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의대 진학 A to Z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김도형
강승민
크리스틴 강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골프&인생
이경자
Kevin Kim
정윤성
웬트워스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김준
박기태
Timothy Cho
EduExperts
이주연
심혜원
들 풀

뉴질랜드 의대 진학 A to Z

0 개 1,944 최 성길

0f5065c3bf17507e236f9423c134ce00_1721091664_2466.jpg
 


뉴질랜드는 두개의 의과대학이 있는데 오클랜드 대학교와 오타고 대학교는 의약계열(Clinical Programme) 입시를 위해 GPA, UCAT, MMI 3가지 요소를 통해 철저한 평가를 실시한다. 


우리가 흔히 GPA라고 부르는 학교 성적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대학교 1학년에 Biomedical Science 또는 Health Science에 입학하여 필수 과목뿐만 아니라 교양 과목 등을 이수해야 하며 그중 핵심 과목의 성적들을 평가하여 2년차에 의대 진입할 학생을 선발한다. 



또한 의대 입시를 위해서는 UCAT이라는 의대 적성시험을 준비해야 한다. UCAT은 ‘The University Clinical Aptitude Test’의 약자이다. 말 그대로 의료계 적성 고사인 것이다. UCAT은 의학 분야 종사자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자질 및 적성 등 다양한 역량을 테스트함으로써 적합한 지원자를 선발하기 위한 시험이다. 


컴퓨터 기반의 시험으로 2시간동안 온라인 시험을 보게 된다. 또한 UCAT은 1년에 1번 지원할 수 있으며 그 성적 또한 1년간 유효하다. 따라서 의대 입시를 위해서는 입시 당해 연도에 반드시 UCAT 시험을 치러야 한다. 가뜩이나 많은 시험에 시달리게 되는 대학교 1학년 의대 입시 중간에 UCAT 시험까지 반드시 치러야 하는 부담감이 있을 수밖에 없다. 이렇듯 의대 입시를 치르는 Biomedical Science, Health Science 과정은 정말 1년 내내 바쁘고 힘든 과정이라고 할 수 있겠다. 


UCAT 시험은 총 5가지 Section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사의 자질을 다각도로 평가하는 시험인 만큼 5가지 Section을 통해 자세한 평가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첫 번째 Section은 Verbal Reasoning (언어 추리 능력)이다. 이 섹션은 작성된 정보를 바탕으로 비판적 시각을 유지하고 정확한 판단을 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두 번째 Section은 Decision Making (의사 결정 능력)이다. 복잡한 정보를 통해 올바른 결정과 판단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Section이다. 차트나 그래프 등이 포함된 문제가 출제되며 각 영역의 다양한 방식의 정보를 통해 올바른 결론에 도달하고 더 나아가 올바른 답을 도출할 수 있는가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진다. 문제 해결 능력의 평가라고 할 수 있다. 


세 번째 Section은 Quantitative Reasoning (양적 추론 능력)이다. 비판적 사고를 유지하면서 숫자로 이루어진 정보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수학적 능력의 평가라고 할 수 있겠다. 


네 번째 Section은 Abstract Reasoning (요약 추론 능력)이다. 정보를 통해 관계를 추론하고 집중, 분산적 사고의 활용 능력을 평가한다. 다양한 모형이 주어지고 그에 따른 예측, 전략, 선택을 하는 문제들이 출제되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공간 지각을 통한 능력을 확인하는 파트라고 할 수 있겠다. 


 


마지막 Section은 Situational Judgement (상황 판단 능력)이다. 실제 상황을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결정 요소 및 적절한 행동을 식별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시나리오가 주어지고 그에 따른 적절성과 중요성에 대한 판단을 하는 문제들이 출제된다. 의사로서의 전문성과 적합성을 판단하는 평가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UCAT 시험은 각 분야별로 다양하게 의료분야 종사자로서의 자질과 적성을 평가하게 된다.

또한 주어진 시간 내에 많은 문제를 풀어내야 하는 압박감으로 시간이 부족하다는 후기가 많은 만큼 사전에 철저하게 준비하지 않으면 고득점을 받기 어려운 형태의 시험이라고 할 수 있겠다. 


뉴질랜드와 호주 의대 입시에서 UCAT 점수는 대부분의 대학교에서 요구하는 필수 요소이다. 따라서 의대를 준비하는 학생이라면 UCAT은 반드시 거쳐야 하는 관문이 된 셈이다. 게다가 입시 당해 연도 시험을 반드시 치러야 하는 부담감이 있는 시험이므로 의대를 준비하고 싶은 학생이라면 입시 1~2년 전부터 꾸준하게 준비를 미리 해두는 것이 좋은 점수를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다. 


UCAT의 구성과 특성을 이해했다면 이제 실제적인 준비가 필요하다. 뉴질랜드와 호주의 의대를 도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UCAT 시험을 준비해야 하고 고득점을 받아야 합격에 가까워질 수 있다. 따라서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없다. 


GPA처럼 미리 공부하지 않고 운과 기본 실력에 맡기는 시험처럼 생각했다가 낭패를 본 사례를 그동안 자주 볼 수 있었다. UCAT은 운에 맡기는 시험이 아니다. 또한 준비 없이 기본 실력 만으로 보는 시험도 아니라는 것이다. 미리미리 준비하고 많은 문제를 접해 본 학생들이 분명히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 과목이라고 할 수 있겠다. 


많은 소스들을 접해보고 제대로 된 학습이 이루어진 후 본인의 노력을 충분히 다 할 수만 있다면 너무 겁을 먹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제대로 된 학습 없이 문제풀이만 반복된다면 실력 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운 과목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제대로 된 접근이 필요한 과목이라고 할 수 있겠다. 대부분 학생들이 스스로 공부해도 점수가 오르지 않는다고 말하는 부분이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제대로 된 Section 별 분석과 파악이 먼저 이루어져야 고득점 확률이 높아진다. 


컴퓨터 기반으로 2시간 동안 치러지는 시험인 만큼 컴퓨터 문제 풀이에 적응하는 연습이 필요하고 특히 컴퓨터 계산기 사용에 익숙해지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또한 절대적으로 시간이 모자라는 시험인 만큼 최대한 주어진 시간 안에 효율적으로 정답을 찾는 연습이 동반되어야 한다. 게다가 5가지 Section으로 구성되어 있고 Section마다 요구하는 특성이 다른 만큼 각 Section의 문제형식을 분명하게 파악하여 정답을 찾아낼 수 있도록 Section 별로 철저한 전략을 세우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UCAT 시험은 벼락치기로 준비될 수 있는 성향의 시험이 아닌 만큼 시간적 여유를 두고 꾸준히 지속적으로 준비를 해 나가는 것이 준비 방법의 핵심이다. 대부분 Year13이 끝나고 UCAT 문의를 하는 경우가 많은 만큼 스케줄상 안타까운 사례들이 많았다. 뉴질랜드 의대 입시는 대학교 1학년에 치러지는 만큼 Year13 끝나고 준비를 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앞서 여러 번 언급한 대로 GPA, UCAT, MMI를 완벽하게 준비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촉박할 수밖에 없다. 또한 아무 준비 없이 1학년에 진학해서 그때부터 이 모든 입시를 치러야 하는 상황이라면 더욱 압박이 심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의대 입시는 계속 언급했듯이 철저한 스케줄링과 전략이 뒷받침되어야 성공할 수 있는 것이다.  UCAT의 경우 당해 연도 성적만 반영하므로 반드시 입시를 치르는 해에 응시해야 하는 시험이기 때문에 준비 없이 입시를 시작한다는 것은 합격과 점점 멀어질 수밖에 없는 일이라고 할 수 있겠다. 


우리엔젯컨설팅 바로가기


사진: 무료 사진 다운로드 사이트 pixabay.com에서 발췌.

한국대학 수시전형 이렇게 준비하자

댓글 0 | 조회 357 | 2025.07.15
2024년도는 한국대학 입시가 힘든 … 더보기

한국대학입시 재조명

댓글 0 | 조회 1,316 | 2024.12.14
2025학년도 수시전형 최초합격자 발… 더보기

이런 고등학교는 피하세요

댓글 0 | 조회 2,281 | 2024.11.29
필자가 뉴질랜드에 처음 이민 왔을 1… 더보기

한국의대 입시 어디로 갈 것인가? 파트 2

댓글 0 | 조회 626 | 2024.11.13
11월 14일 2025학년도 수능시험… 더보기

한국의대 입시 어디로 갈 것인가? 파트1

댓글 0 | 조회 792 | 2024.10.31
대한민국은 4대 개혁 의료개혁, 연금… 더보기

THE World University Ranking 2025

댓글 0 | 조회 1,745 | 2024.10.10
영국의 권위 있는 세계대학 평가기관 … 더보기

new NCEA 분석과 대책

댓글 0 | 조회 1,090 | 2024.09.25
뉴질랜드 고등학교 학력제도인 현 NC… 더보기

뉴질랜드 의대 진학 A to Z

댓글 0 | 조회 1,312 | 2024.08.23
지난 주 오클랜드 대학교는 Biome… 더보기
Now

현재 뉴질랜드 의대 진학 A to Z

댓글 0 | 조회 1,945 | 2024.07.16
뉴질랜드는 두개의 의과대학이 있는데 … 더보기

뉴질랜드 의대 진학 A to Z

댓글 0 | 조회 2,694 | 2024.06.27
이번 칼럼부터는 뉴질랜드 의대 특집으… 더보기

'2025 한국대학 입시 분석 및 대응 전략'

댓글 0 | 조회 1,123 | 2024.06.07
드디어 한국대학들이 각 대학별로 20… 더보기

2024학년도 한국대학 입시 분석 결과 리뷰

댓글 0 | 조회 1,408 | 2024.03.28
2024학번 수험생들은 2020년부터… 더보기

한국의대 2천명 증원 찬스 100% 활용하기

댓글 0 | 조회 1,412 | 2024.03.05
윤석렬정부가 강한 드라이브로 20여 … 더보기

'2024 학년도 한국대학 입시 결과'

댓글 0 | 조회 2,904 | 2024.01.04
세계보건기구 WHO에서 코로나 19 … 더보기

대학 선택이 평생을 좌우한다?

댓글 0 | 조회 2,305 | 2023.10.26
꽤 유명했던 가전제품 광고카피 ‘순간… 더보기

2028 대입개편 시안은 해외고 출신에게 유리할까?

댓글 0 | 조회 1,816 | 2023.10.11
2023년 10월 10일 교육부에서는… 더보기

이상적인 고등학교 성적평가 제도

댓글 0 | 조회 1,893 | 2023.09.20
▲ 자료 R고등학교 프레젠테이션뉴질랜… 더보기

한국대학 입시 15년 분석

댓글 0 | 조회 1,477 | 2022.09.22
2008학년도부터 교민 1.5세 들이… 더보기

확 바뀐 학생부 종합전형

댓글 0 | 조회 2,051 | 2021.09.23
한국대학입시에서 수시전형에 학생부 종… 더보기

한국대학 2022 의대 약대 수시전형 지원하기

댓글 0 | 조회 3,568 | 2021.04.07
이번 칼럼에서는 해외고를 졸업하는 학… 더보기

12년 연속 서울대 합격생 배출의 비결 1편

댓글 0 | 조회 2,953 | 2021.01.08
2010학년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 … 더보기

의료계열 대학입학의 문호가 활짝 열린다

댓글 0 | 조회 3,594 | 2020.10.12
2021학년도 한국대학입시는 코로나 … 더보기

'COVID19 과 2021 한국대학 수시전형'

댓글 0 | 조회 1,923 | 2020.09.20
이번 칼럼에서는 COVID19가 20… 더보기

'COVID19 과 한국대학 재외국민 전형 '

댓글 0 | 조회 2,370 | 2020.09.02
지난 칼럼에 이어 이번에는 3년 재외… 더보기

“코로나19 상황에서 2021학년도 대학 입시를 겪고 준비하며”

댓글 0 | 조회 2,603 | 2020.08.22
2020년 7월 중순 오클랜드, 크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