 잊지 않도록 전수하고 계승 발전시키는 일이며, 아울러 우리 민족의 문화와 우리 가락을 자랑스럽게 여기도록 하는 것이라 … 더보기

아시안 커뮤니티 서비스

댓글 0 | 조회 3,679 | 2014.07.08
Asian Community Services Trust Asian Community Services Trust (ACST)는 비영리 기관 (민간 사회 복지단체)으로서 Chinese New Settlers Services Trust (CNSST)의 부속 기관이다. CNSST는 중국계 여성 제니 왕이 중국 이민자로서 새로운 나라에 정착하는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경험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과 같은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돕기 위해 … 더보기

[오클랜드 경찰서 24시] Dealing with Asian Young Adult…

댓글 0 | 조회 3,369 | 2014.06.24
아시안 부모들이 자녀들의 갑작스런 반항에 대해 많은 걱정을 하고 있다. 최근에 저는 평소와 달리 자녀들의 문제로 부모님들께 많은 전화을 받고 있다. 그래서 오늘은 District Community and Youth Manager인 Alan Rowland 형사님을 찾아와 그의 조언을 듣고자 한다. Jessica: Alan Rowland형사님, 인터뷰을 시작하기 전에 오늘 인터뷰가 어떤 대상을 위한 것인지 먼저 알려 드리고자 합니… 더보기

타카푸나 그래머스쿨 학생회, 송영은 씨

댓글 0 | 조회 9,333 | 2014.06.24
타카푸나 그래머 스쿨(Takapuna Grammar School), 코리안 나이트(Korean Night)는 한국의 얼과 문화, 아름다움을 알리기 위함이 목적이다. 또한 한국인들과 현지인들이 함께 어우러져 서로를 더욱 잘 이해 할 수 있어 큰 의미가 있는 행사이었다. 이번 행사를 통해서 한국 학생들은 물론 외국 친구들도 행사에 적극 참여해 주었고 그 결과 학교 학생들은 인종이나 문화의 차이가 주는 서로간의 벽을 허물 수 있는 … 더보기

한라 컴퓨터-

댓글 1 | 조회 6,225 | 2014.06.24
한라 컴퓨터는 1992년 교민 업체로 시작하여 1995년 새로운 주인으로 바뀌고 24년간 이끌어온 컴퓨터 판매 및 수리 업체로 교민업체로는 가장 오래된 업체 중 하나 이다. 타카푸나에서 시작하여, 노스코트 그리고 지금은 글랜필드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지금의 업주인 임종인씨는 뉴질랜드 기타 앙상블의 지휘자로도 알려져 있다. 처음에는 주로 교민 상대로 컴퓨터 판매 및 수리를 하였으나 요즘은 현지인 고객이 더 많은 실정이다. 교민들을… 더보기

더불어 사는 사회를 꿈꾸는, 유광종씨

댓글 0 | 조회 6,347 | 2014.06.10
“12바구니 봉사”는 현재 한국 교민 봉사자들이 도와 주고 있다. 손님들 대부분은 뉴질랜드 현지 다양한 사람들이 방문해서 물건을 구입 해준다. 판매 가격도 손님들에 따라 조금씩 차등을 둔다. 어려운 분들에게는 무료로 판매하는 경우도 있고 조금 여유가 있는 사람들에게는 정상 가격으로 판매 하지만 모두들 12 바구니 봉사의 의미를 알고 한결같이 기쁜 마음으로 판매에 동참해 주고 있다. 중고 물품을 기증 받아 어려운 이웃에게 돌려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