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관계 유지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좋은 관계 유지

0 개 1,440 새움터
좋은 관계를 맺는 것이 우리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대단히 중요하다. 좋은 관계는 우리의 정신을 건강하게 하지만 관계가 깨어 지면 몸과 마음이 병든다. 또한 관계가 깨어 지는 경험이 두렵기 때문에 그 누구에게도 마음을 열기가 힘들어 진다. 좁디 좁은 한인 사회 안에서 마음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사람이 없어진다. 한국에 우리의 친지를 두고 타국으로 이민 온 한인들은 인맥이 거의 없다. 그래서 새로운 관계를 찾아야 하는 큰 관문을 지나가고 있다.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한인 공동체를 꿈꾸며 관계유지의 기본을 살펴본다. 
 
● 먼저 나를 먼저 편안하게 한다.
내가 편안할 때 관계가 잘된다. 매일 아침 눈을 뜨면 먼저 나 자신과의 관계를 좋게 한다. 나를 쓰다듬어 주며 참 잘하고 있다, 정신이 아름답다, 다른 사람에게 친절하며 관계를 잘한다 이런 격려의 말로 자신을 세우며 하루를 편안하게 살아갈 정신적 에너지를 충전한다. 또한 나를 편안하게 위해서 내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인가 개발해야 한다.  나를 잘 돌보기 위해 할 수 있는 방법들은 개개인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산책 가기, 샤워하기, 좋아하는 영화나 드라마 보기, 작은 물건 하나 사기, 대화하기, 책 읽기, 글쓰기, 커피 마시기, 나를 칭찬하고 격려하기, 다른 사람을 칭찬하고 격려하기 등등이 있다. 
 
● 자신의 권리를 잘 사용한다.
인간의 기본 권리를 보면 “행복할 권리, 실수할 권리, ‘No’ 할 수 있는 권리 등이 있다.” 예를 들면 ‘No’라고 말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자. 많은 경우 ‘No’라고 말을 할 경우 상대방이 실망할 것이 두려워 ‘No’를 하지 못한다. 그 후 ‘No’를 못해서 벌어 진 잘못된 결과는 혼자 책임져야 한다. 인내심 많은 한국 엄마들에게 흔히 있는 상황이다. 남편 혹은 자녀들에게 ‘No’를 안하고 이것 저것 다 해주다가 지치면 그 때 비로소 소리를 내며 내가 무슨 종인 줄 아느냐고 화를 낸다. 화가 난 큰 소리를 듣는 가족들은 무슨 영문인 지 모르고, “엄마 또 저래”하며 자신들의 잘못이 무엇인지 모른다. 인내하는 것이 좋은 덕목이나 후에 화를 내 버리면 인내의 의미가 없어 지며 관계를 파괴한다.  내 권리를 자주 조용한 목소리로 잘 표현하는 연습을 하면서 화가 쌓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관계에 도움이 된다. 
 
● 나의 부정적 신념을 점검 한다. 
우리는 가끔 상대방의 한 마디 말에 관계를 끝내는 경우가 있다. 왜냐하면 내가 말하지 않고 내 속에 꽁꽁 쌓아 두었던 부정적 신념 때문이다. 예를 들면 이혼을 하면 사람들이 자신을 무시할 것이라는 부정적 신념을 가지신 분이 있었다. 공공 장소에서 만난 어떤 분이 (평소 가까이 지내지 않아 형편을 잘 모름) “남편께서 잘 계시나요?”하며 그저 형식적인 인사를 하는 데 벌써 마음이 불편해 지면서 그런 질문을 하는 사람들이 있는 공공 장소에 가는 것이 싫어졌다. 그래서 두문불출하고 있으니 정신 건강에 적신호가 왔다. 힘없이 누워서 거의 일 년을 무기력하게 지내는 데 자녀들이 열심히 도와서 치료를 받게 되었다. 수 개월의 치료 끝에 삶의 희망을 찾고, 하고 싶어 하던 일을 시작하게 되었다. 그 분이 이렇게 고백했다. “나는 사람들이 이혼녀를 우습게 보고 무시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막상 내 아픔을 고백했더니 모두 나를 진정으로 위로하며 따뜻하게 격려해 주었다.” 
 
어느 누군가 하는 한 마디에 내가 상처를 받고 그 사람 만나는 것을 꺼려 한다면 내 신념이 정말 옳은 지 점검해 보아야 한다. 그리고 용기를 내어 본인의 생각을 상대와 나누어 보아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 상대에 대한 나의 부정적 신념이 사실과 다르다는 것은 대화를 나누어 보아야 확인할 수 있고 그런 노력이 있을 때 새로운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 판단하거나 정죄하지 않고 묵묵히 관계를 유지한다.
옳고 그른 것을 내 가치관으로 따지면 관계 유지가 어렵다.  각자의 입장에서 바라보면 각자 옳다. 그 사람 입장에서는 그렇게 생각할 수 있다. 내가 생각하는 것이 꼭 옳다고 계속 주장하면 점점 가까이 다가오는 사람이 없어지게 된다.
 
글>> 조정임: 새움터 멤버, 아시안패밀리 서비스 상담사 

어느 남자의 눈물

댓글 0 | 조회 1,532 | 2017.06.27
새움터 (임애자, 사회복지사)​늦은 … 더보기

“내 꿈 꿔”

댓글 0 | 조회 1,527 | 2018.11.15
내가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 중 하나가… 더보기

거울아 거울아, 이 세상에서 누가 제일 예쁘더냐?

댓글 0 | 조회 1,511 | 2020.06.24
스마트폰의 편리에 빠져 버린 요즘이지… 더보기

자존과 교육

댓글 0 | 조회 1,505 | 2018.06.14
‘자존’은 스스로 자(自)에 높을 존… 더보기

한인 비정부 기구 토론회

댓글 0 | 조회 1,484 | 2012.09.11
비정부 기구 (NGO) 또는 비정부 … 더보기

현재 좋은 관계 유지

댓글 0 | 조회 1,441 | 2013.08.28
좋은 관계를 맺는 것이 우리의 정신 … 더보기

불안증상에 대한 대처 방법들

댓글 0 | 조회 1,433 | 2013.01.31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끊임없는 걱정들… 더보기

그럼에도 불구하고

댓글 0 | 조회 1,415 | 2019.03.13
오랜만에 방문한 웰링턴의 여름은 오클… 더보기

친구에게 때가 한참 지난 사과를 하면서

댓글 0 | 조회 1,372 | 2021.02.23
현직 기업체컨설턴트와 코칭 전문가로 … 더보기

가족이란 만병의 원인 또한 만병 통치 약!

댓글 0 | 조회 1,369 | 2013.10.09
부제: 자녀가 말을 듣지 않는다. 이… 더보기

굴욕

댓글 0 | 조회 1,339 | 2018.03.13
정인화매달 말이 다가오면 걱정이 인다… 더보기

우리가 염려하는 것들...

댓글 0 | 조회 1,336 | 2013.07.09
뉴질랜드에 아시안 이민을 본격적으로 … 더보기

Self sees beauty in ugly

댓글 0 | 조회 1,319 | 2012.11.14
나에게, 내 속에, 과연 아름다움은 … 더보기

누구나 내 안에서 들려오는 목소리가 있다

댓글 0 | 조회 1,311 | 2013.07.23
누구나 내 안에서 들려 오는 목소리가… 더보기

화/울화와 더불어 살기(Ⅰ)

댓글 0 | 조회 1,287 | 2012.09.25
“분노가 나를 지배하지 않… 더보기

대화가 안 돼(?)

댓글 0 | 조회 1,271 | 2013.06.25
일을 하다 보면 가끔 사춘기 자녀를 … 더보기

여행, 희망이다

댓글 0 | 조회 1,269 | 2017.10.10
♥ 정 인화의 민낯 보이기나이 차이 … 더보기

정신 건강 관리 서비스 안내

댓글 0 | 조회 1,265 | 2013.02.27
지난 호에는 이민 생활 동안 생각보다… 더보기

Kāhui Tū Kaha

댓글 0 | 조회 1,243 | 2018.12.11
뉴질랜드에 정착한 지 벌써 13년이 … 더보기

연말연시, 당긴다

댓글 0 | 조회 1,243 | 2018.01.17
‘올해는 누구랑 크리스마스를 보내야 … 더보기

감정 조절

댓글 0 | 조회 1,241 | 2013.09.10
감정 조절은 가정이나, 일터, 그리고… 더보기

제 2회 완경기 그룹을 마치면서

댓글 0 | 조회 1,201 | 2017.07.25
지난 6월 21일이 뉴질랜드에서 낮이… 더보기

불안감을 반으로 줄이기

댓글 0 | 조회 1,181 | 2013.01.15
희망찬 2013년도의 새로운 삶을 위… 더보기

Compatibility Mode

댓글 0 | 조회 1,178 | 2013.05.28
‘How to be a f… 더보기

정신 건강 관리의 중요성

댓글 0 | 조회 1,177 | 2013.02.12
▷ 도움은 언제든 여러분을 기다리고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