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장기부족인력군 리스트와 요리학과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新장기부족인력군 리스트와 요리학과

0 개 2,678 정동희
유학후 이민과정의 대표주자인 요리학과를 통한 영주권의 길은 비단, 기술이민(Skilled Migrant Category)만 있지 않습니다.

이민부는 장기부족 인력군 리스트(Long Term Skill Shortage List/LTSSL)를 매년 2번 정도 업데이트하면서 뉴질랜드에 절대적으로 부족한 전문인력을 끌어들이는데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 LTSSL에 명시된 chef의 자격을 갖춘 신청자가 기술이민 카테고리가 아닌 “취업 후 영주권 카테고리(Residence From Work / Work To Residence)”를 통해 영주권으로 가는 길을 다시 한번 조명해 보고자 합니다.  

오는 3월 24일부터 일부 수정되어 시행될 이 리스트에선 14개의 직업이 제외될 예정이지만, 다행히도 Chef는 건재하게 되며 오히려 학력완화가 이루어졌습니다. 

오히려, 완화된 학력 요건 !!

이민.jpg

표에서 보시다시피, 그간은 뉴질랜드 요리학과 레벨 4는 National 과정만 인정받았습니다만, 앞으로는 하나가 더 추가되어 New Zealand Certificate in Cookery 라고 National이라는 단어가 없는 학력조차도 인정 받을 수 있게 되었답니다.

기술이민과의 차이점은?
기술이민의 관건은 단연코 영어와 잡오퍼입니다. 영어는 최소한 전화인터뷰 또는 대면 인터뷰(대개는 근무처로 이민관이 찾아옴)를 통과할 자신과 실력이 있어야 하지만, 적지 않은 분들이 여기서 실패합니다. 하지만, 부족인력군비자/이민은 주신청자에게는 영어조항이 아예 적용되지 않습니다. 
잡오퍼 심사 또한 기술이민보다는 강도가 더 약합니다. 다만, 기술이민과는 달리 영주권 신청 시점에서는 연봉 $45,000(주당 40시간 근무 기준) 이상은 되어야 한다는 필수조항은 있습니다.

뉴질랜드 경력이 필수인가? 
아닙니다. 어디서든 요리사로 최소 5년 이상이면 경력분야의 자격은 갖추신 거지요. 혹시 뉴질랜드 요리사 경력이 최소 몇 년은 필수라고 들으셨다면, “카더라 통신”으로 간주하시길. 한편, 세금신고기록이 없는 한국 경력 때문에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만, 저의 그간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조언 드리는 바, 한마디로 “복불복”이랍니다. 즉, 세금 내지 않은 요리사 경력이라 하더라도 기타 직, 간접적인 증빙자료들로 워크비자는 물론 영주권까지 취득한 분들의 케이스가 저희에겐 많이 있습니다. 

최소 2년은 기다려라?
이 카테고리로 지금 당장 또는 1년 이내로 영주권을 받을 수 있지 않다는 점이 기술이민과의 큰 차이점입니다. 이 카테고리로 워크비자를 받게 되면 30개월이며, 최소 24개월 근무 후에라야 영주권 신청이 가능합니다. 

이 카테고리는 영원한가?
그렇지 않습니다. 이번에도 이 LTSSL에서 14개의 직종이 빠져나가듯, chef가 리스트에서 제외되는 날엔 이 카테고리를 통한 영주권의 길은 닫히게 되지요. 그러므로, “줄 때 받자!!” 입니다. 그러나, 일단 이 카테고리를 통해 워크비자를 받게 되면 그 이후론 이 리스트와는 무관해 지므로 참 다행입니다. 

물론, 빨리 영주권을 취득하는건 누구에게나 로망이겠습니다만, 때론 돌아서 가는 길이 더 빠를 때도 있습니다. 음식도 슬로우푸드가 있듯, 영주권의 길에도 느린 길이 있습니다. 빠름 빠름 빠름을 외치는 세상이지만, 때론 느림의 미학도 필요한 게 우리네 인생사가 아닐까 합니다.

어서 와, 인트림 비자는 처음이지?

댓글 0 | 조회 2,806 | 2019.07.10
인트림 비자(interim visa)… 더보기

학생비자 소지자를 위한 이민부 노트

댓글 0 | 조회 2,802 | 2017.07.25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를 통… 더보기

취업비자 기각사유 베스트 5

댓글 0 | 조회 2,786 | 2012.12.12
오늘은 일반워크비자(Essential… 더보기

심사기간의 두 얼굴과 사라진 비자

댓글 0 | 조회 2,768 | 2019.02.27
“법무사님, 접수 후 3개월 이내에 … 더보기

내 머리 속의 워크비자 수납상자 1호

댓글 0 | 조회 2,764 | 2016.07.27
오래된 이민법무사에게 거는 기본적인 … 더보기

누구 맘대로 직장을 옮길까?

댓글 0 | 조회 2,764 | 2019.12.10
취업비자 또는 워크비자는 말 그대로,… 더보기

순간의 선택이 이민 인생을 좌우한다

댓글 0 | 조회 2,761 | 2015.03.11
하나의 결정이 내려지기까지는 많은 프… 더보기

고교 졸업 예정 유학생들을 위한 영주권 길라잡이

댓글 0 | 조회 2,731 | 2015.07.28
요즘처럼 환율이 좋은 적이 참 오래되… 더보기

新워크비자시대의 新레시피

댓글 0 | 조회 2,697 | 2017.09.12
8월 28일부터 시행하길 원했던 新기… 더보기

이민부가 안내하는 직업 종교인 비자

댓글 0 | 조회 2,683 | 2015.04.29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ww… 더보기

기술이민 의향서 최신 동향과 심사 혁신

댓글 0 | 조회 2,682 | 2014.11.12
예전 일반이민의 전신인 소위 기술이민… 더보기
Now

현재 新장기부족인력군 리스트와 요리학과

댓글 0 | 조회 2,679 | 2014.03.12
유학후 이민과정의 대표주자인 요리학과… 더보기

헨더슨 이민부의 2016년 6월 뉴스레터

댓글 0 | 조회 2,674 | 2016.06.23
뉴질랜드 이민부 브랜치 중 하나인 A… 더보기

파트너쉽 심사의 핵심에 다가서기

댓글 0 | 조회 2,622 | 2019.11.13
파트너쉽을 통한 워크비자와 영주권 취… 더보기

따져보는 기술이민의 영어조항 - 제 3탄

댓글 0 | 조회 2,619 | 2016.06.09
“아, 이제서야 이해가 되네요. 그 … 더보기

한-뉴 FTA 발효와 관련 이민법 변경

댓글 0 | 조회 2,602 | 2015.12.23
한-뉴 양국 정상의 정식 서명, 그리… 더보기

놓치면 후회할 수 있는 1년 완성 요리학과 L5

댓글 0 | 조회 2,565 | 2014.06.25
그간의 통계자료를 참조하자면, 현재 … 더보기

사무직으로 기술이민에 도전하다!!

댓글 0 | 조회 2,564 | 2013.08.28
연간 기술이민(SMC) 카테고리를 통… 더보기

이민법 일반론 즉문즉답

댓글 0 | 조회 2,544 | 2020.10.13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를 통… 더보기

쉬워 보이나 진지해야만 하는 각종 비자 신청서

댓글 0 | 조회 2,535 | 2015.02.24
원하는 것이 있어야 사람은 살아 있는… 더보기

“유학후 이민” 졸업자들이 가는 길

댓글 0 | 조회 2,534 | 2012.11.28
“유학후 영주권/이민 과정… 더보기

질의서, 어디까지 받아 봤니?

댓글 0 | 조회 2,530 | 2019.10.08
20년 넘게, 어쩌면 전 생애의 유일… 더보기

워홀러가 워홀더로 변신하려면?

댓글 0 | 조회 2,528 | 2018.05.22
연간 3,000명의 쿼터가 순식간에 … 더보기

이민부 發 , 장기사업비자 최신정보

댓글 0 | 조회 2,519 | 2013.03.26
이번 호에서는 2013년 3월 13일… 더보기

청춘이민을 선도하는 FTA 타결

댓글 0 | 조회 2,518 | 2014.12.10
2014년마저 아무런 호재없이 그냥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