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입시 재조명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김도형
강승민
크리스틴 강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골프&인생
이경자
Kevin Kim
정윤성
웬트워스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김준
박기태
Timothy Cho
EduExperts
이주연
심혜원
들 풀

한국대학입시 재조명

0 개 1,312 최 성길

804ff8a00200983c3eda7078e513425f_1734155422_5877.jpg
 

2025학년도 수시전형 최초합격자 발표가 지난 금요일 마감되었고 우리엔젯 학생들도 연세대학교와 유니스트 등 명문대학들에 최초합격자들이 나왔다.


물론 추가합격자 발표까지 가려면 크리스마스 이후까지 기다려야 해서 최초합격을 하지 못한 수험생 가정은 크리스마스 분위기 없이 연말연시를 맞아야 한다.



2024년도는 2월부터 기존 3천여명 선발하는 전국 의대정원을 정부가 느닷없이 2천명을 추가로 증원하여 선발한다고 하여 N수생이 갑자기 증가하였고 의대 블랙홀 현상도 나타났지만 수시전형으로 해외고 출신이 의과대학에 합격한 사례는 거의 없기 때문에 우리 교민 자녀들이나 뉴질랜드에서 고등학교를 다니는 유학생들에겐 별로 와 닿지 않는 게 현실이다.


필자가 과거 2010년부터 15년여간 한국대학입시를 해보면서 느끼는 변화는 점점 더 고등학교 3년의 교과와 비교과활동의 비중이 전형요소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경향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지만 뉴질랜드 고등학교는 10년전이나 지금이나 성적체계나 리포팅 시스템이 일부 학교를 제외하고는 특별한 변화가 없는 반면, 한국내 고등학교는 대학의 변화를 감지하고 학생부종합전형을 대비한 학생별 준비의 수준이 높아져 왔기 때문에 점점 더 해외출신과 국내고 출신의 생활기록부 수준의 차이가 발생하여 체계적인 준비가 없이는 합격이 어려워진다는 게 필자의 판단이다.


804ff8a00200983c3eda7078e513425f_1734155486_1338.jpg
 


과거 해외고 전성시대가 있긴 했다. 그러나 한국의 대입제도는 부동산 정책만큼 정권이 바뀔 때마다 도마에 올라 입시정책이 변해왔는데 해외고 특별전형은 사라지는 추세로 좁은문으로 변해왔는데 일부 학부모들은 아직도 그때의 로망을 기대하고 있기도 하다.


좀더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보면 교과성적과 비교과활동으로 구분하여 보겠다.


교과성적 관리


1. 고1과 고2 그리고 고3 1학기 성적 모두 중요하다. 간혹 고1 성적은 안 좋은데 고2 성적이 잘 나왔으니 상위권 대학 가능하지 않겠냐고 하는데 물론 여러가지 변수가 있지만 고등학교 2년 반 기간동안 꾸준한 성적을 유지하는 것이 상위권 대학 합격전략으로 중요하다 하겠다.


2. 교내외 수상경력은 모두 제출금지라 성적우수상 등을 제출하려는 학생들은 주의하여야 한다. 문제는 한국대학들은 등급을 원하는데 뉴질랜드 학교들은 극소수의 학교를 제외하고는 석차나 등급표시를 안 하기 때문에 이 부분의 우수성을 어떻게 표현하느냐가 관건이다. 


3. 정규교과과정 외에 표준화학력 시험은 극히 사용이 제한되므로 본인의 내신 성적과 연동하여 전략을 펼쳐야 한다. 연세대 등 아주 극소수대학과 과학기술원을 제외하고는 공인표준화학력시험 성적 제출이 불가하거나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 내신성적이 최상위권이지 않는 한 공부시간 뺏기고 레슨비 많이 들고 도움이 안된다.


4. NCEA, CIE, IB Diploma 세가지 중 어떤 교과과정을 하더라도 영어 Main Stream과목을 끝까지 포기하지 말고 선택하여 가져가야 한다. 이는 한국에서 고3 국어를 안하고 명문대학 가기를 기대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비교과활동


1. 마찬가지로 고2과 고2 그리고 고3 1학기까지 골고루 다양하고 전공적합성이 보여지는 활동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부분 활동은 학기초에 공지가 뜨고 선착순 마감이라 고1때부터 미리 활동목록을 작성하여 놓고 부지런히 신청하여야 한다.


2. 탐구활동, 자율활동, 진로활동으로 구분하여 골고루 매년 2개 이상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전략이 중요하다. 대표적으로 Book Club, Amnesty, Coding Club, Debating, Culture Club 등 학교별로 다양한데 전공 적합성을 생각하며 활동하면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3. 가급적 고등학교에서 주관하고 재학 중 봉사활동을 매년 2개 이상은 하도록 하자. 대표적으로 School Librarian, Tutoring, UNICEF, World Vision 등등이 있다


이렇게 교과성적과 비교과활동을 고등학교 2년반 동안 잘 준비해야 Best Scenario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간혹 고3 학생과 부모님이 13학년에 와서 고1 성적은 안좋은데 고2 성적은 좋으니 어떻게 안될까요? 라면서 찾아오시는데 안될 것은 없지만 지원과 합격대학의 수준이 3년을 잘 준비한 학생에 비하여 경쟁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리고 지원할 전공을 고집하는 학생과 학부모가 있는데 요즘 한국대학들은 대부분 복수 전공을 허용하므로 본인 하고 싶은 전공이 최고 인기학과이면 가급적 전공적합성을 살리면서 비인기학과가 가능하다면 또 하나의 합격 비결이 될 수 있다.


종합적으로 판단하자면 대부분 학생부종합전형은 해외고 지원가능하고 수능최저학력 기준을 적용하지 않기 때문에 얼핏 보면 해외고 출신 학생들에게 문호가 넓어진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공인영어 고득점 성적이나 표준화학력시험 고득점성적으로 대학을 갈 수 있던 시절보다는 확실히 어려워지고 준비할 게 많아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외고 전형이 따로 있거나 해외고 출신을 선호하는 대학과 전공을 잘 선별하여 그에 맞는 전략으로 준비하고 지원한다면 답이 없는 것은 아니다.


‘대학입시 준비’ 오늘 준비하면 안 늦는다.


한국대학 수시전형 이렇게 준비하자

댓글 0 | 조회 355 | 2025.07.15
2024년도는 한국대학 입시가 힘든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2025학년도 대학입시에서 2024학년도 기준 전국 30개 의과대학 3천명 모집정원에서 추가로 2천명 … 더보기
Now

현재 한국대학입시 재조명

댓글 0 | 조회 1,313 | 2024.12.14
2025학년도 수시전형 최초합격자 발표가 지난 금요일 마감되었고 우리엔젯 학생들도 연세대학교와 유니스트 등 명문대학들에 최초합격자들이 나왔다.물론 추가합격자 발표… 더보기

이런 고등학교는 피하세요

댓글 0 | 조회 2,280 | 2024.11.29
필자가 뉴질랜드에 처음 이민 왔을 1990년대 초만해도 오클랜드 대학의 세계랭킹이 50위권 이내였고 한국은 세계 랭킹 100위권 이내에 드는 대학이 아예 없을 정… 더보기

한국의대 입시 어디로 갈 것인가? 파트 2

댓글 0 | 조회 626 | 2024.11.13
11월 14일 2025학년도 수능시험이 치러지고 수시전형은 11월 현재 진행중이며 내년 1월 정시전형을 앞두고 있다.2025학년도는 그 어느때보다도 많은 변화가 … 더보기

한국의대 입시 어디로 갈 것인가? 파트1

댓글 0 | 조회 791 | 2024.10.31
대한민국은 4대 개혁 의료개혁, 연금개혁, 노동개혁 그리고 교육개혁을 추진하고 있다.그 중 의료개혁을 추진하며 2024년 2월 초 20여년동안 정원 변화 없이 한… 더보기

THE World University Ranking 2025

댓글 0 | 조회 1,743 | 2024.10.10
영국의 권위 있는 세계대학 평가기관 Times Higher Education (일명 THE)에서 매년 세계대학 랭킹을 발표하고 있다. THE는 18가지의 평가지표… 더보기

new NCEA 분석과 대책

댓글 0 | 조회 1,089 | 2024.09.25
뉴질랜드 고등학교 학력제도인 현 NCEA (National Certificate of Educational Achievement)는 2002년 NCEA Level… 더보기

뉴질랜드 의대 진학 A to Z

댓글 0 | 조회 1,309 | 2024.08.23
지난 주 오클랜드 대학교는 Biomedical Science와 Health Science 학생들을 대상으로 MMI 인터뷰에 대한 초청 레터를 발송하였다. 많은 학… 더보기

뉴질랜드 의대 진학 A to Z

댓글 0 | 조회 1,944 | 2024.07.16
뉴질랜드는 두개의 의과대학이 있는데 오클랜드 대학교와 오타고 대학교는 의약계열(Clinical Programme) 입시를 위해 GPA, UCAT, MMI 3가지 … 더보기

뉴질랜드 의대 진학 A to Z

댓글 0 | 조회 2,690 | 2024.06.27
이번 칼럼부터는 뉴질랜드 의대 특집으로 연재하여 보고자 한다.의대 열풍이 전 세계적으로 심상치 않은 요즘, 뉴질랜드도 예외가 아니다. 또한 전문직에 대한 직업 안… 더보기

'2025 한국대학 입시 분석 및 대응 전략'

댓글 0 | 조회 1,123 | 2024.06.07
드디어 한국대학들이 각 대학별로 2025학년도 특별전형과 수시모집요강을 5월 말과 6월초에 발표 하였다. 사실 특별전형은 7월 접수이기 때문에 대부분 4월이면 발… 더보기

2024학년도 한국대학 입시 분석 결과 리뷰

댓글 0 | 조회 1,406 | 2024.03.28
2024학번 수험생들은 2020년부터 약 3년 여간 전세계를 강타한 코로나 판데믹을 거치며 고등학교 3년 대부분을 보냈던 코로나 마지막 세대이기도 하다. 극단적으… 더보기

한국의대 2천명 증원 찬스 100% 활용하기

댓글 0 | 조회 1,411 | 2024.03.05
윤석렬정부가 강한 드라이브로 20여 년 동안 동결 되었던 한국의대 정원을 2025학년도부터 매년 2천명씩 증원하여 향후 5년간 1만 명을 추가로 모집인원을 늘린다… 더보기

'2024 학년도 한국대학 입시 결과'

댓글 0 | 조회 2,904 | 2024.01.04
세계보건기구 WHO에서 코로나 19 비상사태를 선언한지 3년 4개월만인 2023년 5월 초 ‘국제공중보건위기상황’해제를 발표했다. New Normal 시대에 접어… 더보기

대학 선택이 평생을 좌우한다?

댓글 0 | 조회 2,304 | 2023.10.26
꽤 유명했던 가전제품 광고카피 ‘순간의 선택이 10년을 좌우한다’ 가 생각난다이 광고가 나오던 1970~80년대는 한국전 후 산업화가 되면서 섬유업 다음으로 전기… 더보기

2028 대입개편 시안은 해외고 출신에게 유리할까?

댓글 0 | 조회 1,813 | 2023.10.11
2023년 10월 10일 교육부에서는 대입제도는 미래인재 양성에 기인하면서, 학생-학부모-고교-대학모두 예측 가능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더보기

이상적인 고등학교 성적평가 제도

댓글 0 | 조회 1,892 | 2023.09.20
▲ 자료 R고등학교 프레젠테이션뉴질랜드 일부 고등학교들이 새로이 바뀌는 new NCEA 프로그램을 대신하여 11학년 과정을 대체하는 학교 자체 프로그램들을 운영하… 더보기

한국대학 입시 15년 분석

댓글 0 | 조회 1,476 | 2022.09.22
2008학년도부터 교민 1.5세 들이 뉴질랜드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한국대학에 입학하기 시작한지 어언 15년이 되어 간다.필자는 매년 외국인전형, 재외국민전형,… 더보기

확 바뀐 학생부 종합전형

댓글 0 | 조회 2,050 | 2021.09.23
한국대학입시에서 수시전형에 학생부 종합전형(이하 ‘학종’으로 표기)을 도입한지 언 10년이 다 되어 간다. 국내고 생들이야 고등학교에서 기록하여 주는 생활기록부(… 더보기

한국대학 2022 의대 약대 수시전형 지원하기

댓글 0 | 조회 3,565 | 2021.04.07
이번 칼럼에서는 해외고를 졸업하는 학생들이 수시최저 기준 없이 지원 가능한 의과대학과 약학대학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필자는 과거에도 여러 차례 의대 지원 관련… 더보기

12년 연속 서울대 합격생 배출의 비결 1편

댓글 0 | 조회 2,951 | 2021.01.08
2010학년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 합격생을 배출한 이래 2021학년도까지 지난 12년 동안 매년 적게는 한 명에서 많게는 3명까지 글로벌인재전형과 수시전형 학부… 더보기

의료계열 대학입학의 문호가 활짝 열린다

댓글 0 | 조회 3,594 | 2020.10.12
2021학년도 한국대학입시는 코로나 여파로 많은 변화가 있었고 아마도 앞으로 2년 가량은 대학입시에도 계속적으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예를 들어 비대면 면접… 더보기

'COVID19 과 2021 한국대학 수시전형'

댓글 0 | 조회 1,921 | 2020.09.20
이번 칼럼에서는 COVID19가 2021학년도 한국대학 수시전형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고 외국에서 고등학교를 다니면서 수시전형을 지원하는 학생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 더보기

'COVID19 과 한국대학 재외국민 전형 '

댓글 0 | 조회 2,370 | 2020.09.02
지난 칼럼에 이어 이번에는 3년 재외전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초중고전과정해외이수자전형(이하 ‘12년전형’으로 표기)과 3년 재외국민전형(이하 ‘3년전형’으… 더보기

“코로나19 상황에서 2021학년도 대학 입시를 겪고 준비하며”

댓글 0 | 조회 2,603 | 2020.08.22
2020년 7월 중순 오클랜드, 크라으스트쳐,치 타우랑가, 헤밀턴 그리고 호주와 일본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의 2021학년도 초중고전과정 이수자를 포함한 재외국민 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