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자 시선으로 본 영화 ‘기생충’, 냄새와 선을 넘는 것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김도형
강승민
크리스틴 강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골프&인생
이경자
정윤성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김준
박기태
채수연
독자기고
Timothy Cho
EduExperts
이주연
Danielle Park
들 풀

이민자 시선으로 본 영화 ‘기생충’, 냄새와 선을 넘는 것

0 개 2,461 김임수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을 보았다. 칸느영화제 최고대상을 수상해서가 아니어도 평소 봉준호 감독을 좋아하기 때문에 바쁜 한국방문 일정속에서도 시간을 내서 관람을 했다.  결국 두번을 관람했으니 나름대로 팬심을 발휘한 셈이다. 

 

c0c3e2971fb91622e46787e7224028e2_1561439047_7695.jpg
 

봉감독이 인터뷰에서 ‘이 영화를 보는 관객들이 불편한 마음을 가졌으면 좋겠다’라고 밝혔지만, 철저히 그의 의도대로 영화를 보는 내내 마음이 불편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대개 슬픈 영화, 잔인한 영화, 생각 많이 하게 되는 영화 등 감정소모가 많은 영화를 감당할 자신이 없어진다. 굳이 돈 들여 시간내서 보는데 불편한 영화를 볼 이유가 있겠는가.  그렇지만 오해는 하지 않으셨으면 한다. 이 영화. 정말 훌륭하다. 

 

영화를 보시지 않은 분들을 위해서 세세한 스토리라인을 설명드리지는 않겠다. 다만, 영화 전반에 흐르는 가난한 자와 부자를 가르는 두 가지 구분인 ‘냄새’. 그리고 사람사이의 경계를 가르는 보이지 않는 ‘선’에 대해서 말씀드리고자 한다.  다문화사회인 뉴질랜드에 사는 이민자로서 이 두가지에 대해서 느끼는 바가 많았기 때문이다.

 

냄새는 인종별로 문화별로 구분된다는 사실을 젊었을 때 경험했다.  필자가 미군부대에서 군생활 할때 미군들로부터 ‘김치냄새’난다고 놀림을 받았을 때 ‘너희들에게는 젖은 닭냄새’ 난다고 맞받아쳤던 기억이 있다. 상대방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철없는 20대들의 유치한 다툼이었다. 

 

인종 특유의 체취 뿐만 아니라 우리들은 먹는 음식과 사는 방식 등의 문화적 차이에 따라 특유의 냄새를 가지게 된다. 한국인들은 몸에서 나는 냄새가 그리 강하지 않아 향수가 널리 사용되지 않지만, 백인들과 흑인들은 땀과 함께 발산되는 특유의 체취가 강하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이 향수 (Deodorant)를 사용한다.  이것을 타인에 대한 예의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민자인 우리는 알게 모르게 주류문화의 눈치를 보면서 살아간다. 그 중에서도 가장 조심하는 것이 음식의 냄새가 아닐까 한다. 혹여나 집에서 조리하는 김치냄새, 된장냄새, 청국장 냄새가 밖으로 새 나갈까봐 걱정을 하기도 하고, 직장에서도 음식 냄새때문에 따로 조용한 곳에서 먹기도 한다.  이런 고민은 다른 인종에게도 비슷한 것 같다. 인도인들이 카레 음식을 조리할때 주방에서 하지 않고 게라지의 통풍 잘 되는 곳에 하는 것을 보았다. 나중에 집을 팔때 인도 음식의 강한 향내 때문에 어려움을 겪지 않으려는 고육지책이라고 했다.

 

냄새를 완벽하게 통제하기는 힘들다. 나의 삶의 체취가 그대로 베어 나오기 때문이다.  내 자신의 건강과 타인을 위한 배려로 청결함을 유지한다면 나에게서 나는 냄새에 그리 신경쓰지 않으려 한다. 까짓것 김치냄새, 된장냄새가 난들 어떠랴. 그게 나인데. 

 

영화에서는 냄새와 더불어 또한 가난한 자와 부자를 나누는 보이지 않는‘선’이 자주 언급된다. 가난한 자들이 부자의 삶의 영역에 선을 넘어 침범하는 장면이 계속 등장한다.  영화를 보면서 인간관계에서 선을 잘 유지하는 것은 무엇일까 생각해 보았다. 

 

우리 한국인들이 인간관계를 맺어가는 과정은 다소 공격적이며 전면적이다. 선을 넘어야 친해질 수 있다고 믿는다. 술을 거나하게 마시면서 서로의 속내를 다 보여주고 난 후에, 또 집안의 숟가락이 몇개인지 알 정도로 서로를 알아야 진정한 친구가 될 수 있다고 믿는다. 그러다보니 친구가 되면 맹렬히 사랑하고, 서로 헤어질 때는 철저히 원수가 된다. 한집 건너면 다 아는 좁은 이민사회에서는 더욱 더 극단적으로 치닫는 것 같다. 

 

나의 영역과 상대의 영역을 존중하며 선을 유지하는 것이 오히려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는 방법이 아닐까. 상대방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마음이 진정한 우정이기 때문이다. 

 

굳이 상대방의 영역에 무리해서 들어가서 그의 모든 것을 다 알고 내 것을 다 보여 주어야만 좋은 관계로 발전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하지 말자. 선을 유지하면 관계는 오래 지속될 수 있다. 

 

김 임수  심리상담사 / T. 09 951 3789 / imsoo.kim@asianfamilyservices.nz       

왜 우리는 감정을 말하며 살아가야 할까?

댓글 0 | 조회 300 | 2025.06.11
우리는 살아가면서 하루에도 수십 번씩… 더보기

Pink Shirt Day

댓글 0 | 조회 344 | 2025.05.13
2025년 5월 16일 금요일, 핑크… 더보기

청소년 도박 문제와 온라인 게임의 연관성: 팬데믹과 게임 플랫폼의 영향

댓글 0 | 조회 423 | 2025.04.09
최근 시드니 대학교 연구진은 로블록스… 더보기

자녀와의 갈등, 공감으로 풀어보세요!

댓글 0 | 조회 464 | 2025.03.11
“환경을 바꾸면 학교에 잘 다닐까 싶… 더보기

빈틈 선물하기

댓글 0 | 조회 276 | 2025.02.12
성인들의 무력감에 대한 세계적인 통계… 더보기

정신 건강의 면역력, 행복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235 | 2025.01.14
미국의 한 연구에 따르면, 새해 결심… 더보기

방학, 자녀와 함께 건강한 게임 습관을 만들어 보세요

댓글 0 | 조회 448 | 2024.12.03
방학이 되면 청소년들이 게임에 몰두하… 더보기

Panic Attack

댓글 0 | 조회 669 | 2024.11.05
공황발작은 갑작스럽고 강렬한 불안감이… 더보기

도박피해 인식주간(Gambling Harm Awareness Week)

댓글 0 | 조회 435 | 2024.09.10
뉴질랜드의 도박피해 인식주간(Gamb… 더보기

Asian Hauora Day

댓글 0 | 조회 890 | 2024.08.14
아시안 패밀리 서비스에서는 2024년… 더보기

제발 잠 좀 자자!

댓글 0 | 조회 820 | 2024.07.10
백 년의 긴 잠에서 깨어난 숲 속의 … 더보기

Incredible Years Program

댓글 0 | 조회 688 | 2024.06.11
결혼 생활을 처음 시작할 때, 대학교… 더보기

Pink Shirt Day

댓글 0 | 조회 1,310 | 2024.05.15
2024년 5월17일(금요일)은 핑크… 더보기

기억에서 지우고 싶은 아픈 기억에 마주했을 때

댓글 0 | 조회 918 | 2024.04.09
우리가 일상을 살아가다보면 예기치 않… 더보기

우선순위가 있는 삶

댓글 0 | 조회 853 | 2024.03.13
나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 더보기

자신을 위한 용서

댓글 0 | 조회 685 | 2024.02.14
요즘 SNS를 통해 보여지는 개개인이… 더보기

디지털 시대의 온라인과 전화상담

댓글 0 | 조회 823 | 2023.12.13
기술이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크… 더보기

동양인들을 위한 NGO의 행사에 동참해야 하는 이유

댓글 0 | 조회 1,064 | 2023.10.10
정부에서는 많은 비영리 법인들을 지원… 더보기

정신건강 인식 주간 (9월 18일부터 22일까지)

댓글 0 | 조회 1,010 | 2023.09.18
정신건강 인식 주간은 뉴질랜드인들이 … 더보기

도박장에서도 도박자를 보호해야 한다

댓글 0 | 조회 1,120 | 2023.09.12
9월 4일자 뉴스에서 스카이 시티가 … 더보기

뇌과학이 알려주는 중독 (알코올, 마약, 도박 그리고 게임)의 이유

댓글 0 | 조회 1,572 | 2023.08.08
중독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사람들을 보… 더보기

도박 장애

댓글 0 | 조회 1,292 | 2023.07.11
DSM(Diagnostic and S… 더보기

ProCare와 Asian Family Services의 공식적인 파트너쉽

댓글 0 | 조회 1,224 | 2023.06.13
의료 공급업체인 ProCare와 아시… 더보기

핑크 셔츠 데이(Pink Shirt Day)

댓글 0 | 조회 2,930 | 2023.05.18
핑크 셔츠 데이(Pink Shirt … 더보기

증가하는 동양인들의 중독

댓글 0 | 조회 2,609 | 2023.05.10
2020년 NZ drug founda…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