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소득세, 이번에는 도입될까?

양도소득세, 이번에는 도입될까?

0 개 7,338 JJW

325da1e56685662bb9710f49ad67b298_1553661400_4478.jpg
양도소득세(CGT, Capital Gains Tax) 도입이 다시 한번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세금제도 개선안 마련을 위한 특별기구인 세제자문단(Tax Working Group)이 양도소득세 도입을 추천하면서 정부가 도입 여부를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정부가 도입 쪽으로 결론을 내더라도 2021년 4월로 예정된 시행일까지 국회 통과와 2020년 총선 과정에서의 여론 수렴 등 험난한 여정이 예상되고 있다. 주택에 대한 뉴질랜드인들의 유별난 집착과 새로운 세금 도입에 대한 반감 때문에 검토 과정에서 매번 흐지부지됐던 양도소득세가 이번에는 도입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정치적 자살행위로 여겨온 양도소득세

 

양도소득세 도입에 대한 논의는 과거에도 여러 차례 있었지만 오랫동안 정치적 자살행위로 간주되어 번번이 논의 단계로 끝났다. 

 

지난 2009년 5월부터 2010년 1월까지 한시적으로 구성된 세제자문단은 양도소득세 부재가 부자에게만 혜택을 주는 뉴질랜드 조세제도의 커다란 허점이라는 지적에 대해 양도소득세 도입을 검토했지만 최종 제안에서 제외했다.

 

양도소득세가 금액이 커서 다른 세금을 적게 부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지만 시행 과정에서 복잡한 사항들이 많아 IRD측에서 선호하지 않았고 당시 존 키(John Key) 총리도 양도소득세가 비효율적이고 부동산 붐 방지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다며 반대했기 때문이다.

 

325da1e56685662bb9710f49ad67b298_1553661570_5804.jpg
 

2011년 총선에서 열세에 놓였던 노동당의 당시 필 고프(Phil Goff) 대표는 양도소득에 일률적으로 15%의 세율을 부과하는 양도소득세를 공약으로 들고 나왔다.

 

2014년 총선에서도 열세였던 노동당의 당시 데이비드 컨리프(David Cunliffe) 대표는 2011년과 같은 양도소득세 도입을 공약했다.

 

오클랜드 주택시장이 과열 양상을 보이자 2015년 10월부터 당시 국민당 정부는 패밀리 홈이 아닌 주거용 주택을 2년 이내에 판매한 경우 시세차액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는 이른바 ‘브라이트 라인 테스트(bright line test)’를 시행했다.

 

이는 실질적인 양도소득세 형태로 현 노동당 연립정부는 2018년 3월부터 그 기간을 2년에서 5년으로 늘렸다.

 

노동당 정부는 2017년 11월 양도소득세 검토를 포함한 세금제도 개선안 마련을 위해 1999-2008년 노동당 정부 시절 재무장관을 역임했던 마이클 쿨렌(Michael Cullen) 경을 단장으로 하는 세제자문단을 구성했다.

 

지난달 21일 세제자문단은 포괄적인 양도소득세 도입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최종 보고서를 발표했다.

 

연간소득에 포함돼 과세

 

세제자문단의 쿨렌 단장은 “뉴질랜드 세금제도는 많은 강점을 가지고 있지만 양도소득에 대한 일관성 없는 처리로 인한 분명한 약점이 있다”고 말했다.

 

이번에 제안된 양도소득세는 투자용 부동산, 토지, 주식, 비즈니스 자산, 지적 재산 등에 포괄적으로 적용된다.

 

이러한 자산의 매각에 따른 소득은 판매자의 연간소득에 합해져 개인 소득세율에 따라 세금이 부과된다.

 

패밀리 홈과 차량, 보트, 예술품, 보석류, 개인용품 등은 양도소득세 면제 대상이다.

 

양도소득 계산은 소급 적용되지 않아 2021년 4월 이후에 발생한 양도소득에 대해 세금이 부과된다.

 

예를 들어 홍길동이 패밀리 홈과 5년 전에 50만달러에 구입한 렌트 투자용 주택을 소유하고 있고 2021년 4월 1일 주택 가치가 70만달러이며 2년 후에 80만달러에 팔았을 경우 양도소득은 10만달러가 된다.

 

세제자문단은 양도소득세 부과로 시행 첫 5년 동안 83억달러가 걷힐 것으로 추산하고, 이를 저소득층의 세금 감면에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즉 10.5%의 최저 개인 소득세율에 대한 소득 상한선을 현행 1만4,000달러에서 2만-2만2,500달러로 올려 보다 많은 소득이 최저 세율의 적용을 받도록 하자는 것이다.

 

세제자문단은 또한 교통 문제 해결을 위한 혼잡세 부과와 탄소배출권거래제(ETS) 확대, 중ㆍ저소득층에 대한 키위세이버 세제 혜택 등을 추천했다.

 

시행되면 렌트비 상승 및 집값 하락 전망

 

양도소득세는 미국과 영국에서 1950년대 도입하였고 이웃 호주도 1985년부터 시행하는 등 대부분의 선진국가들에서는 이미 시행하고 있다.

 

다른 나라에서는 시행중인 이 세금이 뉴질랜드에는 없어서 사람들이 세금없는 부동산에 투자하게 되고 조세 회피를 찾아 비생산적인 자산에 열을 올리게 되었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노동의 대가로 받은 근로소득에 대한 세금은 부과하면서 비생산적인 부동산 사고 팔기로 얻은 양도소득에 대한 세금이 없어 오랫동안 뉴질랜드 세금제도의 구멍으로 지적됐던 것이다.

 

세제자문단은 양도소득세가 시행되면 렌트비는 다소 상승 압력을 받고 집값은 하방 압력을 받을 것으로 분석했다.

 

세제자문단은 캐나다, 호주,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다른 나라들에서 양도소득세 시행이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렌트비가 약간 올랐지만 의미있는 정도는 아니라고 덧붙였다.

 

뉴질랜드부동산협회(REINZ) 빈디 노웰(Bindi Norwell) 회장은 양도소득세 시행이 확정되면 많은 투자자들이 세금을 내지 않기 위해 2021년 4월 이전에 매물을 시장에 내놓아 단기적으로 집값이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다음달 정부의 선택은?

 

정부는 다음 달에 세제자문단의 추천 사항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발표할 예정이다.

 

연립정부를 구성하는 노동당과 녹색당은 포괄적인 양도소득세 도입을 지지해 왔으나 뉴질랜드제일(New Zealand First)당의 윈스턴 피터스(Winston Peters) 대표는 2017년 총선때 양도소득세는 효과가 없다며 반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노동당은 당이 원하는 포괄적인 양도소득세안을 세제자문단으로부터 추천받았으나 뉴질랜드제일당의 반대와 내년 총선에서의 부정적인 영향 등을 고려해 처음보다 많이 희석된 주거용 렌트 주택에 한해 먼저 도입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자신다 아던(Jacinda Ardern) 총리와 그랜트 로버트슨(Grant Robertson) 재무장관의 최근 발언이 이러한 관측을 뒷받침한다.

 

아던 총리는 지난달 25일 “뉴질랜드 세금제도는 대체로 잘 운영되고 있다”고 말해 대폭적인 변화가 없을 것임을 암시했다.

 

로버트슨 장관도 지난달 26일 상공회의소 조찬간담회에서 “세제자문단의 추천사항들을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는 양도소득세 도입에 대한 반대 여론이 지지보다 우세한 가운데 노동당이 세제자문단의 추천사항들을 그대로 시행한다면 내년 총선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도 염두에 둬야 하기 때문이다.

 

조세자문단의 최종보고서 발표 2일 전인 지난달 19일 나온 뉴스허브-레이드(Newshub-Reid)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과반수가 넘는 54%의 응답자는 양도소득세 도입을 반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찬성한 응답자는 32%였고 14%는 모르겠다고 답했다. 

 

국민당 사이먼 브릿지스(Simon Bridegs) 대표는 “정부가 추진하려는 양도소득세는 키위세이버, 주식, 투자 부동산, 소규모 비즈니스를 가진 모든 뉴질랜드인들에 영향을 미칠 것” 이라며 “뉴질랜드인 삶의 방식에 대한 공격” 이라고 비난했다. 

지금이 내 집 마련 최적기?

댓글 0 | 조회 2,204 | 2025.06.11
내 집을 장만할 계획이 있다면 지금 실행하라. 많은 전문가들이 생애 첫 집 구매자들에게 주는 조언이다.요즘 주택 구매 환경이 주택 구매자들에게 절호의 기회를 주고… 더보기

강아지 팔며 ‘iTunes 기프트 카드’ 원하면?

댓글 0 | 조회 889 | 2025.06.11
세상이 인터넷으로 연결되고 일상생활 대부분을 스마트폰으로 하게 되자 디지털 환경을 악용한 갖가지 사기 사건도 덩달아 늘면서 안 그래도 팍팍한 우리 삶에 걱정거리가… 더보기

뉴질랜드 부동산 시장의 폭풍: 교민들의 '내 집 마련' 꿈은 어디로?

댓글 0 | 조회 3,592 | 2025.05.30
뉴질랜드 부동산 시장이 그 어느 때보다 거센 격동을 겪고 있다.정부의 새로운 주택 정책, 급변하는 금리, 경제적 불확실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부동산 지형이 전면… 더보기

여성 노동계의 거센 반발 산 임금평등법 개정

댓글 0 | 조회 1,037 | 2025.05.28
지난 7일 국회에서 긴급 통과된 개정 임금평등법이 여성 노동계에 거센 반발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여성 근로자 비율이 높은 사회복지, 보건, 교육 등과 같은 부문… 더보기

스마트폰 “함부로 버리거나 팔면…”

댓글 0 | 조회 1,332 | 2025.05.28
인류 문명이 21세기로 들어선 뒤 최고의 발명품으로 스마트폰을 꼽는 경우가 많다.전 세계적으로 수십억 명이 사용하는 스마트폰은 등장한 지 겨우 20여 년 만에 다… 더보기

해외투자 세제 개정해야

댓글 0 | 조회 1,573 | 2025.05.14
외국주식과 같은 해외투자에 대한 뉴질랜드 세제가 너무 복잡하고 시대에 뒤떨어져 있다는 지적이 높다. 국경을 넘는 투자가 용이해졌고 점차 보편화되면서 뉴질랜드 투자… 더보기

미국행보다 더 비싼 국내선 요금

댓글 0 | 조회 2,566 | 2025.05.13
최근 Air NZ의 국내선 항공요금이 지나치게 비싸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연일 터져 나오고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주요 도시가 아닌 지역 노선에서 요금이 과도하다는… 더보기

노숙인들이 급격히 늘어난 이유

댓글 0 | 조회 4,980 | 2025.04.23
최근 거리나 공원, 자동차 등에서 생활하는 노숙인들이 눈에 띄게 늘었다. 그러나 정부는 비상주택에 지내고 있는 사람들이 줄었다며 관련 정책이 효과를 보고 있다고 … 더보기

서머타임, 앞으로도 유지할까?

댓글 0 | 조회 4,467 | 2025.04.23
지난 4월 6일(일) 새벽에 ‘서머타임(Summer time, ST)’ 적용이 끝나면서 시계가 한 시간 전의 ‘표준시’로 돌아갔다.매년 서머타임이 시작되거나 끝날… 더보기

AI 시대가 온다: 일자리의 변화와 우리의 대응 전략

댓글 0 | 조회 1,681 | 2025.04.22
1. AI 시대의 도래와 현재 기술 발전 현황 (2023~2025)인공지능(AI)이 더 이상 공상과학 속 미래 기술이 아닌, 우리 일상의 중심 화두가 되었다. 특… 더보기

이웃과의 전쟁 – 크로스 리스 부동산

댓글 0 | 조회 4,367 | 2025.04.09
뉴질랜드의 부동산 소유 형태는 크게 프리홀드(freehold)와 크로스 리스(cross lease)로 구분된다. 프리홀드는 토지와 그 위에 지어진 건물을 소유하는… 더보기

터널 끝, 서서히 비추는 회복의 빛 - <2025년 1분기 뉴질랜드 경제 진단>

댓글 0 | 조회 2,637 | 2025.04.08
2025년 1월부터 3월 말까지 뉴질랜드 경제는 지난해 경험한 경기침체에서 서서히 벗어나면서도 주요 지표에서는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2024년 3분기에 –1.1… 더보기

올화이츠, 16년 만에 월드컵 재도전

댓글 0 | 조회 1,092 | 2025.04.08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인 ‘올화이츠(All Whites)’가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올화이츠는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회 이후… 더보기

트럼프 비판 외교관 해임에 관한 공방

댓글 0 | 조회 2,268 | 2025.03.26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하는 발언을 한 영국 주재 대사관의 필 고프(Phil Goff) 고등판무관에 대해 윈스턴 피터스(Winston Peters)… 더보기

교도소 관리는 누가? 교정부 or 갱단

댓글 0 | 조회 1,958 | 2025.03.25
3월 초 뉴질랜드 교도소에 대한 보고서가 언론을 통해 공개된 가운데 교도소를 실제로는 갱단이 장악했다는 주장이 나왔다.이에 대해 ‘교정부(Department of… 더보기

부실하게 지어지는 주택들

댓글 0 | 조회 5,390 | 2025.03.12
지난 2021년 당시 노동당 정부와 야당이었던 국민당이 주택 위기를 겪고 있는 대도시에 타운하우스,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빠르게 지을 수 있는 주택공급법을 공동 … 더보기

태즈먼해 깜짝 등장한 중국 군함들

댓글 0 | 조회 1,881 | 2025.03.11
- 실탄 훈련에 국제선 여객기 우회 소동- 최근 쿡제도 사태와 맞물려 경각심 최고조 지난 2월 20일과 21일 뉴질랜드와 호주 언론은, 양국 사이의 바다인 ‘태즈… 더보기

총리가 나에게 코인 투자를 권했다?

댓글 0 | 조회 2,618 | 2025.02.26
수년 전부터 ‘인공지능(AI)’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이를 악용한 금융 사기 역시 폭증하면서 하루가 멀다고 언론에 각종 피해 사례가 보도되고 있다.지난해 10… 더보기

이민 순유입에서 순유출로?

댓글 0 | 조회 2,974 | 2025.02.25
뉴질랜드로 이민오는 사람들은 감소하고 뉴질랜드를 떠나는 사람들은 증가하면서 순유입을 유지 중인 이민 추세가 조만간 순유출로 반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 더보기

강US달러 약NZ달러

댓글 0 | 조회 3,871 | 2025.02.12
뉴질랜드달러화에 대한 미국달러화 환율이 최근 56미국센트 아래까지 거래되면서 2022년 10월 이후 2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처럼 뉴질랜드달러… 더보기

비행기 옆자리에 수갑 찬 죄수가…

댓글 0 | 조회 3,796 | 2025.02.11
비행기를 타고 여행길에 나섰던 당신의 옆자리에 만약 수갑을 찬 죄수와 호송 직원들이 나란히 앉게 된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실제로 바로 옆자리까지는 아니지만 일반인… 더보기

지지부진한 2024년 보낸 주택시장, 올해는 다를까?

댓글 0 | 조회 3,562 | 2025.01.29
주택시장은 2024년 기대와 달리 활기를 찾지 못했다. 1년전 많은 전문가들은 2024년 한해 동안 주택가격이 5~7% 상승할 것으로 점쳤으나 금리 인하 효과가 … 더보기

LA 산불이 뉴질랜드에게 준 교훈

댓글 0 | 조회 3,452 | 2025.01.28
새해가 되자마자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서 전대미문의 초대형 산불이 발생해 집계조차 힘들 정도의 엄청난 피해가 발생했으며 사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 더보기

비상등 켜진 뉴질랜드 경제

댓글 0 | 조회 9,629 | 2025.01.15
뉴질랜드 경제의 불확실성은 장기화되고 있고 2024년도 예외는 아니었다. 작년 2사분기 연간 소비자물가지수는 2.2%로 하락해 2021년 1사분기 이후 처음으로 … 더보기

이상한 여름 날씨, 기후 변화 추세는 여전

댓글 0 | 조회 4,333 | 2025.01.14
지난 연말연시 휴가 시즌에 여름 날씨가 좀 이상했다는 말이 주변에서 많이 들렸다.이 무렵 한창 뜨겁고 건조해야 할 캔터베리에서도 지난해 말부터 하루나 이틀 걸러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