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재산은 얼마나 늘었나요?

당신의 재산은 얼마나 늘었나요?

0 개 4,884 JJW
포커스.jpg

지난 2000년에 뉴질랜드에 살고 있었다면 당신의 재산은 그 때에 비해 300% 늘어나 있어야 정상(?)이다. 이는 실질적인 재산이 늘었다는 것이 아니라 미국 달러화 또는 원화로 환산한 재산이 그 만큼 늘었다는 얘기다.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14 세계 부(富) 보고서’를 살펴 보았다.

뉴질랜드인 재산 성장률 세계 1위
2000년 하반기는 뉴질랜드 달러화 가치가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던 시기였다.

당시 뉴질랜드 1달러는 미화 40센트 선까지 내려갔고 원화로는 400원대 중반에 거래되기도 했다.

투자은행인 크레디트 스위스(Credit Suisse) 은행이 지난달 공개한 ‘2014 세계 부 보고서’는 공교롭게도 2000년을 기준으로 세계의 부의 변화를 보여 주고 있다.

환율과 부동산 가치, 개인 부채 등을 기초로 측정한 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4년간 뉴질랜드 국민 1인당 재산 성장률이 세계 1위를 차지했다.

뉴질랜드의 뒤를 이어 이웃 호주가 바짝 추격하고 있다.

뉴질랜드는 유리한 환율변동과 부동산값 폭등 등으로 엄청난 이득을 챙겼고, 현재 환율로 계산할 경우 뉴질랜드 국민 1인당 평균재산이 2000년에 비해 무려 300% 이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요즘 대미환율이 76~80센트 선에 거래되니까 2000년에 비해 거의 두 배 상승한 셈이다.

그러나 환율변동을 감안하지 않은 고정환율을 기준으로 한다면 뉴질랜드인의 재산 성장률은 100% 정도로 떨어져 20개국 가운데 13위에 그친 것으로 밝혀졌다.

그만큼 환율 상승으로 인한 재산 증가분이 컸다는 얘기가 된다.

환율절상 제외한 재산성장이 더욱 정확
경제전문가들은 환율효과를 제한 결과가 뉴질랜드의 현실을 더욱 정확히 반영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BNZ의 토니 알렉산더(Tony Alexander) 이코노미스트는 미화 40센트를 기준으로 한 환율이 커다란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알렉산더는 이어 많은 나라들이 아직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의 국내총생산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데 비해 뉴질랜드는 금융위기 이전보다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넘고 있는 주택가격도 뉴질랜드인의 재산 성장에 큰 몫을 차지했다”고 말했다.

뉴질랜드는 지난 2000년대 초반과 최근 몇 년 간의 두 차례에 걸친 부동산 붐을 겪으면서 주택 소유 여부에 따라 심한 부의 불균형을 가져 왔다.

집을 가진 사람들이 몇 배 늘어난 자산가치를 즐기고 있는 동안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대부분의 소득을 급등한 렌트비를 지급하는데 사용해야 했다.

소득의 40% 이상을 렌트비로 지출하는 가구 비율은 지난 10년 동안 9.5%에서 23%로 증가했다.

지난해 정부의 주택보조금 혜택을 받은 9만4,000세대의 렌트 거주자 가운데 48%는 소득의 절반 이상을 렌트비로 내고 있었다.

저소득 계층의 주택난은 저렴한 정부주택에 입주하려는 대기자 수에서도 잘 반영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의 경제 활황기에도 불구하고 최우선 순위 대기자 수는 2012년 6월 425명에서 지난 6월 3,188명으로 급증했다.

정부주택에도 들어가지 못하는 일부 극빈층은 자동차 등에서 생활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저소득층 주택비용 증가로 재산증식 점점 어려워
가족예산서비스연합의 래윈 폭스(Raewyn Fox) 회장은 그의 단체가 서비스하는 5만2,000세대를 살펴 보았을 때 재산성장을 찾아볼 수 없다고 반박했다.

폭스 회장은 “재산이 증가하는 계층은 따로 있을지 모른다”면서 “부유한 계층과 가난한 계층과의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2000년부터 통계를 작성한 이 보고서에 따르면 뉴질랜드 상위 10%의 재산은 지난 2000년 전체 부의 62.3%에서 올해 57%로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뉴질랜드는 선진국 가운데 호주, 캐나다 등과 함께 상위 10%의 재산이 50~60% 범위에 있는 ‘중간’ 정도의 부 불평등 국가로 분류됐다.

선진국 가운데 70%가 넘는 매우 높은 수준의 불평등 국가에는 미국과 스위스, 홍콩 등이 올랐고, 신흥국가로 분류된 한국은 60~70%에 해당하는 높은 수준의 불평등 국가로 조사됐다.

상위 1%가 전세계 부의 48% 독식
전세계 인구 하위 50%는 전세계 부의 1% 이하를 차지하고 있다. 

반대로 가장 부유한 10%는 부의 87%, 가장 부유한 1%는 48.2%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 

보고서는 “이들의 부는 갈수록 늘어, 불균형이 심화되고, 이는 경기후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가장 부유한 절반이 되기 위해서는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재산이 미화로 3,650달러(4,653뉴질랜드달러)면 족하다. 

하지만 상위 10%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7만7,000달러(9만8,140뉴질랜드달러) 이상, 상위 1%에 들어가는데는 79만8,000달러(101만7,176뉴질랜드달러)가 각각 필요하다. 

이런 가운데, 호주인이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국민인 것으로 조사됐다. 

호주 성인 부의 중앙값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22만5,000달러(28만6,800뉴질랜드달러)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호주의 부동산 가격이 크게 올랐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2위는 벨기에로 17만3,000달러였고, 이어 이탈리아, 프랑스, 영국이 11만달러 안팎으로 3~5위를 차지했다. 

호주의 가구당 보유 부동산 평균가격은 31만9,700달러로, 전체 보유자산의 60%를 차지해 노르웨이 다음으로 부동산 비중이 높았다. 

전세계적으로 지난 2000년 가계자산 가운데 55% 정도를 차지했던 금융자산 비율은 세계적인 부동산 붐이 불었던 2002년 52%로 떨어졌다가, 글로벌 금융위기 원년인 2007년 들어 50%까지 추가 하락한 후, 최근 몇 년 동안 반등했다.

부동산 등 비금융자산은 금융자산보다 약간 높은 비중을 점유했던 2008년 이후 둔화된 성장률을 보여 현재는 2001년과 같은 46%을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앞으로 5년 동안 세계 부가 40% 증가하여 오는 2019년에 369조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한국을 포함한 신흥국가들의 부 증가가 20%에 달해 2000~2014년 사이 11.4%의 증가율을 뛰어 넘을 것으로 내다봤다.

세계적으로 백만장자 수는 3,500만명에서 5,300만명으로 5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유출 파문에 묻힌 ‘웰빙 예산’

댓글 0 | 조회 3,768 | 2019.06.26
정부는 올해 예산안을 공개하면서 세계… 더보기

지구를 위협하는 플라스틱

댓글 0 | 조회 3,490 | 2019.06.25
▲ 목장에 등장한 플라스틱 울타리 기… 더보기

마약 실태, 하수구를 보면 알 수 있다

댓글 0 | 조회 5,144 | 2019.06.12
지난 5월에 영국의 언론들은, 런던 … 더보기

외부고사 비중 늘어날 NCEA

댓글 0 | 조회 3,890 | 2019.06.11
교육부가 고등학교 학력 평가 제도인 … 더보기

남섬에는 정말 흑표범이 살까?

댓글 0 | 조회 5,194 | 2019.05.29
지난 몇 년 동안 남섬 일원에서는 외… 더보기

사상 최저의 기준금리

댓글 0 | 조회 5,194 | 2019.05.28
뉴질랜드 기준금리가 역대 최저 수준인… 더보기

점점 더 늦게 결혼한다

댓글 0 | 조회 4,866 | 2019.05.15
뉴질랜드 통계국(Statistics … 더보기

모기지의 포로가 되고 있는 뉴질랜드인들

댓글 0 | 조회 9,524 | 2019.05.14
은퇴 연령에 이르러도 갚아야 할 모기… 더보기

커지는 R의 공포

댓글 0 | 조회 6,044 | 2019.04.24
경기 침체(Recession)에 대한… 더보기

CHCH 테러, 세상 보는 눈을 바꿨다

댓글 0 | 조회 3,602 | 2019.04.24
크라이스트처치 이슬람 사원에 대한 테… 더보기

부자 마을과 가난한 마을

댓글 0 | 조회 7,120 | 2019.04.11
지난달 뉴질랜드 통계국(NZ Stat… 더보기

학업과 취업에 고민하는 Z세대

댓글 0 | 조회 4,412 | 2019.04.09
1990년대 중반에서 2000년대 초… 더보기

양도소득세, 이번에는 도입될까?

댓글 0 | 조회 7,101 | 2019.03.27
양도소득세(CGT, Capital G… 더보기

총기 문제, 지금이 마지막 해결 기회

댓글 0 | 조회 3,699 | 2019.03.26
뉴질랜드 역사상 최악의 테러 사건으로… 더보기

누가 배신자인가?

댓글 0 | 조회 6,199 | 2019.03.14
최근까지 이슬람 극단주의 단체인 ‘이… 더보기

노동당 정부의 중국 딜레마

댓글 1 | 조회 5,102 | 2019.03.13
뉴질랜드는 지난 1984년 자국을 방… 더보기

범죄, 언제 어디에서 많이 발생하나?

댓글 0 | 조회 5,095 | 2019.02.27
지난 2월 중순에 뉴질랜드 경찰은 작… 더보기

극한 대립 예고된 2019학년도

댓글 0 | 조회 3,566 | 2019.02.26
대학들이 대부분 개강하면서 본격적인 … 더보기

“멸종 위기에 직면한 노란눈 펭귄"

댓글 0 | 조회 3,718 | 2019.02.14
지난 1월 초, 뉴질랜드 자연보존부는… 더보기

뉴질랜드인 정신건강 ‘적신호’

댓글 1 | 조회 5,644 | 2019.02.12
뉴질랜드인들의 정신건강에 빨간 불이 … 더보기

누가 입국이 거부됐나?

댓글 0 | 조회 7,932 | 2019.01.31
1월 중순에 뉴질랜드 이민부(Immi… 더보기

뉴질랜드에도 적용되는 ‘금수저’ ‘흙수저’

댓글 0 | 조회 10,368 | 2019.01.30
부모의 직업이나 소득이 자녀의 학력에… 더보기

첫 집 장만이 가장 어려웠던 시기는?

댓글 0 | 조회 7,473 | 2019.01.16
1980년대 초반부터 2000년대 초… 더보기

잠 못 이루는 뉴질랜드의 1월

댓글 0 | 조회 6,368 | 2019.01.16
이번 1월 들어 오클랜드에서는 몇 차… 더보기

연말 맞아 활개치는 전화 사기

댓글 0 | 조회 5,029 | 2018.12.24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우리 생활의 일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