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대보름 달 감상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추석 대보름 달 감상

0 개 2,912 한일수

 f5d54896cf263a32846e4a7138fe52fc_1475013027_3008.jpg

 

세월의 수레바퀴는 이곳 남국의 하늘 아래에서도 어김없이 추석이라는 명절을 맞이하게 해주고 있다. 한국에서 가을 수확 철을 맞아 조상을 기리고 한 해의 농사에 감사하는 풍습으로 전해 내려온 전통 명절이지만 이곳 뉴질랜드에서는 새 봄을 맞아 한 해 농사가 시작되는 계절이다. 그러나 한국이나 뉴질랜드에서나 추석 명절이 일 년 중 가장 좋은 절기임에는 틀림없다. 중국에서도 중추절(中秋節)이라 부르는 추석을 음력 8월 15일에 쇠는데 2008년부터 공휴일로 지정하고 있다. 이날은 밤에 온 가족이 모여 월병(月餠)을 먹으며 보름달을 구경하는 풍습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대 보름달을 바라보며 한국에서의 추석 명절에 대한 추억을 되살려 보는 것도 또한 의미 있는 일이기도 하다.

 

태양이 남성이라면 달은 여성이다. 달은 열이 없고 하얗게 빛나는 느낌 때문에 차가움, 냉정함, 냉혹함, 외로움 등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기도 한다. 이역만리(異域萬里) 다른 나라에 와서 따뜻하게 정 붙이고 살아 갈 동기간이나 동료가 없이 냉혹한 현실에서 살아가야하는 이주자들의 처지를 생각해본다. 유난히도 밝고 청순한 뉴질랜드의 달을 바라보며 고국에의 향수를 달랠 수  있기도 하다. 해마다 맞는 추석이지만 산업 사회의 서울 생활에서 맞이했던 추석은 농경 사회의 어린 시절의 그것과는 판이했다. 더욱이 정보화 사회의 시골 같기도 하고 도시 같기도 한 이곳 뉴질랜드에서 맞이하는 추석은 어떤가? 지난날의 그리움과 착잡함이 교차하면서 야릇한 감상을 자아내기도 한다.        

 

매일 같이 뜨고 지는 해와는 달리, 차면 기울고 기울었다가 다시 차는 달이다. 완전히 기울면 그 모습을 감추어 버리기도 하나 사흘 후에 다시 나타난다. 생물이나 사물의 탄생, 성장, 성숙, 포화, 쇠퇴, 소멸의 이치와 같다. 그러나 없어졌던 달이 사흘 후에 다시 나타나 앞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서 재생(再生)과 영생(永生)을 가르쳐주고 있다. 또한 달의 변화는 밀물과 썰물, 사리와 조금을 주관하기 때문에 힘의 지배자를 상징한다. 서울에서 잃었던 달을 다시 찾게 되고 바다와 가까이 하고 있는 이곳 뉴질랜드 생활은 고향의 정서를 느끼기에 충분하다.  

 

오후 5시면 퇴근해서 6시 뉴스를 보고 7시면 잠자리에 들기 시작하는 이곳 키위들이 달에 대한 특별한 감흥이 있을 리는 만무하다. 그들이 우리 조상 대대로 수 천 년 동안 내려온 정월 대보름이나 팔월 한가위에 대한 우리의 정서를 이해 할 리도 없다. 어쩌다 달을 마주치고는 ‘Beautiful’ 한마디 하면 끝이다. 목축업을 주로 하는 이동문화에서 자율적 개인주의가 확립된 그들은 농업 중심의 정주(定住) 사회에서 집단생활에 익숙해온 우리와 다르다. 음력의 절기를 따라 농사를 짓고 고기잡이를 했던 우리의 조상들은 차고 기우는 달의 변화만큼이나 질긴 생활의 애환을 겪으며 살아 왔다. 

    

달은 그 빛이 부드럽고 물기를 머금은 느낌으로 여성적인 서정성을 더해주고 있다. 달빛을 받아 그 자태를 보이고 있는 여인의 모습에서 냉정해질 수 있는 남성은 없다. 오랫동안 한국인의 가슴 속에 침잠(沈潛) 되어 오고 있는 문학 작품이나 노래에는 항상 달밤이 같이 하고 있다. 이효석의「매밀 꽃 필 무렵」에 전개되는 달밤의 정경을 아오테아로아의 하늘 아래에서인들 어찌 잊을 수 있으랴. 이러한 소중한 재산을 회상하며 촉촉한 대지위에 푸른 잎을 더해가는 삶 속에서 건조한 진흙 땅 위에 말라져 가는 초목을 연상할 수는 없으리라. 

 

달을 여성에 비유한 나도향의「그믐달」은 섬세한 감성을 일깨워주고 있다. “그믐달은 너무 요염(妖艶)하여 감히 손을 댈 수가 없을 만큼 깜직하고 예쁜 계집 같은 달인 동시에, 가슴이 저리고 쓰리도록 가련한 달이다. 서산(西山) 위에 잠깐 나타났다가 숨어 버리는 초승달은 세상을 후려 삼키려는 독부(毒婦)가 아니면 철모르는 처녀 같은 달이다. 보름의 둥근 달은 모든 평화와 숭배를 받는 여왕 같은 달이지마는, 그믐달은 애인을 잃고 쫓겨남을 당한 공주와 같은 달이다.        

 

달의 여성적이고 정적인 이미지에 매몰되어 감상에 젖는 것도 현대 사회에서 바람직한 일은 아니다. 무엇보다도 우리가 속해 있는 이곳 사회에서 여성의 지위나 역할이 차지하는 실체를 인식할 일이다. 이곳 여성은 자율적이고 강하며 베풀면서 살아간다. 인종과 굴종의 멍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평생 동안 회한(悔恨)의 눈물을 흘리며 희생만 당하던 조선 시대의 여인이 아니다. 달이 가지는 상징적 의미를 달리 해석할 필요가 있다.  달은 자체적으로 빛을 발 할 수는 없다. 그러나 햇빛을 받아 그것을 반사해 지구에 보내준다. 만일 이와 같은 재생산적인 역할이 없다면 우리는 칠흑 같은 어둠의 밤을 가질 수밖에 없다. 삶의 폭은 그만큼 메말라 버릴 것이다. 

 

태어난 곳을 떠나 뉴질랜드에 영주하고 있는 이민 1세대들이나 여기에서 태어나 자라가고 있는 2세대들이나 혜택을 받고 살아가고 있는 게 사실이다. 받은 빛을 전부 흡수 해버릴 것이 아니라 반사하여 다른데 비춰주는 재 생산적인 삶을 살아볼 일이다.  

3.1 정신과 한민족의 진로

댓글 0 | 조회 798 | 2022.03.08
금년이 3.1운동 103주년이 되는 … 더보기

인생 4계절

댓글 0 | 조회 1,244 | 2022.02.09
미국의 예일대학교 임상심리학 교수 대… 더보기

백두산 호랑이

댓글 0 | 조회 898 | 2022.01.11
“호랑이는 착하고 성스럽고, 문채(文… 더보기

파도야 날 어쩌란 말이냐

댓글 0 | 조회 1,279 | 2021.12.07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파도야 어쩌… 더보기

잡초야 같이 살자

댓글 0 | 조회 1,149 | 2021.11.10
우리가 뉴질랜드 땅을 처음 밟았을 때… 더보기

요동치는 코리안의 물결

댓글 0 | 조회 1,664 | 2021.10.12
바야흐로 민족중흥의 기운이 우리시대에… 더보기

돌을 다듬어 인생살이를 구성하다

댓글 0 | 조회 828 | 2021.08.11
북극권에서 세상을 바라보다 (11)노… 더보기

기다림의 미학 - 솔베이지의 노래

댓글 0 | 조회 997 | 2021.07.13
북극권에서 세상을 바라보다 (10)여… 더보기

코리안 키위 - 50년을 날다

댓글 0 | 조회 1,108 | 2021.06.09
생활 26년차인 지금도 나는 ‘뉴질랜… 더보기

공포와 절망감이 빚어낸 뭉크의 『절규』

댓글 0 | 조회 974 | 2021.05.12
북극권에서 세상을 바라보다 (9)지난… 더보기

권력투쟁

댓글 0 | 조회 996 | 2021.04.13
“주사위는 던져졌다(The die i… 더보기

라이프 리엔지니어링

댓글 0 | 조회 1,175 | 2021.03.09
비즈니스 리엔지니어링(Business… 더보기

백조의 노래

댓글 0 | 조회 1,309 | 2021.02.11
서기 476년 로마의 멸망 이후 유럽… 더보기

8학년 꽃 중년

댓글 0 | 조회 1,615 | 2021.01.13
지금까지 살아 있는 사람들은 코로나 … 더보기

생활의 발견

댓글 0 | 조회 1,721 | 2020.12.09
코로나 19로 얼룩진 경자년(庚子年)… 더보기

노벨 평화 센터

댓글 0 | 조회 1,463 | 2020.11.10
북극권에서 세상을 바라보다 (8)재산… 더보기

독도는 한국땅

댓글 0 | 조회 1,684 | 2020.10.27
'독도는 한국땅' 한반도와 그 부속 … 더보기

위대한 탐험가 - 아문센의 발자취

댓글 0 | 조회 1,226 | 2020.10.14
“먼 훗날 나는 어디선가 이야기할 것… 더보기

밤마다의 미녀

댓글 0 | 조회 1,592 | 2020.09.08
북극권에서 세상을 바라보다 (6)프랑… 더보기

북극권에 진입하다

댓글 0 | 조회 1,689 | 2020.08.12
북극권에서 세상을 바라보다 (5)북극…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태어났습니다

댓글 0 | 조회 2,190 | 2020.07.15
2020년을 맞이한 이래 6개월 동안… 더보기

재택근무는 현실이다

댓글 0 | 조회 2,805 | 2020.06.10
벌써 40년 전의 일이다. 미래학자 … 더보기

컨틴전시 플랜 (Contingency Plan)

댓글 0 | 조회 1,987 | 2020.05.12
벌써 오래 전 이야기이다.. 미국에서… 더보기

북쪽으로 가는 길

댓글 0 | 조회 1,562 | 2020.03.11
북극권에서 세상을 바라보다 (4)8세… 더보기

작지만 강한 나라 - 덴마크

댓글 0 | 조회 1,996 | 2020.02.12
북극권에서 세상을 바라보다(3)우리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