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황시기도 많고 배운 것도 많은 나의 유학생활" - 조헌기씨

"방황시기도 많고 배운 것도 많은 나의 유학생활" - 조헌기씨

0 개 4,033 KoreaTimes
"문득 뉴질랜드로 유학의 발을 내딛지 않고 한국에서 계속 살았다면 지금 나의 모습은 어떨까? 라는 생각을 합니다. 1998년 IMF 외환위기로 어느 가정과 마찬가지로 저희 부모님도 경제적으로 힘들었지만 막내아들 졸업시키기 위해 끝까지 지지해준 부모님에게 너무 감사 합니다.”

  중학교 3학년 당시 한국은 과도한 사교육 열풍과 학업성적에 유난히 민감해 명문 대학교에 입학하고 의사나 변호사와 같이 끝에‘사’자 들어가는 직업을 구해야 하는 현실이 싫었던 조헌기씨는 부모님의 권유로 유학의 길을 선택하게 됐다. 부모님은 친척 중 호주에서 유학생활을 마친 후 한국에서 취업도 잘한 성공사례를 듣고 조씨를 유학 보내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마침 동네 친구 중에 뉴질랜드로 이민을 가는 가족이 있었고 평소 친분이 있었던 이들과 함께 뉴질랜드로 향하게 되었다.

  처음 언어문제로 심하게 스트레스도 받고 유학생활에 적응하기가 힘들었다는 그는 대학교에 입학하기 전까지 친구들과 노는 것에 더욱 관심이 많았다고 털어놓는다.“가족 없는 외딴 곳에서 친구들과 어울리고 많이 의지했던 것 같네요. 공부도 물론 중요했지만 이 곳에서 여러 사람들을 만나 친분을 쌓아 놓은 것이 지금 생각해 보면 사회생활을 하는데 큰 도움이 됐죠.”사회생활에서 인간관계를 매우 중요시 생각하는 그는 성적은 인생의 전부가 아니라고 목소리 높여 말한다.“그렇다고 학업에 소홀하면 안되겠죠. 부모님이 비싼 학비와 생활비를 보내 주는데 맨날 공부는 안하고 놀 수만은 없잖아요. 그리고 공부는 정말 때가 있는 거 같아요, 현재 일과 파트 타임 공부를 병행하는데 힘든 점이 많네요.”

  그는 주변에 유학생들을 만나면 유학생활을 먼저 경험한 인생 선배로서 진지하게 고민상담도 해주고 같이 맛있는 것도 먹으면서 올바른 길로 갈 수 있도록 조언도 해주고 함께 걱정 해준다고 한다.“유학생활을 오래 하다 보니 어린 유학생 친구들을 보면 저의 옛날 모습이 떠올라 이 친구들과 공감하는 부분들이 많더라고요. 왜 그런 거 있잖아요. 부모님 말씀에 어렸을 때는 왜 그리 반항했던지……내가 유학생활을 할 때에 나이가 한참 많은 선배들이 나의 고민을 상담해 주고 좋은 길을 제시해 주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라는 생각도 합니다.”

  고등학교 졸업 후 앞으로 호텔 방면으로 전망이 좋을 것이라고 조언해 준 아버지의 말씀을 따라 Pacific International Hotel Management School(PIHMS)에 입학해 호텔경영학을 공부하게 된 그는 호텔 실무 경험을 함께 체험하면서 대학생활을 시작하게 되었다. 외국인 친구들과의 어울림, 문화교류, 함께 토론하고 공부하기 등 2년 6개월 과정의 대학생활을 이들과 함께 보내면서 크고 작은 일들이 많았다는 조헌기씨는 그 중 매 년마다 6개월씩 학교 밖으로 나가 호텔에서 실습을 하고 직접 돈을 벌었을 때가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한다.

“매주에 70~80시간씩 일해보신 적이 있으세요? 제가 1학년 때 호텔로 실습 나가서 최저 임금 받고 일주일에 최고 80시간까지 일했어요. 그렇게 일해서 6개월 동안 모아둔 돈이 8천 불 정도가 됐는데 유학 와서 처음 내 손으로 돈을 벌었다는 것이 신기하고 스스로 대견했어요. (웃음) 당시 호텔에서 음식을 제공해 주고 몇 직원들에게는 생필품도 나눠 주어 플랫 비 외에 돈 쓸 일이 크게 없었죠. ”

  잔고를 확인할 때 마다 늘어나는 돈을 보는 재미에 푹 빠졌다는 그는 버는 것은 힘들지만 지출은 쉽다는 것을 새삼 깨달았다고 말한다.“죽어라 열심히 일해서 번 돈으로 방학 때 한국을 갔는데 2달 만에 벌어 놓은 돈의 반을 쓰고 점차 없어지는 잔고를 볼 때 돈이라는 게 쓰는 건 참 쉽구나 라고 느꼈답니다.”지금은 은행에서 일하다 보니 지출에 더 신경을 쓰게 된다는 그는 부모님이 본인의 유학생활을 위해 8년 동안 보내 주신 돈이 엄청나다는 것을 느끼고 부모님이 자식을 생각하는 마음에 고개를 숙이게 된다고 말한다.

  그렇게 2년 반의 대학생활을 마치고 매 년 실습을 통해 친분을 쌓았던 한 호텔 매니저의 도움으로 호텔에서 워크 비자를 취득 한 후 정식 직원으로 일하게 된 조헌기씨는 호텔 나이트 포터 (Night Porter)로 시작해 리셉션리스트  (Receptionist)로 일을 했다고 한다. 취직하기 전까지 미래에 대한 스트레스로 한참을 방황했고 취직한 후에도 안정되지 않은 생활에 많이 힘들어 했지만 친구들의 도움으로 영주권 신청도 하면서 하나씩 계획을 세워 앞으로 나아가기 시작했다.

  영주권 취득 후, 새로운 경험을 위해 여러 군데 이력서를 제출한 곳 중 은행에서 뒤늦게 연락을 받은 그는 새로운 사회생활을 시작했고 3년 동안 National Bank 고객서비스부서에서 일한 뒤 새로운 변화를 위해 현재는 ANZ 은행 알바니 지점에 새로운 둥지를 틀었다. 은행에서 오랫동안 일을 하면서 그는“호텔은 1불이 없어져도 웃으며 넘어가는 고객들이 대부분이지만, 은행에서는 1불이 없어지면 고객들이 크게 노여워합니다. 내 재산을 지키러 온 분들이기 때문에 고객 한 분 한 분의 계좌를 신경 써서 돌봐 드려야 한다는 것이 호텔에서 일할 때와 달랐어요.  투자, 부동산 시장, 경제동향, 환율 변화 등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사회를 더 크게 보는 안목이 생기는 것 같아요. 또한 고객에게 내 마음을 담아서 서비스를 하면 그 마음을 고객들도 알고 항상 찾아 준답니다.”고 당당하게 말한다.

  그에게는 방황의 시간이 많았다. 유학생활을 하면서 혼자 있다 보니 자신의 감정 컨트롤이 안되고 외로움도 잘 타서 때로는 극복하기 힘이 들 때도 있었지만, 방황의 시기는 누구에게나 오는 것이라며, 유학생활을 시작하려는 후배들에게 바닥부터 시작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고, 도전 하며 자신을 절제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유학생활 성공의 기반을 다질 수 있지 않을까라고 마무리 한다.

(글 : 이강진 기자)

Hot
2008.08.07

아시안 다운언더-2008

KoreaTimes 0    2,777
Hot
2008.08.05

이민한다면 이들처럼!

KoreaTimes 0    4,258
Hot
2008.08.05

세금 감면 발표, 그후

KoreaTimes 0    2,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