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의 한국인 (下)

뉴질랜드의 한국인 (下)

0 개 7,305 JJW
통계청이 실시한 ‘2013 인구조사’의 한국인 관련 자료 가운데 마지막으로 가구와 주택 등에 대한 관심가는 내용을 소개한다. 

가구
자녀가 있는 부부 가족 형태가 67.9%로 한인의 가장 많은 가족 유형이었다. 부부와 그들의 미혼자녀 이외에 더 넓은 범위의 친족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대가족은 12.2%로 뉴질랜드 전체(11.7%)보다 높았지만 아시아인 평균(22.1%)보다는 낮았다. 18세 미만이면서 풀타임으로 고용되지 않은 부양아동 수가 6,930명으로 조사된 가운데, 그들의 77.1%는 양부모가 있는 가정에서 살고 있었고 나머지 22.9%는 편부모 가정에서 살고 있었다. 

■ 가구 구성 
fo 1.jpg

■ 가족 유형 
fo 2.jpg

주택
한인의 30.9%인 7,485명이 주택을 완전 또는 부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6년 인구조사 때의 37.1%에 비해 낮아진 수치이다. 45~54세 연령대가 36.4%로 가장 높은 주택소유율을 보였다. 렌트로 살고 있는 한인은 46.9%인 1만3,251명으로 2006년 39.8%에 비해 늘었다. 이는 또한 뉴질랜드 전체 평균 32.9%는 물론, 아시아인 평균 37.1% 보다 높은 것이다. 렌트로 살고 있는 한인의 렌트비를 살펴 보면 주당 400달러 이상이 61.2%로 가장 많고 300~399달러 26.5%, 200~299달러 9.5%, 100~199달러 1.8%, 100달러 미만 1.1%로 각각 조사됐다.

■ 주택소유율
fo 3.jpg

■ 연령대별 한인 주택 소유
fo 4.jpg

무급 활동
인구조사 기준일인 지난해 3월 5일 이전 4주일 동안 15세 이상 한인의 78.7%가 무급 활동을 했다고 답변했다. 가장 많이 한 무급 활동은 집안 일과 요리, 수리, 정원 관리 등 본인의 집을 위한 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보면 30~64세가 65.9%로 가장 많이 무급 활동에 참여했고 성별로는 여성이 83.2%로 73.4%의 남성보다 높았다.

fo 5.jpg

한인이 가장 많이 종사하는 업종은 2,634명의 숙박 요식업으로 나타났고 소매업과 보건 사회 지원이 뒤를 이었다.

자동차
한인의 94.2%인 2만7,015명이 가정에 적어도 자동차 한 대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자동차를 두 대 보유한 비율은 한인이 아시아인과 뉴질랜드 전체보다 높았다. 직장을 다니는 한인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은 개인 자가용, 트럭 또는 밴(65.9%) 이었고 도보(10.6%)와 대중 버스(8.8%)가 뒤를 이었다.

fo 6.jpg

전화 및 인터넷
가정에 핸드폰을 사용하는 한인이 2만5,521명으로 전화를 이용하는 한인 수(2만5,428명)보다 많았다. 91.7%의 한인이 인터넷을 이용해 아시아인과 뉴질랜드 전체보다 높았다.

fo 7.jpg

뉴질랜드에도 적용되는 ‘금수저’ ‘흙수저’

댓글 0 | 조회 10,390 | 2019.01.30
부모의 직업이나 소득이 자녀의 학력에… 더보기

첫 집 장만이 가장 어려웠던 시기는?

댓글 0 | 조회 7,488 | 2019.01.16
1980년대 초반부터 2000년대 초… 더보기

잠 못 이루는 뉴질랜드의 1월

댓글 0 | 조회 6,388 | 2019.01.16
이번 1월 들어 오클랜드에서는 몇 차… 더보기

연말 맞아 활개치는 전화 사기

댓글 0 | 조회 5,042 | 2018.12.24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우리 생활의 일부… 더보기

코리아포스트 선정 2018 NZ 10대 뉴스

댓글 0 | 조회 4,856 | 2018.12.21
█ 공식적으로 가장 더웠던 지난 여름… 더보기

금리, 지금이 바닥인가

댓글 0 | 조회 4,719 | 2018.12.12
1년 고정 모기지 금리가 시중은행들의… 더보기

‘Givealittle’, 10년간 기부금 1억불 달성

댓글 0 | 조회 2,909 | 2018.12.11
지난 12월 5일, 국내 언론들과 인… 더보기

하루 2만5천불짜리 관광상품 등장

댓글 0 | 조회 5,234 | 2018.11.29
지난 11월 중순 국내 각 언론들에는… 더보기

문제 많은 ‘키위빌드’ 사업

댓글 1 | 조회 8,084 | 2018.11.27
노동당 정부의 ‘키위빌드(KiwiBu… 더보기

유가 3달러 시대 오나

댓글 0 | 조회 5,679 | 2018.11.14
기름값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리터당 … 더보기

퀸스타운은 젊은 도시, 노년층은 코로만델

댓글 0 | 조회 5,981 | 2018.11.13
▲ 젊은층 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퀸… 더보기

反이민 감정 깔린 ‘NZ 가치 존중법’

댓글 0 | 조회 8,550 | 2018.10.25
연립정부의 한 축을 이루고 있는 윈스… 더보기

야생 염소와 결투 벌이는 DOC

댓글 0 | 조회 3,612 | 2018.10.24
뉴질랜드 자연보존부(DOC)가 ‘야생… 더보기

뉴질랜드의 미친 집값

댓글 17 | 조회 19,664 | 2018.10.10
뉴질랜드 주택가격이 전 세계 주요국 … 더보기

제초제 ‘Round Up’은 발암물질?

댓글 0 | 조회 5,908 | 2018.10.09
​지난 7월초 미국 캘리포니아주 1심… 더보기

뉴질랜드에 부는 韓流 바람

댓글 0 | 조회 7,771 | 2018.09.26
“한국 드라마와 K팝을 좋아해서 한국… 더보기

‘최후의 날’벙커 만드는 미국의 슈퍼 부자들

댓글 0 | 조회 6,220 | 2018.09.25
지난 9월 초 국내외 언론들에는 미국… 더보기

NZ의 새로운 계층 ‘워킹 푸어’

댓글 1 | 조회 8,535 | 2018.09.12
직장은 있지만 아무리 일을 해도 가난… 더보기

우리가 생태계 파괴범?

댓글 0 | 조회 4,068 | 2018.09.11
최근 세계 곳곳에서 고양이가 생태계에… 더보기

인구 500만명, 언제 넘어설까?

댓글 1 | 조회 8,307 | 2018.08.22
2018년 6월 30일 현재 뉴질랜드… 더보기

이민자의 시각으로 사업기회 찾아라

댓글 0 | 조회 7,581 | 2018.08.21
뉴질랜드를 떠나는 이민자들이 점점 늘… 더보기

집값 상승 노리려면 소도시로

댓글 0 | 조회 8,548 | 2018.08.08
오클랜드, 크라이스트처치 등 대도시들… 더보기

소유권 이전 ‘통계로 본 외국인 주택구입’

댓글 0 | 조회 5,679 | 2018.08.07
외국인들의 주거용 부동산 구입 문제는… 더보기

인기 높아가는 아시안 식품

댓글 0 | 조회 7,585 | 2018.07.25
팍 앤 세이브(Pak’n Save),… 더보기

강화되는 학생대출금 체납 단속

댓글 0 | 조회 6,157 | 2018.07.24
그동안 역대 뉴질랜드 정부들로 하여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