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5] 부다의 자녀교육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65] 부다의 자녀교육

0 개 2,730 KoreaTimes
  대중들의 자녀 교육이 어려운데 비해 성인들의 자녀 교육은 어떠했을까?

  예수님은 결혼을 하지 않아 자녀를 직접 두지 못했으나 부처님은 19세에 결혼하여 29세에 아들 '라훌라' 두고 그 해 출가하여 6년 수행 끝에 35세에 성도(成道)하고 전법 하시다가 출가 12년 만인 41세에 고향 카필라국으로 귀향 하시어 부왕 '슛도다나왕'과 왕족들을 만난다. 이때 12살이 된 아들 '라훌라'를 만나 출가를 권유하여 교단에 몸 담으며 수행하게 했다. 부모의 사랑이 그리운 어린 나이에 출가는 했으나 교단의 계율을 지키며 성장하기는 쉽지 않았다.

  게으름을 피울 때 부처님은 '라훌라'를 깨우치기 위해 불러 놓고 체험적으로 말씀하셨다.
  "라훌라야! 세수대에 물을 떠다가 내 발을 씻어라."
  발을 씻고 나니 세수대를 가르키며 물었다.
  "이 물을 밥을 짓는 데 다시 쓸 수 있느냐?"
  "다시 쓸 수 없습니다. 이 물은 본래 깨끗한 물이지 만 지금은 발을 씻으셔서 더러워 졌습니다."  "너도 또한 이와 같다. 너는 나의 자식이요. 국왕의 손자이다. 그러나 지금은 세상의 부귀를 버리고 출가 사문이 되었다. 그런데 몸을 바로 하지 못하고 입을 잘 지키지 못하고 뜻을 지키지 못하여 삼독의 때가 가슴에 가득 차서 이 물과 같이 쓰지 못하게 되었다." 부처님은 세수대의 물을 버리라고 하였다. 라훌라가 물을 버리자 빈 세수대를 보고 말씀하셨다.
  "세수대가 비었으니 음식을 담을 수 있느냐?"  "못 담습니다. 세수대에는 깨끗하지 못한 것을 담았기 때문에 음식을 담을 수 없습니다."  "너 또한 이와 같다. 출가 사문이라고 하나 말을 함부로 하고 심성이 곱지 못하여 정진하지 않았으므로 세수대처럼 진리를 담을 수 없다." 부처님께서 세수대를 발로 차니 데굴데굴 굴러 가다가 멈추었다. 부처님은 물으셨다.
  "너는 저 세수대가 깨질까 걱정을 했느냐?" "발 씻는 값싼 그릇이므로 걱정하지 않았습니다." "너도 또한 이와 같다. 수행을 게을리 하고 남을 비난하고 교만하고 학문과 덕을 쌓지 않았으니 이웃들이 너를 애석하게 생각하지 않을 것이다."
  라훌라는 부처님의 간절하신 말씀을 듣고 감격하여 마음을 가다듬고 뼈에 새기어 잊지 않았다. 라훌라는 열심히 정진하여 입과 몸과 마음을 잘 다스려 부처님의 10대 제자가 되었다.
  부처님은 하나 밖에 없는 아들을 출가시켜 교육 하시면서 잘못될 때 단호하시고 자상 하셨다.

  자녀를 애지중지 과잉보호 하여 키우면 자기 밖에 모르는 이기주의자가 되어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다. 잘못된 교육은 자손을 망치기 쉽다. 뭐가 잘못된 교육이냐 하면 아이가 원하는 것을 모두 들어 주는 것이다. 나쁜 말을 해도 못 본 체 하거나, 옷이나 신발을 어질러 놓아도 대신 정리해 주고, 돈도 달라는 대로 주고, 남하고 다투면 무조건 아이 편을 들어 주고, 먹고 싶어하는 것도 다 갖다 주고, 텔레비전이나 컴퓨터 같은 것도 마음껏 보게 놔두는 것이다. 자녀의 욕구를 다 들어 주다가는 망치게 된다.

  세계적인 교육 전문가였던 '페이탈로치' 선생이 '어머니들에게 보내는 편지' 중에는 이런 말을 했다.  
  "처음에 딱 거절하지 않으면 나중에는 더욱 괴롭힌다, 마음이 약해서 자녀가 해 달라는 대로, 원하는 되로 다 해주는 것은 큰 문제다" 라는 것이다.

  2006년 미국 럭비볼 MVP인 하인워드 선수는 어머니의 말을 안 들으면 때론 매 맞고 호된 꾸중을 들으며 자신의 의지를 꽃 피울 수 있었다고 했다.

  참으로 훌륭한 자녀 교육은 일생 동안 자력으로 스스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 주는 것이다. 어떠한 사항을 만나더라도 떳떳하게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게 교육해야 한다.

[383] 뉴질랜드 기후변화 탄소 제로에 도전하다

댓글 0 | 조회 3,522 | 2008.06.23
뉴질랜드의 날씨가 지금 겨울의 초입인… 더보기

[382] 시위와 촛불의 의미

댓글 0 | 조회 3,319 | 2008.06.10
촛불은 종교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 … 더보기

[381] 부부의 화내는 마음!

댓글 0 | 조회 2,929 | 2008.05.27
얼마 전 신도님이 오셔서 함께 대화를… 더보기

[380] 거짓말 대회!

댓글 0 | 조회 2,859 | 2008.05.13
우리들이 살아가면서 거짓말 하지 않고… 더보기

[379] 5월 10일, 햐얀 백련이 피다...

댓글 0 | 조회 3,021 | 2008.04.22
아침저녁이 제법 쌀쌀한 날씨가 되었다… 더보기

[378] 가진 자의 겸손

댓글 0 | 조회 2,952 | 2008.04.08
가진 자가 겸손 하다면 세상이 얼마나… 더보기

[377] 온 세상이 불타고 있다

댓글 0 | 조회 2,992 | 2008.03.26
온 세상이 불타고 있다. 탐욕과 분노… 더보기

[376] 기도는 진실하다

댓글 0 | 조회 2,858 | 2008.03.11
종교적인 예불과 기도, 참회, 수행은… 더보기

[374] 만족한 삶

댓글 0 | 조회 3,139 | 2008.02.12
살아 가는데 있어서 만족하며 사는 삶… 더보기

[373] 설날 덕담, 복(福) 많이 받으십시오

댓글 0 | 조회 3,436 | 2008.01.30
얼마 있으면 음력으로 최대의 명절 설… 더보기

[372] 세월을 알차게!

댓글 0 | 조회 2,721 | 2008.01.15
2008년 새해가 시작되었다. 새해에… 더보기

[371] 한 해의 감사, 새해의 희망

댓글 0 | 조회 2,935 | 2007.12.20
계절이 물 흐르듯 한 해의 언저리에 … 더보기

[370] 불교의 경제관

댓글 0 | 조회 2,698 | 2007.12.11
무욕의 삶을 사는 승려로서 돈의 자유… 더보기

[369] 부자되는 마인드 개발 5단계

댓글 0 | 조회 2,732 | 2007.11.27
'인터넷의 부처'라고 불리는 조 비테… 더보기

[368] 돈과 유혹

댓글 0 | 조회 2,832 | 2007.11.12
우리 주위에는 셀 수 없는 유혹이 산… 더보기

[367] 세상을 비추는 거울

댓글 0 | 조회 3,423 | 2007.10.24
사회의 행복과 정의를 위해 사람들은 … 더보기

[366] 신정아 사건! - 마음의 등불

댓글 0 | 조회 2,729 | 2007.10.09
신정아 허위 학력 사건이 세상을 시끄… 더보기

현재 [365] 부다의 자녀교육

댓글 0 | 조회 2,731 | 2007.09.25
대중들의 자녀 교육이 어려운데 비해 … 더보기

[364] 자녀에게 편지를!

댓글 0 | 조회 3,051 | 2007.09.11
자녀가 잘 되기를 염원하는 것은 동서… 더보기

[363] 대화(對話)

댓글 0 | 조회 2,657 | 2007.08.27
사람의 여러 감정 중에 가장 사람을 … 더보기

[362] 지옥과 극락

댓글 1 | 조회 2,710 | 2007.08.14
극락과 지옥은 사후에 존재하는지 아니… 더보기

[361] 병 안걸리고 사는 법

댓글 0 | 조회 2,945 | 2007.07.24
사람이 살면서 병 없이 산다는 것은 … 더보기

[360] 나만의 리더

댓글 0 | 조회 2,450 | 2007.07.09
우리는 살아가면서 자신의 생각이 성취… 더보기

[359] 돼지꿈 (꿈의 참모습)

댓글 0 | 조회 2,700 | 2007.06.26
우리들은 살아 가면서 내일에 대한 희… 더보기

[358] 이명박과 박근혜 "용호상박"

댓글 0 | 조회 2,605 | 2007.06.12
4.8봉축 행사를 마치고 공무차 한국… 더보기