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카트라즈 교도소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한일수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성태용
명사칼럼
조기조
김성국
템플스테이
최성길
김도형
강승민
크리스틴 강
정동희
마이클 킴
에이다
골프&인생
이경자
Kevin Kim
정윤성
웬트워스
멜리사 리
Jessica Phuang
휴람
김준
박기태
Timothy Cho
EduExperts
이주연
심혜원
들 풀

알카트라즈 교도소

0 개 418 한일수

북태평양을 항해하면서 샌프란시스코를 향해 진입하다보면 금문교(Golden Gate) 밑을 통과하게 된다. 그러고 나서 바로 샌프란시스코 만으로 들어오게 되는데 만 입구에 보이는 바위섬이 넓이 22에이커(축구장 12개 크기)의 알카트라즈(Alcartraz)이다. 이 섬이 유명해지게 된 계기는 샌프란시스코의 랜드 마크(Land Mark)로서 등대가 있어 뱃길을 인도하는 외에 미국 연방정부에서 운영하는 교도소가 있었기 때문이다. 재소자의 권리보장 및 후생복지와 생존 보장이 최악이었고 탈출이 불가능한 교도소로 유명하다. 미국에서도 가장 흉악범을 수용하였으며 1920년대 미국 정부가 금주령을 내렸을 때 마피아의 대부, 밤의 황제 알 카포네(Al Capone)가 수용되었던 곳으로 유명하다. 통칭 ‘더 록(The Rock)’라고도 불리는데 영화 ‘(The Rock)’에 소개되어 널리 알려졌다.


안익태 선생이 1930년대 초 이 교도소에 하루 동안 수감된 일화가 있다. 미국 유학을 위해 여객선 ‘프레지던트 제퍼슨 호’를 타고 갈 때 선상에서 첼로 독주회를 열어 승객들에게 감동을 주었고, 매주 일요일 선상 예배에서 연주하게 되었다. 그러나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한 후, 세관에서 첼로 소독 문제로 실랑이가 벌어졌고, 세관측은 업무 방해죄로 안 선생을 알카트라즈 교도소에 수감한 것이다. 다행히 안선생의 음악적 재능을 알아본 간수의 도움으로 감방에서 독주회를 열게 되었으며 감동을 받은 간수 리처드잭슨의 배려로  하루 만에 석방된 것이다.     


탈옥이 절대 불가능하다는 교도소임에도 실제로는 총 14차례의 탈옥 기록이 있고 탈옥수 중 5명은 지금까지 행방이 밝혀지지 않았다고 한다. 이 섬은 샌프란시스코 앞 바다가 백 상어를 비롯한 여러 상어들이 우글거리는 곳이고 수십 미터의 절벽인데다 섬에서 빠져나온다 해도 주변의 빠른 조류나 수온 등으로 인해서 탈출이 힘든 요새임에도 그렇다. 재소자들이 머무는 방의 창문이 시내가 훤히 보이는 곳에 있어 불야성을 이루는 샌프란시스코를 바라보면서 재소자들은 신세 한탄을 하였을 것이다. 감옥 속의 가혹한 환경과 2Km 떨어진 금방 헤엄쳐 다다를 수 있을 것 같은 바깥 세계의 화려함이 대비되어 굉장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것이다. 이는 재소자들에겐 희망고문이다. 바로 코앞에 샌프란시스코가 보이는데 붙잡을 수 없는 희망을 바라보며 심적 고통을 더욱 느꼈을 것이다.    


1800년대부터 골드러시로 서부로의 이주민이 증가하자 연방 정부는 이 섬에 미국 육군이 주둔할 군사기지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 섬은 샌프란시스코가 한 눈에 보이는 최적의 장소였기 때문이다. 알카트라즈는 남북전쟁 때까지 샌프란시스코를 지키는 연방 육군 기지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 후 군 수용소로서의 기능을 추가하게 되었고 점차 교도소의 형태를 갖추게 되면서 1934년에 연방교도소를 설립하게 되었다. 그러나 처벌보다 교화가 중요하다는 인권운동가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재소자 당 다른 감옥의 2.5-3배에 달하는 유지비를 감당할 수 없어 1963년에 폐쇄하고 말았다.       


알카트라즈가 방치되면서 사람들에게 잊혀져갔으나 1969년에 원주민 대학생들이 이 섬을 점거하고 이를 인디언 해방구로 지적하여 19개월 동안 인디언 공동체를 유지했다. 이 사건은 원주민 공동체에 독립 운동의 싹을 틔우게 되었고 한 때 이 인디언 공동체는 5개 부족 600여 명이 넘는 거대 공동체로 성장하기도 했으나 1972년에 해체되었다. 그 후 정부는 알카트라즈를 국립공원으로 지정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알카트라즈를 방문하기위해선 샌프란시스코 33번 부두에서 투어 형태로 유람선을 이용하며 표 한 번 구입으로 왕복 이용하게 된다. 알카트라즈 부두에 도착하면 도보로 섬 일대를 돌아보게 된다. 수용소 주변의 부속 건물을 돌아 꼭대기에 이르면 셀 하우스(Cell House)라고 부르는 감옥 건물에 도착한다. 감옥은 흉악범을 수용했던 만큼 전부 독방이며 말썽을 일으키는 죄수는 햇빛이 전혀 들지 않는 교정 교방에 수감되었다. 사람들은 알 카포네가 감금되었던 방에 관심이 많으며 알카트라즈를 탈주했던 3인의 방에는 탈출을 위해 파냈던 벽의 구멍이 지금도 남아 있다.        


알카트라즈를 견학하면서 인간 사회의 삶과 죄, 진정한 교화(矯化)의 방도는 어떤 것인지에 대한 의문을 지울 수가 없게 된다. 인간 사회에는 가난, 차별, 교육 부족, 가정 문제 등 개인의 선택 이전에 영향을 주는 환경들이 많다. 삶이 너무 힘들면 유일한 탈출구로 범죄를 일으킬 수도 있다. 또한 분노, 상처, 정신질환 등 개인의 심리적 요인이 작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범죄는 나쁜 사람의 행동이라기보다 복합적인 요인의 결과라고 보는 것이다. 여기에 시대나 문화에 따라 옳고 그름의 기준이 다르기도 한다. 즉 어떤 대상에겐 정당하다고 느끼는 행동이 사회 전체적으로는 해로울 수가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교도소는 필요한 제도 인가? 교도소를 돌아보면서 인간사회의 실상을 반추해 본다. 누군가는 감옥 안에서 삶의 새로운 의미를 찾고 나머지 인생을 선한 일을 하며 살아간다. 어떤 이는 반복해서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도 있고, 감옥이 오히려 범죄의 온상이 되는 경우도 있다. 결국 벌을 주는 것만으로는 교화가 어렵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기독교에서는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원죄를 지니고 있으며 오로지 신의 은총으로 구원을 받을 수 있다고 교화한다. 반면 불교에서는 인간은 탐(貪, 욕심), 진(瞋, 분노), 치(癡, 어리석음)라는 번뇌에 휘둘려 고통을 받는다고 본다. 그러므로 마음을 다스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교화한다. 현대 심리학에서는 인간은 선과 악을 모두 가진 복합적인 존재로 본다. 환경, 경험, 교육, 유전 등이 사람을 형성하며, 절대적으로 선하거나 악한 본성은 없다고 한다. 결국 우리 개인은 인간 사회의 어두운 그림자를 보는 것만으로 끝날게 아니라 각자가 추구해야할 진정한 가치에 대한 고찰을 통해 선한 길로 나아갈 필요가 있는 것이다.

아리랑 가락이 뉴질랜드 하늘 아래서

댓글 0 | 조회 440 | 2025.08.13
뉴질랜드에 합창이 도입된 것은 19세기에 이르러서 이고 초창기에는 백인 위주의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한국에서는 20세기가 되어서야 합창단이 태동하기 시작했으… 더보기

걸어야 산다, 살려거든 걸어라

댓글 0 | 조회 529 | 2025.07.09
걷기는 단순한 운동이 아니라 자연과 조화롭게 살아가는 인류의 생존방식의 생태학적 행동이다. 모든 생물체는 자연 속에서 태어나고 한평생을 자연과 함께 지내다가 다시… 더보기

현재 알카트라즈 교도소

댓글 0 | 조회 419 | 2025.06.10
북태평양을 항해하면서 샌프란시스코를 향해 진입하다보면 금문교(Golden Gate) 밑을 통과하게 된다. 그러고 나서 바로 샌프란시스코 만으로 들어오게 되는데 만… 더보기

요세미티(Yosemite) 국립공원

댓글 0 | 조회 604 | 2025.05.14
미국 캘리포니아주를 여행하는 사람은 대개 요세미티 공원을 방문하게 된다. 인류가 요세미티를 처음 방문한 기록은 8000년-1만 년 전 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더보기

IT가 세상을 바꾼다

댓글 0 | 조회 449 | 2025.04.08
40여 년 전 미국을 처음 방문한 이래 20세기 중 몇 차례 방문한 일이 있지만 21세기 들어 25년 만에 개별 방문 차원에서 미국의 샌프란시스코를 돌아보고 몇 … 더보기

이 기(氣)가 막힐 현실을 어찌하오리까?

댓글 0 | 조회 578 | 2025.03.11
설날이 지난 어느 날 서울에 있는 딸하고 통화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단순한 인사말로 시작했으나 작년에 세계적인 뉴스거리가 되었던 한 강 작가가 생각나서 비꼬듯 한… 더보기

뉴질랜드 설맞이

댓글 0 | 조회 527 | 2025.02.11
낯선 나라에 이주해 정착하는 과정에서 이주민은 새로운 문화와 부딪히게 되고 문화적인 충격을 겪게도 된다. 이러한 문화적인 충격을 흡수하고 자기의 정체성을 유지하면… 더보기

한 번 뿐인 인생, 두 세상 살아가기

댓글 0 | 조회 925 | 2025.01.15
지나간 과거는 두 번 다시 찾아오지 않는다. 그리고 우리는 언젠가 죽을 수 밖에 없는 운명에 처해 있다. 우리는 지나간 과거를 후회해도 소용없고 지나간 과거에 사… 더보기

선택과 집중

댓글 0 | 조회 521 | 2024.12.04
“인생은 연속되는 선택의 과정이자 그 결정의 총 집합이다”라고 레프 톨스토이(Lev Tolstoy, 1828-1910)는 말했다. 우리는 생애 중 끊임없는 크고 … 더보기

배고픈 건 참아도 배 아픈 건 못 참는다

댓글 0 | 조회 726 | 2024.11.06
고등학교 때의 일이다. 조회 시간에 교장선생님 훈화 중 “4촌이 논을 사면 배가 아프다”에 대한 내용이 생각난다. 4촌이 논을 사면 기뻐할 일인데 왜 배가 아파야… 더보기

21세기 문명의 몰락

댓글 0 | 조회 732 | 2024.10.08
벌써 17년 전의 일이지만 2008년 베이징에서 치러진 하계 올림픽 때의 기억이다. 올림픽 개막식은 가장 장엄하고 규모가 크고 호화찬란했으며 만 오천 명에 이르는… 더보기

뉴질랜드 아리랑

댓글 0 | 조회 1,118 | 2024.09.11
한민족에게는 ‘아리랑’이 있고 뉴질랜드인에게는 ‘포카레카레 아나’가 있다. 한국의 대표적인 민요인 아리랑은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한민족의 정서 속에 녹아내려 민중… 더보기

다문화적 하모니

댓글 0 | 조회 694 | 2024.08.14
뉴질랜드는 19세기 초부터 유럽인들이 드나들기 시작했고 와이탕이 조약으로 1840년에 영국의 식민지로 나라가 형성된 200년이 채 못 된 신생국가이다. 또한 같은… 더보기

클레오파트라 – 마녀인가? 미녀인가?

댓글 0 | 조회 740 | 2024.07.09
“클레오파트라의 코가 조금만 낮았더라면 역사가 바뀌었을 것이다.” 인간의 불완전성과 모순성, 그 위대함과 비참함을 독특한 문체로 표출한 파스칼(Blaise Pas…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행복 찾기

댓글 0 | 조회 1,493 | 2024.06.12
우리는 보다 행복한 삶을 향해서 한 반도의 반대편인 뉴질랜드에까지 이주하여 새로운 삶을 개척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그렇다면 우리의 삶은 초심(初心)을 잃지 않고… 더보기

선거와 이미지

댓글 0 | 조회 900 | 2024.05.15
“정치는 국민의 마음을 읽는 예술이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그렇게 볼 때 지난 4월10일 한국의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은 58%의 국민 속에 자리를 잡았고 … 더보기

마이너스 인생 살아가기

댓글 0 | 조회 1,592 | 2024.04.09
개념적으로 마이너스 인생이라고 하면 경제적으로 적자만 기록한 인생, 빚진 인생, 목표한 바를 이루지 못하고 헛되이 보낸 인생 등으로 이해하기 쉽다. 그러나 여기서… 더보기

고독을 사랑하는 남자

댓글 0 | 조회 901 | 2024.03.12
반대편에 위치한 뉴질랜드로 이주해 살면서 흔히 부딪히는 말이 ‘고독’ 과 ‘외로움’이 아닐까 생각되는데 두 단어의 의미가 비슷하면서도 틀린 것 같아 망설이게 된다… 더보기

씨줄과 날줄

댓글 0 | 조회 1,265 | 2024.02.13
한국에 있을 때 읽었던 한 인용문을 떠올려본다. “하느님이 인간들을 천국으로 인도하려고 모든 사람들에게 실오라기 하나씩을 내려 보냈다. 사람들은 각자 실오라기를 … 더보기

청용(靑龍)의 해에 용꿈을 꾸세요

댓글 0 | 조회 1,008 | 2024.01.16
우리 한민족의 삶 속에는 언제든지 용이 있다. 용은 상상속의 동물이나 못이나 강, 바다와 같은 물속에서 살며, 비나 바람을 일으키거나 몰고 다닌다고 여겨져 왔다.… 더보기

유아의 기억력

댓글 0 | 조회 1,209 | 2023.12.13
크리스마스가 다가오자 각종 파티가 연달아 개최되고 있다. 이민 초기부터 키위성당 모임을 통해서 친분을 쌓게 된 키위 한분은 데어리 플랫(Dairy Flat) 지역… 더보기

한글을 사랑해

댓글 0 | 조회 1,043 | 2023.11.14
“일본인들은 4-5세기에 한반도 남해안에 작은 식민지를 가지고 있었다. 1640년대에 한국은 중국 청나라 왕조의 속국이 되었다”라고 외국 교과서에 실려 있다고 한… 더보기

한민족의 미래

댓글 0 | 조회 1,129 | 2023.10.10
한민족은 한반도와 해외 여러 지역에 살면서 한인(Korean)으로서의 공통적 혈통과 문화를 공유(共有)하거나 공유한다고 생각하는 아시아 계 민족으로 정의하고 있다… 더보기

갯벌의 저주(詛呪)

댓글 0 | 조회 1,357 | 2023.09.12
갯벌은 살아 있다. 지구의 허파로 불리는 갯벌의 생태적 가치는 숲의 10배, 농경지의 100배에 달한다고 한다. 육지에서 배출되는 각종 오염물질을 정화해서 바다가… 더보기

멜랑콜리한 겨울 장마철

댓글 0 | 조회 1,543 | 2023.08.09
장마철이 계속되다 보니 대외활동이 제한되고 찾아 갈 곳도 또한 찾아 올 사람도 마땅치 않아 할 일 없이 집에만 있게 되는 날이 많아지게 되는 요즈음이다. 그러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